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mbrosia beetle, Xyleborinus saxesenii Ratzeburg, infests physiologically stressed apple and peach trees in Korea. Dispersing females utilize the degradation product ethanol and host-related volatiles to locate and colonize new host trees. We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12 chemicals emitted from fruit trees act synergistically with ethanol to attract X. saxesenii. The addition of benzaldehyde to ethanol significantly increased beetle attraction, although benzaldehyde was not attractive by itself. The addition of α-pinene, ethyl butyrate, ethyl isovalerate, limonene, 3-methyl-1-butanol, ethyl tiglate, aromadendrene, vanillin, 2-butanol, styrene, or ethyl 3,3-dimethylacrylate to ethanol had no effect on beetle attraction. In a dose-response test, the addition of 5–50% benzaldehyde doses synergistically increased the number of beetle captures; however, trap catches did not increase as the benzaldehyde dosage increased. The synergistic influence of benzaldehyde on beetle response to ethanol was lower in early spring than in late summer to early fall, probably because synthetic benzaldehyde emissions from field lures were overwhelmed by background levels of natural benzaldehyde emitted from peach twigs in the flowering stage.
        2.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버섯과 배지에 피해를 주는 긴수염버섯파리와 원예작물의 뿌리를 가해하는 작은뿌리파리 같은 버섯파리류의 성충 발생예찰에 끈끈이트랩이 사용되고 있으며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예찰은 살충제 및 친환경 방제 수단의 투입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측도이기도 하다. 다양한 색상의 끈끈이트랩은 간편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버섯파리류의 성충을 비롯한 비행 능력이 있는 대부분의 해충 예찰에 이용된다. 버섯파리류 성충 예찰에는 황색 끈끈이트랩이 가장 효과적이며, 예찰뿐만 아니라 대량유살을 통한 방제 목적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버섯재배사와 원예작물 재배지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버섯파리류 성충의 효과적인 예찰 및 방제를 위한 끈끈이트랩의 최적 설치위치를 검토한 결과,양송이와 느타리버섯은 2단 베드에, 톱밥표고버섯은 베드 위 100 cm에, 수경재배 딸기는 베드 하단에, 수경재배 토마토는 베드 위 20 cm에 설치하였던 끈끈이트랩에서 버섯파리류 유인수가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버섯파리류 성충의 효율적인 예찰 및 방제를 위해서 작물의 재배형태나 환경에 따라 끈끈이트랩의 설치 위치를 달리하여야 되는 것을 시사했다.
        3,000원
        3.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지역 원예작물 시설재배지에 발생하는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에 대한 약제 감수성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배작물과 관계없이 acetamiprid (8%) SP, clothianidin (8%) SC, imidacloprid (10%) WP, thiacloprid (10%) WG와 같은 네오니코티노 인드계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과채류 재배지 채집 꽃노랑총채벌레에 대해 acetamiprid + spinetoram (6+4%) SC와 clothianidin + spinetoram (6+4%) SC, methoxyfenozide + spinetram (6+4%) SC가 90% 이상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실내에서 꽃노랑총 채벌레에 살충효과가 높았던 약제를 대상으로 채집지역과 대상작물을 동일하게 화성지역 오이 시설재배지에서 포장검정을 수행한 결과 spinetoram (5%) WG의 경우 약제 처리 3, 6, 9일 경과 후 방제효과는 87.4, 88.0, 98.3%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imidacloprid (10%) WP는 약제 처리 3, 6, 9일 경과 후 방제효과는 1.7, 24.1, 43.6%로 나타나 실내검정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원예작물 꽃노랑총채 벌레 방제를 위해서 살충제 선택의 폭이 좁은 가운데, 스피노신계와 피롤계의 약제들이 타 계통의 약제에 비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이며, 구 체적으로는 스피노신계의 spinetoram과 spinosad의 함량을 각각 4, 10% 이상 함유하거나 피롤계의 chlorfenapyr가 5% 이상 함유된 단제 또는 혼합제를 선택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4.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amages of medicinal crops by thrips and identification of thrips species were investigated on major medicinal crops, Platycodon grandiflorum, Schizandra chinensis, Codonopsis lanceolata, Lycium chinense, Bupleurum falcatum, Ledebouriella seseloides, Angelica gigas, Glycyrrhiza uralensis, Liriope platyphylla, Atractyloides sp., in Suwon, Eumseong, Jecheon, Pyeongchang, Chyungyang 2012. Thrips and their damages were found at all of the medicinal crops investigated, mostly occurring at early growing stages of each medicinal crop and causing apical meristem region withered, thereby inhibiting the growth of plants. As a result, Frankliniella intonsa, Thrips tabaci, and Megalurothrips distalis have been identified as dominant species on medicinal crops in open field, whereas Frankliniella occidentalis was restricted to Lycium chinense in which protected cultivation. Occurrence of thrips species on medicinal crops seems to be affected by host specific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ultivation types.
        5.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 화성지역에서 시설재배 무화과를 대상으로 총채벌레의 발생현황과 피해특성을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트랩 및 피해과실에서 발생하는 총채벌레를 동정한 결과 파총채벌레(Thrips tabaci Lindeman),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rybom) 등 3종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이들 3종 중 파총채벌레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꽃노랑총채벌레, 대만총채벌레 순으로 나타났다. 총채벌레에 의해 피해를 받은 과실은 비대생장과 착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표면이 거칠고 코르크화 되었다. 실체현미경 을 이용하여 피해 받은 과실의 내부를 조사한 결과 피해부위에 회색곰팡이가 발생하였고, 총채벌레의 사체 및 탈피각이 관찰되었다. 무화과 주 수 확기에 총채벌레에 의한 과실의 피해율은 7월이 18.2%로 가장 피해가 많이 나타났으며, 이후에는 8월(9.7%), 9월(2.9%), 10월(1.3%) 순으로 나타났다.
        4,000원
        6.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0년대 초반 이후 국내 시설 원예작물 재배면적은 급격히 증가하였지만 농가당 재배면적은 협소하여 생산성 증대를 위한 생력관리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시설하우스에서는 해충들이 다발생하고 방제가 어려워 많은 양의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어 생력재배를 어렵 게 하고 있다. 또한 과도하고 부적절한 살충제의 사용은 저항성 해충의 출현과 농약중독이라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 재배 온실 에서 무인 연무방제기를 이용한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과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의 효율적 방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무인 연무방 제기를 가동시키는 동안 시설 내 측창과 출입구가 완전히 폐쇄된 조건하에서는 시설 내 상대습도가 높게 유지되었고(>95%) 관행방제 약제처리 구와 유사한 방제 효과를 보였다(방제가 61.0∼94.1%). 반면 무인 연무방제기 가동 시간 동안 측창과 출입구를 50% 정도 개방한 조건에서는 시 설 내 상대습도가 상대적으로 낮았고(<95%) 측창과 출입구가 모두 폐쇄된 온실 조건보다 방제 효율이 낮았다(방제가 36.0∼54.4%).
        4,000원
        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톱밥배지 표고버섯 재배지에서 황색 끈끈이트랩을 이용한 Lycoriella ingenua의 성충 유인수를 조사한 결과 9월 26일에 화성에서는 트랩 당 127.5∼1,025.7마리, 부여에서는 87.4∼743.6마리, 청원에서는 133.7∼650.4마리로 세 지역에서 9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L. ingenua는 유충이 자실체를 직접 가해하여 상품성을 떨어뜨리거나, 배지 속에서 유충이 서식하면서 배지의 영양분을 먹고 심하면 배지를 스폰지화하여 표고버섯 자실체의 성장을 저하시키는 피해증상을 나타내었다. L. ingenua의 표고버섯 자실체의 피해율은 화성에서 7.7∼30.3%, 부여에서는 6.7∼25.3%, 청원에서는 5.3∼26.0%로 세 지역에서 9월 하순에 피해가 많았다. 톱밥배지 표고버섯을 재배하는 화성, 부여, 청원에서 천적인 아큐레이퍼응애를 이용하여 L. ingenua의 방제효과를 알아본 결과 ㎡ 당 아큐레이퍼응애의 약충과 성충을 30.3마리 밀도로 7∼14일 간격으로 3회 처리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얻었다. 화성의 표고재배 농가에서는 아큐레이퍼응애 처리구에서 L. ingenua의 성충 유인수가 끈끈이트랩 당 평균 168.2마리, 자실체 피해율은 평균 5.9%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67.1%, 69.3%가 감소되었다. 부여와 청원의 표고재배 농가에서는 끈끈이트랩 당 성충 유인수가 각각 평균 126.1마리, 132.5마리였고 자실체의 피해율은 5.5%, 5.4%로 성충 유인수는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각각 61.7%, 60.3%, 자실체 피해율은 64.3%, 63.5%가 감소되었다.
        4,000원
        8.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lueberry gall midge, Dasineura oxycoccana (Johnson)(Diptera: Cecidomyiidae), has known as a key pest of blueberries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Europe and Canada. It can cause considerable damage to developing blueberry flower buds and also injure vegetative growth by distorting and blackening shoot tips. Similar symptoms of damage, which mighty be caused by D. oxycoccana, have been investigated on blueberry plants(damage rate: 20~80% of total shoot tips), Vaccinium spp., in Hwaseong-si of Gyounggi-do in 2010. And,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on the occurrences of D. oxycoccana and its damages in 2010~2012. We emphasize caution concerning the possibilities that D. oxycoccana could infest flower buds and shoot on blueberries and developed monitoring methods and environment-friendly management strategies for D. oxycoccana on buleberry.
        9.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Lettuce was a leaf vegetable with short growing term and cold-tolerant plant. We grew it the whole year. The price of lettuce is the most expensive from July to September. But damages by lots of insect pests appear to greenhouse grown lettuce in summer season. In this study, we observed biological controls of western flower thrips(Franklinella occidentalisi) by the predator mites, Amblyseius swirskii and Neoseiulus cucumeris in lettuce greenhouse from July 7 to September 10. Hypoaspis aculerfer larvae and adults were released 30 individuals per m2 at the first one time as lettuce was planted on the greenhouse. We checked the density of F. occidentalis every 10 days on the 30 lettuce leaves. When the population of F. occidentalis reached 1~5 individuals per a leaf, A. swirskii larvae and adults were released 35 individuals per m2 at 1~3 times and Neoseiulus cucumeris larvae and adults also were released 150 individuals per m2 at 2~3 times in each lettuce greenhouse. During the high temperature season, Amblyseius swirskii was more effective biological controls of F. occidentalis than Neoseiulus cucumeris.
        1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lossom midge, Contarinia maculipennis Felt (Diptera: Cecidomyiidae) is originated in Southeast Asia and has been present in Japan, USA and Hawaii. Recently, C. maculipennis was intercepted in Japan, USA and Netherlands with orchid flowers imported from Southeast Asian countries. This pest is designated as quarantine pest in Korea because of its potential damages to vegetables and ornamental plants in case when this pest introduced in Korea. C. maculipennis has known to feed inside unopened flower buds, causing deformed, discolored buds and blossoms. And, in severe infestations, cause premature bud or blossom drop. In Korea, similar damage symptoms have been reported in western orchids which mighty be caused by C. maculipennis from Mid-2000s, especially on D. phalaenopsis. An official recognition to C. maculipennis was given in 2007. And, the occurrences of C. maculipennis and its damages were investigated mainly on D. phalaenopsis in 2008~2009. We emphasize caution about recognizing the possibilities that C. maculipennis could infest flower buds of an orchids and carry out management strategies for this pest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