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2

        53.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54.
        2000.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100원
        55.
        199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of 4 positions produced the highest action potential in the rectus femoris muscle of normal adult subjects. Testing was performed in supine with the right leg performing a simple straight leg raise with the knee fully extended. The left leg, however, was placed in 4 different positions: 1. Full support with flexion. 2. Flexed on the plinth with knee flexion and foot flat. 3. Same as N0.2 but with knee flexion. 4. Left leg hanging over the end of the plinth with knee flexion, hip flexion and no foot support.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level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rectus femoris under 4 positions. Fourty-three healthy young adults performed three trials of each exercise condition in random order in the supine positi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was recorded from surface electrodes. Rectus femoris action potentials in all 4 position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highest action potential at the end of movement of the right leg occurred with the left leg hanging over the end of the plinth with knee flexion.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e straight leg raising be performed with the contralateral leg flexed at over the end of the supporting surface to obtain a maximum rectus femoris isometric contraction.
        4,000원
        56.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들이 주변의 작은 생물과 인간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작은 규모의 생물과 미생물에 관한 연상 용어 및 이미지, 이로움과 해로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교육대학 재학생 215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작은 생물을 대상으로 떠오르는 이미지와 연상 단어를 선택하고 서술하도록 구성된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 초등교사들이 선택한 연상 용어와 이미지의 빈도 및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참여자들의 선택 이유 및 작은 생물과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해 어떻게 답변하였는가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대상 예비 초등교사들은 우리 생활에서 활용되는 미생물보다 작은 규모의 동식물을 작은 생물의 이미지로 생각하는 빈도가 높았다. 연상 용어는 특정한 생물명과 포괄적인 명칭이 많았으며,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을 다양한 측면에서 서술하지는 못하였다. 작은 생물과 우리 생활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학년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주변의 생물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함을 인식할 수 있도록 맥락적인 상황을 활용하여 교육할 필요가 있다.
        57.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석에 대한 이해는 지구역사 연구의 핵이며, 화석에 대한 이해의 과정은 과학사 그 자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생 때부터 화석에 대한 개념 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일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며, 이와 더불어 장차 초등학생들을 가르치게 될 예비 초등교사의 화석에 대한 개념 이해 또한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 초등교사의 ‘화석’에 대한 개념 인식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념 검사 문항을 개발하고, 이를 J 대학교 교육대학 예비 초등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투입하여 조사하였다. 전체 문항에 대한 평균 오답률은 21.73%로 나타나, 여전히 성인이 되어도 화석에 대한 오개념은 남아 있다고 볼 수 있다. 문항별로 분석한 결과 총 20개의 개념 문항 중 8개의 문항에서 평균 이상의 오답률을 나타내었으며, 성별 간에서는 2개 문항, 학년 간에서는 4개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예비 초등교사들의 ‘화석’에 대한 오개념을 과학 개념으로 교정하기 위해 교육대학에서는 탐구 학습이나 체험 학습 등을 적용한 실제적 교수-학습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58.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과학 4학년 ‘지층과 화석’ 단원에 나오는 예시 장소들은 특정 지역의 자료들로 제시되어 있어 이와 다른 지역의 학생들에게는 생소한 감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단원의 학습 주제인 지층과 암석에 대한 지역 대체 자료를 개발하여 교사와 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에 제시된 장소를 대체할 수 있는 제주도에서 학습 가능한 장소를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선정된 장소 중 한 곳을 지정하여 실제 체험 학습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과정안과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는 이 단원에 대해 수업을 준비하는 교사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학생들은 살고 있는 지역에서 학습 자료를 찾을 수 있어 학습 요소에 대한 구체적이고 확실한 개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59.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제주도 서귀포시 갯깍 주상절리를 탐구대상으로 하여 초등학생들의 탐구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다양한 감각기관을 이용하여 관찰 활동을 수행하였지만 주로 시각 위주로 관찰 활동을 하였으며, 여학생에서 그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졌다. 그리고 주상절리의 부분적인 면보다 전체적인 면과 주변 환경을 관찰하려는 경향이 더 높았다. 그러나 자신이 관찰 활동을 통해 수집한 결과를 예상 및 추리와 같은 탐구과정에 활용하는 빈도는 낮았다. 탐구과정에서 학생이 이미 가지고 있었던 오개념이 객관적인 관찰 결과의 활용을 가로막고 탐구과정에 영향을 미쳐 사실과 다른 탐구활동 결과를 가져온 경우도 있었다. 이에 기초 탐구 요소들을 적절히 가미한 다양한 탐구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탐구능력을 신장시켜줄 필요가 있다. 또한 관찰 활동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감각을 사용할 수 있는 탐구대상의 선정 및 탐구문항의 개발이 요구된다.
        60.
        2011.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제주도의 오름 환경에 대한 체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제로 초등학생에게 적용하여 오름에 대한 인지적․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분석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도의 O초등학교 학생들을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어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체험 학습을 적용한 실험반은 교실에서 이론적인 수업을 받은 비교반에 비해 오름에 대한 인지적 영역 및 정의적 영역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실험반은 오름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에서도 향상된 면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오름뿐만 아니라 초등학생을 위한 지역 특이적 체험 학습 자료를 계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검증된 체험 학습 프로그램은 지역의 다른 학교에 확대하여 학습 자료로 이용되어야 할 것이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