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eon made with wet non-glutinous rice flour and rice wine. The samples of Jeung-pyeon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s of cooked purple sweet potato (0, 3, 6, 9, and 12%) to analyze the water content, sugar content, pH, chromaticity, texture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er content, sugar content, and springiness was observed among the 5 samples. The pH and volume showed the highest level at 0%. The L-value and b-value decreased while the a-value increased. The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were highest at 9% and lowest at 12%. The extent of violet chromaticity and pore size were optimal in 9%. In addition, 9%-added purple sweet potato showed the highest score of od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In conclusion, the optimal addition for the highest acceptability of cooked purple sweet potato was 9%.
JF33-01은 5.8 cm, JF33-02는 6.2 cm로 JF33-02가 더 빠른 생장을 보였으며, 배양과정중 균사가 황변이 되면서 약간의 균막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효참나무, 밤나무, 버드나무에서는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발효미송에서는 JF33-02가 JF33-01보다 2.5 cm정도 더 빠르게 나타났다.JF33-01(n)와 JF33-02(2n)를 대치배양 시킨 결과 뚜렷한 대치선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두 균주간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참바늘버섯 추출물의 제작시 버섯 세포의 파쇄와 관련된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며, 본 실험을 통해 참바늘버섯 내에 혈전 분해능을 갖는 효소가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바늘버섯의 혈전용해능은 약 30~40mM NaCl 에서 회수한 fraction(fraction 13) 에서 가장 높은 혈전용해능을 확인하였다. 참바늘_EtOAc의 경우 다른 버섯과는 매우 다른 크로마토그램을 보여주고 있어 신규물질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ACN/H2O 이동상의 경우가 MeOH/H2O 이동상의 경우보다 약간 더 복잡하고 피크 형태와 sharp한 크로마토그램으로 나타나 버섯에 함유한 물질들이 ACN/H2O의 이동상에서 더 잘 분리되는 것으로 보인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건강식품을 통해 건강한 삶을 누리려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다. 더불어 식물유래 천연물 성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각종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는 버섯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 버섯에 함유 되어있는 β-glucan이 주목되고 있는데, β-glucan 은 면역 활성체의 기능, 항산화능, 생체조직 재생과 치유기능, 항생제, 항균, 항바이러스 및 대식세포를 자극하여 돌연변이 세포를 인식하고 공격하는 항종양 효과 등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본 실험에서는 꽃송이 버섯(Sparassis crispa)과 표고 버섯(Lentinus edodes)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배양방법에 따른 β-glucan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조사 하였다. 꽃송이 버섯, 표고 버섯의 β-glucan 함량은 메가자임사의 β-glucan assay kit(Megazyme International Ireland Limited, Wicklow, Ire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항산화 활성의 검정은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활성감소와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 감소를 통해 확인하였다. β-glucan의 함량은 버섯 수확량과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었으며 항산화 활성과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높은 β-glucan 함량을 지니며 항산화 활성능이 우수한 꽃송이 버섯과 표고버섯의 기능성 증대를 위한 배양방법을 제안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