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198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계통 SMV-G7의 감염에 의하여 모자이크 병징이 나타나는 함안 품종과 괴저병징이 나타나는 광교를 공시하여 (99평)의 포장 중앙 (1평)에 함안을 파종, 접종한 후 주변 시험구(1평씩 99구)에는 광교를 파종하여 SMV의 발생생태를 조사하였다. 광교에서 SMV 이병주율은 7월 13일에 가장 심하였고 황색수반으로 채집한 진딧물 밀도는 6월 22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함안과 인접한 시험구의 SMV 이병주율은 평균 , 포장전체의 이병주율은 평균 로 나타났다. 풍향과 바이러스 이병율을 분석한 결과 SMV의 전파는 바람부는 쪽으로 일정한 gradient를 형성하여 SMV 전파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4,000원
        2.
        198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1년 전북고창, 전남영광, 경북달성, 경남진양 지역에서 참깨병해의 발생과 피해를 조사한 결과 참깨역병의 피해가 가장 심하였다. 참깨역병의 발생은 포장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발병이 심한 포장에서는 발병주율이 나 되었다. 참깨역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Phytophthora spp.는 유주자낭의 형태적특성과 참깨에 대한 특이적인 병원성에 의하여 Phytophthora nocitianae var. parasitica (Dastur) Waterhouse로 동정되었다. 참깨역병의 병징은 줄기가 암갈색으로 변색, 부패되어 식물체가 도태고사하는 특징을 보였다.
        4,000원
        3.
        198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콩모자익바이러스(SMV) 7계통의 진딧물 전염여부를 시험한 결과 SMV 7계통 전부가 전염되었으며 SMV의 진딧물 전염에 의한 대두판별품종의 반응도 침액접종에 의하여 SMV 계통을 분류하였을 때의 반응과 일치하였다. 공시한 5종의 진딧물중에서 복숭아혹진딧물, 아카시아진딧물, Aphis citricola는 SMV 7계통을 모두 잘 전명시키는 매개충이었으나 옥수수테두리진딧물과 기장테두리진딧물은 SMV계통 G3을 전염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포장에서 SMV 계통 G2, G3, G6 및 G7을 22.5m 이랑의 1m 내에 심겨진 콩 품종 Williams에 접종한 후 80cm 떨어진 이랑의 1m내 Williams의 발병율을 조사하였다. 공시한 SMV 4계통중 6G의 전염율이 가장 높았고 조사기간에 채집된 206 마리의 진딧물중 A. citricola가 로서 우점종이었다. Williams의 수량은 G2로 접종하였을 때 가장 낮았다.
        4,000원
        6.
        197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가지과 작물의 풋마름병의 병원균(Pseudomonas solanacearum)의 생리적 성질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공시균주로는 가지과작물인 도마도(7), 가지(3), 고추(6),에서 분리한 16균주를 공시하였다. 2. 탄소원에 따른 분해에서는 Glactose는 16균주가 전부 이용하였으나 Saccharose, Lactose, Starch는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이외의 탄소원에서는 균주에 따라 이용 반응이 각기 틀렸다. 3. 균주에 의한 탄소원의 산도변화에서는 Glucose, Saccharose, Raffinose, Starch는 산성을 나타냈으나 Galactose, Salicin, Lactose, Dextrin, Mannitol, Esculin은 알카리성 반응을 나타내었다. 4. 생리적성질에서는 Gelatin 반응에서 균주에 따라 용해정도의 차가 나타났으며, methylene blue에서는 환원균주토 있었음을 알게 되었고, 이외의 반응에서는 같은 성질을 보여주었다.
        4,000원
        7.
        197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흰빛잎마름병의 병원균의 생리적 성질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곁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공시균주로는 본 병리 연구 담당관실 보존균주 및 일본, 비율빈에서 분양받은 균주와 최근 IR 계통품종과 이병성 품종에서 채집 분리된 10균주를 공시하였다. 2. 탄소원의 분해 및 산도변화에서는 Glucose, Galactose는 모든 균주가 이용하였고 Esculin, Mannitol, Raffinose Salicin, Saccharose는 몇몇균주가 이용했으며 lactose, Starch, Dextrin은 이용하지 못하였다. 3. 시험에 사용된 공시균주는 유화수소 및 암모니아를 생성하였으며 methylene blue 환원시험에서는 환인이 일어났으며 인돌생성은 하지 않았고 젤라틴은 서서히 액화시켰지만 균중간에는 액화정토가 서로 차이가 났으며 우유의 소화 및 응결은 없었으며 리트머스 우유를 청변시켰다.
        4,000원
        9.
        198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참깨 발병(병원균 :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에 대한 품종저항성 검정방법 확립을 위해 실시하였다. 공식작물의 묘령, 접종방법, 토양수분상태 및 접종원의 농도는 공시한 중도저항성계통 B-67, IS 103과 나병성계통 수원9호, 수원 2006 모두의 병진전속도와 발병심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파종후 20일된 유묘에 1 m 당 200개 포자상의 접종원을 폿트(8 16.7 7.2cm)당 10m 씩 토양표면에 접종한 후 저면관수로 토양수분을 포화상태로 유지하였을 때 계통간 저항성의 차이를 갈 볼 수 있었다. 묘령 70일의 성묘를 사용하였을 때는 토양접종을 하였을 때나 분무접종을 하였을 때 모두 계통간 저항성 차이를 잘 볼 수 있었다. 전술한 유묘검정방법에 의해 이병성계통인 수원2006는 이병주율로는 100%, 발병심도로는 최대치인 9.0을 보였다. 반면에 중도저항성계통인 B- 67은 이병수율로는 20%, 발병심도로는 1.7을 보였다. 발병심도는 0에서 9까지 지수화하여 나타내었다. 예를 들면, 발병심도 0은 병징이 없는 상태, 5는 지면부 줄기가 변색된 경우, 9는 잎마름증상과 함께 줄기변색이 지면부로 부터 10cm 이상인 경우이다. 품종간 저항성의 차이는 병총면적률로도 조사를 하였으며, 이 결과는 발병심도로 조사한 검정결과와 잘 일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