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4.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편집이라는 작업은 1895년 이후 110년 동안 다듬어진 2차원 영상 문법의 기술적 요소이자 쇼트(컷)를 연결하는 연출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2013년 <Windy Day>가 나오면서 영상 문법에 대한 새로운 담론을 요구하고 있다. <Windy Day>는 프레임이 없이 360도 감상이 가능하며 시선과 연동하여 캐릭터 행동과 쇼트의 길이가 달라지는 리얼타임 360 도 3D애니메이션으로서 VR콘텐츠의 출발점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Windy Day>의 의의를 소개하고 그동안 VR콘텐츠를 시점과 서사구조, 프레임 등의 개념으로 분석한 것과 달리 ‘인터랙티브 편집’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분석하였다. ‘인터랙티브 편집’은 본 연구에서 처음 제안하는 개념으로서 실시간 3D애니메이션의 속성인 시점에 따라 상호작용으로 영상 쇼트의 연출, 쇼트의 길이와 연결 등 편집적 행위가 실시간으로 발생한다는 점에 집중한 것이다. <Windy Day>는 롱테이크 형식으로 하나의 쇼트만 존재하므로 편집의 의미에 맞는 분석을 위해 공간의 변경에 따른 ‘암묵적 쇼트’를 정의하였다. <Windy Day>에는 350도로 주관적 감상이 가능한 8개의 ‘암묵적 쇼트’가 있으며 각 쇼트를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해 시점을 유도할 수 있는 캐릭터의 액션과 장면 전환 명령을 위한 공간 트리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 연구가 개발자에게는 다소 기초적인 내용일 수 있으나 영상산업 발전의 중요한 계기가 된 ‘영상 편집’을 인터랙티브 개념으로 정의하고 <Windy Day>를 소개함과 함께 내용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5,100원
        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opyeongbyeo is an anther culture derived Japonica rice (Oriza sativa L.) cultivar from the cross between Hitomebore and Hwajinbyeo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HARI), NICS, RDA, in 2003. This cultivar has a about 126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The short and round grain shape of Hopyeongbyeo is translucent with non-glutinous endosperm. Amylose content of rice grain is about 17.8% and high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Nampyeongbyeo. This cultivar shows resistant to bacterial blight pathogenes of K1. The milled rice yield of Hopyeongbyeo is about 5.13MT/ha at ordinary transplanting culture in the local adaptability test. Hopyeongbyeo would be adaptable for the southern plain area of Korea.
        12.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fficient system of rice microspore culture could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rice. The microspores were isolated by mechanical or shed methods. The number of microspores per 100 anthers isolated at uninucleate stage was higher than (or similar to) those at binucleate stage in isolation method with pestle or spatular, but microspore divisions were not easily observed on both stages. On the other hand, pollen division in shed pollen culture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at uninuclear than at binuclear stage. Cold pretreatment at 10~circC for 10 days resulted in the best multicellular division to produce microcalli at 12.5% efficiency in shed microspores. Heat shock at 33~circC for one hour before or after pollen shedding enhanced cell division and callus formation. Out of twelve green regenerants, two were haploids and ten were diploids based on the chromosome analysis of root tips. The size of stoma was 12m m in haploids and 15 ~mu~textrmm in diploids deter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