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산뽕잎, 은행잎 및 혼합차의 침출시간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FRAP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총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Folin-Ciocalteu법,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HPLC로 분석하였다. 침출시간에 따라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과 FRAP 활성은 은행잎차, 혼합차, 산뽕잎차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페놀 성분 함량은 은행잎차, 혼합차, 산뽕잎차 순으로 높았으며 산뽕잎에 은행잎을 2:1로 혼합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였다. 침출시간 3분 정도에서 산뽕잎차 및 혼합차는 비교적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은행잎차는 6분 까지 활성이 증가하였다. HPLC로 분석한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은 quercetin이 모든 차에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은행잎차, 혼합차, 산뽕잎차 순으로 플라보노이드의 총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제조한 침출차 들의 항산화 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계수는 0.87 이상으로 상관성이 상당히 높았다.
        4,000원
        2.
        2016.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drying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Ganoderma lucidum, Phellinus linteus) and edible (Pleurotus eryngii, Lentinus edodes) mushrooms were investigated. Their shrinkage ratios, Hunter’s color values, and rehydration ratios were evaluated. Mushrooms were cut with rectangular (1 cm) and square (1×1 cm) shapes, and dried in the room temperature and at 50℃ and 70℃ using hot-air dryer. Initial moisture contents of edible mushrooms were higher than those of medicinal mushrooms, whereas final moisture contents were vice versa. Drying rate was the highest when drying at 70℃ (p<0.05). Moreover the drying rate of square slices was higher than that of rectangular slices (p<0.05). The shrinkage ratios of both medicinal mushrooms and edible mushrooms were the least when drying at 50℃ and 70℃, respectively (p<0.05). The changes of color values were less in the medicinal mushrooms dried in the room temperature than in the hot-air dried medicinal mushrooms (p<0.05). However, in case of edible mushrooms, the changes of color values were less in the hot-air dried mushrooms (p<0.05). Rehydration ratios of medicinal mushrooms dried at 50℃ was the highest (p<0.05). In contrast, rehydration ratios of edible mushrooms was the highest when drying in the room temperature (p<0.05). Thus, the hot-air drying at 50℃ would be suggested as the efficient drying method for both medicinal mushrooms and edible mushrooms.
        3.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상황버섯을 90℃에서 환류추출 시 시간과 추출용매의 조건(물 및 에탄올 농도, pH)에 따른 추출물을 제조하여 β-glucan 함량과 항산화활성 및 항산화성분의 함량을 조사 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은 추출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 율과 β-glucan 함량이 증가하여 24시간 추출 조건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추출용매에 따른 상황버섯 추출물의 수율은 60% 에탄올, pH 4의 조건에서 가장 높았다. β-glucan 함량 은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산성과 중성 조건에서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은 60% 에탄올, pH 7 조건에서 추출한 것이 가장 높았다. 항산화성분의 함량 또한 항산화활성과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수율, β-glucan 함량, 항산화활성 및 성분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60% 에탄 올, pH 7 추출 조건이 적합하였다.
        4.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산 단삼을 활용하여 amylase계, cellulase 계, pectinase계 및 protease계 효소제를 이용한 저온 추출법 에 따른 단삼 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단삼 추출물의 수율, pH, 당도 및 색도 변화는 amylase계 효소를 이용하여 60℃, 4시간 처리구에서 58.3%, pH 6.04, 5.97°Brix와 65.06(L) 및 35.13(b)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값은 protease계 효소를 이용하여 60℃에서 처리구에서 14.88로 붉은색을 나타내었다. 효소제를 이용한 단삼 추출 물의 항산화능은 추출농도 55 ppm에서 DPPH 및 ABTs 소거능 84.25 및 74.11%로 amylase계 효소를 이용하여 6 0℃, 4시간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60℃효소 처리구간들에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단삼 추출물의 salvianolic acid B 함량은 60℃에서 4시간, amylase계 효소구에서 3,002 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cryptotanshinone 함량은 60℃ 4시간 amylase 및 protease계 효소 처리구에서 3.8 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anshinon Ⅰ함량은 60℃ 4시간 protease계 효소구에서 14.2 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amylase계 효소를 이용하여 단삼 의 저온 효소 추출시 단삼 추출물의 지표성분의 안정적 추출이 가능한 바, 기능성 소재로서 대량생산을 통한 산업 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효소제를 이용한 저온 효소추출법은 천연물의 다양한 원료에 접목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5.
        2015.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단 배추의 포장재에 따른 저장 중 품질변화를 알아보 기 위해 배추(3×3 cm)를 PP film, OPP film, LDPE film백에 각각 넣은 후 5℃에서 4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중량은 0.03~0.24%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PP film 포장구가 가장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가용성 고형 분 함량은 0.03~0.2°Brix의 범위로 감소하였으며, PP film 포장구가 낮은 감소율을 보였다. 적정산도는 모든 처리구 에서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PP film과 OPP film 포장구의 증가율이 낮았다. 색도값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포장재에 따른 유의 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역시 포장재 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외관상 품질 특성은 PP film 포장구가 다른 포장보다 우수하였다. 따라 서 투명한 PP film으로 절단배추를 포장하여 저장 및 유통 하는 것이 선도 및 품질 유지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6.
        201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품질 참외와인을 제조하기 위하여 브랜칭 및 착즙 처리를 하여 발효와 숙성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발효 중 참외와인의 이화학적 특성은 모든 처리구가 유사한 추이를 보였으며, 브랜칭 및 착즙 처리가 알코올 발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숙성 후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는 알코올 함량, 가용성 고형분 함량, 환원당 함량, 적정 산도, pH가 각각 11.5~11.8%, 10.7~11.2%, 0.25~0.49 g/100 mL, 0.60~0.81%, 3.75~3.89 범위로 나타났으며, 숙성 전에 비하여 가용성 고형분, 환원당, 알코올 함량, 적정산도는 감소하고 pH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능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FRAP 활성이 각각 563.00~785.00 μM TE, 504.60~811.93 μM TE 범위로 나타났으며, 브랜칭 처리구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287.53~312.08 mg/L 범위로 전처리 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p<0.05),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9.06~141.03 mg/L 범위로 브랜칭 처리구의 함량이 높았다. 또한 QDA profile 결과는 색, 맛, 풋내, 이취, 종합적 기호도 항목에서 모두 브랜칭 처리구가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브랜칭 처리는 참외와인의 항산화능을 증가시키고 기호성을 좋게 하는 반면, 착즙 처리는 참외와인 제조 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7.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15 red wines (Cabernet Sauvignon) from the US (5) and Chile (10)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soluble solid, reducing sugar, titratable acidity, and SO2 were measured. Antioxidant capacities were examined by DPPH, ORAC assa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In addition, polyphenols composition were analyzed by HPLC. The contents of soluble solid, reducing sugar, and cidities were 7.03~8.6 °Brix, 2.7~6.7 g/L, and 0.7~0.8%, respectively, and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wines from the two countries (p<0.05). The SO2 content of Chile wines was 50% higher than that of US wines (p<0.05). Antioxidant activities by DPPH assay ranged 5.58~9.80 mM and 6.77~9.48 mM in the US and Chile wines, respectively. The ORAC values of the US and Chile wines ranged 2.17~18.08 mM and 4.55~33.77 mM, respectively. The total phenolic content ranged from 1,315 to 2,651 mg/L among the US red wines, and from 1,653 to 2,493 mg/L among Chile red wines. Gallic acid, catechin,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quercetin, and kaempferol were identified by HPLC. The polyphenol contents of the Chile red win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S red wines(p<0.05).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antioxidant capacities of the wines from US and Chile, but only in their SO2 and polyphenol contents (p<0.05).
        8.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제조하여 판매되고 있는 사과주스 제품(혼탁형 4종, 청징형 4종)의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폴리페놀 성분 조성을 조사하였다. 적정산도는 0.299~0.556 범위로 제품형태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로서 클라우디형이 높았으며 환원당 함량은 40.47~119.17 g/L이었으며 청징형이 높았다(p GAE)가 청징주스( GAE) 보다 강하였으며, FRAP 방법에서도 혼탁주스( TE)가 청징주스 ( TE)보다 강한 활성을
        9.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물체의 플라보노이드 성분 함량 분석에 필요한 적정 가수분해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은행잎을 이용하여 중심합성법으로 설계한 산 가수분해 시간과 HCl 농도에 따라 myricetin, quercetin, kaempferol 함량을 HPLC로 분석하고, SAS의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산 가수분해 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HCl 0.5~2.5 M, 0.5~2.5시간 범위 내에서 10개의 구간을 잡아서 최적화한 결과 1.5~1.9 M의 HCl 농도와 1
        10.
        2008.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도씨의 품종에 따른 총 페놀 함량과 proanthocyanidin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았다. 총 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법으로 측정하였고, /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Proanthocyanidin 함량은 vanillin sulfuric acid법으로 측정하였고, /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품종 중에서 자옥 품종이 가장 높은 페놀 함량과 proanthocyanidin 함량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은 자옥
        11.
        2008.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서 제조 및 시판되고 있는 사과를 비롯한 과일 주스 5종, 포도 주스 10종의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DPPH 방법과 FRAP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시판 과일 주스 중 오렌지의 총 페놀 함량이 114.09 nlg/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포도주스 10종은 의 함량으로 제품 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과일 주스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자몽이 가장 높았으며 사과, 파인애플이 낮았다. 포도주스의 항산화 활성은 제품에 따라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