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답전윤환에 있어서 토양 pH는 논을 밭으로 윤환 시에는 pH가 증가하기도 하지만, 대체적으로 윤환연차가 증가함에 따라 pH가 계속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답전윤환에 있어서 토양의 질소, 인산 및 규산 등의 양분동태를 보면 가급태 질소함량은 수도연작구보다 논-밭 매년윤환구 및 2년 윤환구에서 많았다. 그러나 밭윤환지를 다시 논으로 전환 시에는 무기태 질소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답전윤환에 있어서 인산함량은 수도 연속재배구에 비해 답전윤환지에서 증가하였으며, 토양유기물 함량은 논을 밭으로 윤환후 논전환하여 수도를 재배한 구의 유기물함량은 수도 연속재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윤환기간에 따른 토양유기물 함량은 수도연작구에서는 큰 변동이 없었으나, 밭윤환 3연차부터는 크게 감소하였다. 논을 밭윤환하면 토양공극률은 논상태인 경우보다 밭윤환 재배하였을 때 표토나 심토에서 공극률이 높았다. 토양의 용적밀도는 일반적으로 수도연작구는 변화가 없었으나, 밭윤환구에서는 용적밀도가 낮아졌다. 토양 3상은 수도연작구보다는 밭윤환 후 다시 논전환된 복원답이 표토, 심토에서 모두 기상율, 공극율 등이 높아 전반적인 토양 3상이 더 좋았다. 답전윤환 경지에서의 잡초발생 양상을 보면 논을 밭으로 윤환한 포장에서는 사초, 광엽초종이 많고 화본과 초종이 적게 분포한 반면 기존 밭연속 재배지에서는 화본과 초종이 많이 발생하였다. 밭윤환 첫해에는 논잡초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나, 4년차에는 논잡초가 감소하면서 밭잡초가 우점하는 경향을 보였다. 답전윤환에 있어서 대두수량은 밭윤환에 의하여 15% 증수 및 밭작물 연작장해가 경감되는 경향이었다. 맥류의 답전윤환에서의 보리 생육 및 수량변화는 보리수량은 대조구에 비해 윤환구에서 증수되었고, 특히 콩-보리구는 비료를 적게 시비해도 증수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옥수수 수량은 밭윤환 후 첫해보다는 2년, 3년 연작재배에서 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답전윤환에 있어서 율무의 수량은 수도작 후 밭윤환 첫해에 수량이 가장 높은 경향이었으며, 그 후 연작시에는 감수되는 경향이었다. 답전윤환에 있어 밭으로부터 논윤환 후 연차별 벼수량은 수도연작구에 비하여 매년윤환구에 비해 2년윤환구く3년 윤환구 순으로 밭상태 재배연수가 증가할수록 증수 정도가 큰 경향을 보였다는 결과와 3년 연작구나 격년 연작구에 비해 2년째 윤환구에서 벼 수량이 높았다는 보고 등이 혼재하였다. 답전윤환에 있어서 적정 답전윤환 연수는 논-밭-논-밭-논 윤환과정에서 각각 3 ~ 4년 이상이 되면 지력이 저하하여 윤환에 따른 유리함이 감소되고 병충해 및 잡초발생도 전환기간이 길어질수록 답전윤환의 효과가 감소되어 밭기간 3년, 논기간 3년의 6년 1주기로 하는 것이 적합하였다.
        4,500원
        2.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ulch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organic cultivation method, on antioxidant compounds and growth in Codonopsis lanceolata. Methods and Results : C. lanceolata was treated by mulching with a non-woven fabric, biodegradable film, or rice husks, as well as hand weeding, and non-treatment. The growth and levels of weed control in C. lanceolata were better in plants cultivated under mulching treatments (non-woven fabric, biodegradable film, and rice husks) than under non-mulching treatments (hand weeding, non-treatment). The contents of antioxidant compounds, such as total flavonoids, phenolics, and anthocyanin, were highest under biodegradable film treatment, followed by non-woven fabric treatment, rice husks treatment, hand weeding, and non-treatment. DPPH and ABTS activity were able to identify to have differences their activity in comparison to antioxidant compounds content by solvent fractions. Mulching treatments produced a higher activity in water and ethyl ether fractions for DPPH scavenging activity and in n-butanol fractions for ABTS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other fractions, although total activity of DPPH and ABTS were not increased with mulching treatments. Conclusion : Mulching C. lanceolata with biodegradable film and non-woven fabric is an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plant growth and inhibiting the occurrence of weeds as well as increasing antioxidant compound content and changing of antioxidant activity.
        3.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antioxidant compounds in extracts derived from 24 medicinal crops. Methods and Results : Dried plant materials were extracted by methanol. The extracts of each plant were evaporated under vacuum and stored in deep freeze at -20℃ until use. The level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much higher in Evening primrose, Houttuynia cordata, Chinaberry, Sumac, Gaeddongssuk, Giant knotweed and Dendropanax morbifera compared with other crops. On the other hand, the total phenolic compound levels in Safflower, Fleeceflower root, Gingko, Black nightshade, Saposhinikovia root, and Maize woody pith were relatively low.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Houttuynia cordata, followed byDendropanax morbifera, Gaeddongssuk, Aralia cordata and Evening primrose. DPPH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aeddongssuk, Sumac, Chinaberry, Dendropanax morbifera and Evening primrose, and ABTS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er in Sumac, Chinaberry, Evening primrose, Giant knotweed, Gaeddongssuk and Dendropanax morbifera than other plan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dertermined in all assay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otal phenolic compoubds (0.619≤ r ≤0.895) and flavonoid contents (0.488≤ r ≤0.619) as well as among themselves (r=0.900).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ening primrose, Gaedongssuk, Sumac, Dendropanax morbifera, and Giant knotweed can be utilized as food additives and natural antioxidants due to their strong antioxidant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