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latonin has an important role as anti-oxidative effect and reducing of endoplasmic reticulum(ER)-stress on oocyte maturation and embryo development. Under ER-stress condition, unfolding protein response (UPR) is a defence mechanism in mammalian cells. Recently, regulation of UPR signaling genes are involved in oocyte maturation, embryo development and female reproduction. However, there is no report on the role of melatonin for UPR signaling and ER-stress mediated apoptosis during pig oocyte maturation progression. Moreover, the changes of UPR genes expression according to the porcine oocyte maturation is not yet fully understood. Here,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UPR signal (BIP/GRP78, ATF4, p90/p50ATF6, and XBP1) and ER-stress apoptotic factor CHOP genes expressions in porcine oocyte maturation by Western blot and RT-PCR analysis. During oocyte maturation, UPR marker and CHOP genes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matured oocytes or cumulus-oocyte complexes (COCs). UPR markers expressio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ER-stress inducer, tunicamycin (Tm), treated (1, 5, 10 μg/ml) groups in a dose-dependent manner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o confirm the reducing of ER-stress by melatonin (0.1 μM), we were compared to the effects of ER-stress inhibitor, TUDCA (200 μM), after pre-treated Tm (5 μg/ml) for 22 h maturation. Expressions of UPR markers and meiotic maturation were recovered by melatonin (0.1 μM) in COCs. And, we observed the role of Grp78/Bip as UPR signaling beginning marker using siRNA. In result, reduction of Grp78/Bip gene expression by siRNA was induced the inhibition of oocyte maturation (32.5±10.1 vs control; 77.8±5.3), and p50ATF6 protein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01) in cultured COCs for 44 h. In addition, these results were recovered through the addition of melatonin (0.1 μM) or TUDCA (200 μM) in maturation medium.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regulation of UPR signaling via Grp78/Bip gene induc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porcine oocyte maturation in vitro. Furthermore, this present study first confirmed a functional link between inhibition effect of ER-stress by melatonin and regulating of UPR signaling in porcine oocyte maturation. In conclusion, melatonin improves the oocyte maturation and cumulus cells expansion of COCs through the regulation of UPR signal pathway by BIP/GRP78 against the ER-stress during porcine oocyte maturation periods.
        5.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절화용 나리 주요 품종을 대상으로 구근 정식 시 기에 따른 생장과 발육의 특성을 알아보고 개화 및 절화 품질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연중재배에 필요한 기초자 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오리엔탈 나리 ‘Siberia’, 오리엔탈-트 럼펫 종간잡종 나리 ‘Robina’, 나팔나리 ‘Bright Tower’의 구근 은 상자에 정식되어 싹틔우기 실시 후 4월 29일, 6월 23일, 8 월 26일에 비닐하우스로 운반되었다. 정식 시기별 일평균기온 은 품종에 따른 재배 기간별로 달랐으나 약 23℃, 26℃, 19℃ 로 나타났다. ‘Siberia’의 경우 정식 시기에 따라 초장과 엽수 는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기간이 긴 8월 26일 정식에서 생체중 과 화뢰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Robina’의 경우 저장기간 이 긴 8월 26일 정식에서 초장, 생체중, 화뢰 수가 모두 유의 하게 감소하였다. ‘Bright Tower’는 일평균기온이 높은 6월 26 일 정식에서 초장이 감소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긴 8월 26일 정 식에서 생체중과 화뢰 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절화수명의 경우 일평균기온이 가장 낮은 8월 26일 정식시 증가하였으며 대륜화인 ‘Robina’의 경우 고온에서 재배되는 6월 23일 정식에 서 화폭이 16.5cm로 8월 26일 정식 시 18.4cm에 비하여 감소 하였다. 화뢰 출현일과 수확일수 등 생육상의 변화는 재배 기 간의 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높은 일평균기온 화뢰 출현일과 수확일수를 감소시켰다. 특히 일평균기온 22℃ ~ 24℃ 범위는 생육상을 조절하는 결정적인 온도 범위 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7.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한 나리의 구근크기와 수확 시 기에 따른 절화 특성을 알기 위해 FA 종간잡종 나리 ‘Green Star’를 이용하여 수확 후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 다. 구근 크기에 따른 절화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8- 10cm, 10-12cm, 12-14cm, 14-16cm 구근 크기별로 절화 를 수확하였으며, 수확 시기에 따른 절화 특성을 알기 위 해 절화 수확 시 1번 화뢰의 크기에 따라 6cm, 8cm, 10cm로 분류하여 화뢰수가 3개인 것을 수확하였다. 구 근 크기가 커질수록 생체중은 비례하여 커지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 화뢰 수는 구주 8-10cm 경우 1.5개, 10-12cm 경 우 2개, 12-14cm 경우 2.3개, 14-16cm 경우 2.9개, 16- 18cm 경우 3.4개로 구근 크기가 커질수록 화뢰 수가 증 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번화가 6cm, 8cm, 10cm 일 때 수확하여 저장한 후 화뢰별로 개화특성을 살펴본 결과 화 뢰가 10cm 일 때 수확하는 것이 비정상 개화율을 감소시 키고 절화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개화 소요일수가 짧 아지고 저장기간동안 생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4,000원
        8.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출용 오리엔탈나리 ‘시베리아’의 여름철 고랭지 절화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4단계의 대형 구근을 이용하여정식 전 싹틔우기 처리로 시험한 결과, 작은 구근일수록 저온 싹틔우기 기간이 짧은 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구근 크기가 클수록 기간이 길 때 효과적이었다. 구주18cm에서는 2οC 0일+5οC 7일+12οC 14일, 구주20cm에서는 2οC 7일+5οC 7-14일+12οC 14일, 구주22cm에서는 2οC 14일+5οC 14일+12οC 14일과 2οC21일+5οC 7일+12οC 14일, 구주 24cm에서는 2οC 14-21일+5οC 7일+12οC 14일 처리했을 때 절화장이 크고, 화수장 비율이 25-27%로 양호하였다. 수확소요일은약 10일 더 빨랐고, 꽃 수는 1개 감소하였고, 블라인드는 0%, 절화등급은 2.2~b1.0로 절화 품질이 향상되는효과를 나타냈다.
        4,000원
        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농업기술원에서는 2003년 무름병에 비교적 강하고 화색과 화형이 좋은 품종인 분홍색의 ‘Super Gem’과 꽃이 많고 진분홍색 의 ‘Lipstick’을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하여 인공 교배하였다. 2003년 10월에 30개의 종자를 수확 후 2004년 2월에 파종하여 1년 동안 양구한 구근은 2005년에 개화특성을 검정하여 화색과 화 형이 좋은 GWCL05027을 선발하였으며, 2006년에 포장 재배하여 자구 증식률, 초장과 초세 등 1차 특성검정 후 2차 선발 하였다. 2010과 2011년에 특성검정과 재배시험을 통하여 균일성과 안정성이 인정되어 ‘립글로(Lip Glow)’를 육성하였다. 화포 외부의 주된색은 붉은 분홍색이며, 폭은 5.2cm, 개화소요일수는 76일, 초장은 63.6cm, 괴경은 46.1g으로 주로 절화용으로 이용 가능하다.
        3,000원
        10.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리엔탈나리 ‘Siberia’ 품종 조직배양구를 이용하여 생산된 소구 및 중구를 강원지역 고랭지(인제)와 평난 지(강릉)의 무가온하우스에 정식하였을 때 정식한 구근 크기와 재배지역에 따라 구근비대 정도를 조사 분석하 여 향후 나리 종구 생산의 예측가능한 구근생산모델을 제시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제지역(해발 500 m)에서 재배된 것이 평난지 보다 종구 생존율, 구 주가 크고, 구중이 무겁고, 자구수가 많아 효과적이었 다. 인제지역에서 구근 크기별로 정식한 후 180일간 재배하여 수확한 구근의 비대 결과, 구주(구근둘레) 4.0-5.9 cm 크기의 구근을 정식하였을 때 수확한 구근 크기는 10.8-11.3cm, 구중은 19.5-23.4 g, 구주 6.0- 8.9 cm 크기의 구근 정식 시 수확 한 것은 12.5- 13.9 cm, 구중은 29.2-43.5 g, 9.0-10.9 cm 크기의 구 근 정식 시 수확한 것은 16.0-17.9 cm, 구중 58.9- 85.5 g의 구근을 생산하였다.
        4,000원
        11.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온기에 재배된 오리엔탈나리의 절화는 절화장이 짧아지고 꽃수와 꽃봉오리가 적어지기 때문에 절화 품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구근 정식 전 적정 온도에 서 싹틔우기 처리를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오리엔 탈나리 ‘시베리아와 ‘카사블랑카의 절화품질에 미치는 정식기별 정식 전 구근의 싹틔우기 처리 효과를 구명 하기 위하여 강릉 고랭지에서 정식기를 6월 10일, 6 월 24일, 7월 10일로 하여 12oC에서 0, 10, 15, 20 일간 싹틔우기 처리를 하였다. 정식시기에 관계없이 15-20일간 싹틔우기 처리시 절화장, 절화중 및 화뢰장 이 증가하였고, 생리장해인 블라인드 발생율도 57-77% 감소시켰으며, 수확소요일수는 약 7-8일 정도 단축되었 다. 줄기 휨 정도는 ‘시베리아’의 경우 정식 전 싹틔우기에 의해 약해졌으나 ‘카사블랑카’의 경우 강해져서 품종간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고온기 오리엔탈나리 의 고랭지 절화 생산 시 정식 전 12oC에서 15-20일 간 싹틔우기 처리로 생리장해 경감 및 절화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4,000원
        12.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itch-based carbon fiber tows were prepared from naphtha cracking bottom oil by reforming and carboniz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othermic heat and carbon contents of the fiber was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carbonization conditions. The carbon contents and the crystallinities of isotropic pitch-based carbon fibers were 86.8~93.8 wt% and 33.7~40.1%, respectively, which were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of carbonization temperature from 700 to 1000℃. The exothermic heat (temperature increase) of fiber tows was measured in a short time, which was also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of carbon contents due to the increase of crystallinity, even though the crystallinity was low. Therefore, the carbon contents or carbonization degree of fibers can rapidly and indirectly be estimated by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increase of fibers.
        4,000원
        13.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routy (Spry) genes encode inhibitors of the receptor tyrosine kinase signaling cascade, which plays important roles in stem cells. However, the role of Spry4 in the stemness of embryonic stem cells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Here, we used mouse embryonic stem cells (mESCs) as a model system to investigate the role of Spry4 in the stem cells. Suppression of Spry4 expression results in the decreases of cell proliferation, EB formation and stemness marker expression, suggesting that Spry4 activity is associated with stemness of mESCs. Teratoma assay showed that the cartilage maturation was facilitated in Spry4 knocked down mESCs. Our results suggest that Spry4 is an important regulator of the stemness and differentiation of mESCs.
        14.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d51 is a key component of homologous recombination (HR) to repair DNA double-strand breaks and it forms Rad51 recombinase filaments of broken single-stranded DNA to promote HR. In addition to its role in DNA repair and cell cycle progression, Rad51 contributes to the reprogramming process during the generation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n light of this, we performed reprogramming experiments to examine the effect of co-expression of Rad51 and four reprogramming factors, Oct4, Sox2, Klf4, and c-Myc, on the reprogramming efficiency. Co-expression of Rad51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s of alkaline phosphatase-positive colonies and embryonic stem cell-like colonies during the process of reprogramming. Co-expression ofRad51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epithelial markers at an early stage of reprogramming compared with control cells. Phosphorylated histone H2AX (γH2AX), which initiates the DNA double-strand break repair system, was highly accumulated in reprogramming intermediates upon co-expression of Rad51. This study identified a novel role of Rad51 in enhancing the reprogramming efficiency, possibly by facilitating mesenchymal-to-epithelial transition and by regulating a DNA damage repair pathway during the early phase of the reprogramming process.
        15.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른 응용분야에 비하여 개략적인 성능을 요구했던 해양 분야에서도 최근 들어 항만 영역에 따라 수치적으로 구체화된 성능을 요구 하고 있고, 측위 정확도뿐만 아니라 무결성, 연속성, 가용성 면에서도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현 DGPS 기준국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입 장에서, DGPS 서비스는 아직 IMO에서 요구하는 성능을 모두 만족시키기에 불충분하다. 특히, HEA 영역에서 요구하는 측위 정확도 수준은 대 부분 만족하나 무결성 측면에서는 성능을 보장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DGPS 기준국의 감시, 보장, 공지 기능을 강화하여 무결성 측면 에서 보강하기 위한 향상된 감시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현재 DGPS 서비스 감시 기능의 취약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대책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 DGPS 서비스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16.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네트워크 RTK는 네트워크 내 다중 기준국의 반송파 측정치 보정정보를 활용하는 정밀 측위 기법으로 성능 개선을 목적으로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까지는 주로 측지 측량 분야에서 사용하였기 때문에 정확도 개선을 위한 연구 위주로 진행되었으며, 무결성 확보를 위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RTK에서의 무결성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로 네트워크 RTK 환경에 적합한 감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 RTK에서의 무결성 결함 조건을 도출하고, 각 결함 조건 별로 활용할 수 있는 이상 검출 및 식별 기법을 소 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RTK를 서비스하는 중앙처리국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17.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NSS를 이용한 정밀측위에서 미지정수 결정은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정확한 미지정수를 추정하는 경우에는 수 mm에서 수 cm 의 정밀한 측위결과를 가져오지만 부정확한 미지정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측위결과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보장할 수가 없다. 미지정수 결정 은 IR(Integer Rounding), IB(Integer Bootstrapping), ILS(Integer Least Squares) 등의 기법을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중에서 ILS는 이 론적, 실험적으로 가장 좋은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다른 기법들과 달리 ILS는 미지정수에 대한 후보를 검색하기 때문에 올바른 미지정수 를 판단하기 위한 타당성 검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타당성 검정 기법간의 실험적인 비교 분석을 수행한다. 실험에는 타당성 검정 기법 으로 자주 쓰이는 R-ratio, F-ratio, W-ratio가 사용되었다. 각 타당성 검정 기법의 성능을 정상동작, 검출, 미검출, 오검출로 나누어 평가하였 다. 실험결과로 각 타당성 검정 기법의 장단점이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적용환경에 따라 기법이 선택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18.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Moench), one of the minor crops grown in Korea belonging to the Polygonaceae family, is an annual crop widely cultivated in Asia, Europe, and America and has a character of outcrossing and self-incompatibi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etic variability,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population structure of buckwheat landraces of Korea using SSR markers. Ten microsatellite markers have been detected from a total of 79 alleles among the 179 buckwheat accessions were collected from Korea. The number of allele per marker locus (NA) ranged from 2 (GB-FE-001, GB-FE-043 and GB-FE-055) to 31 (GB-FE-035) with an average of 7.9 alleles. GB-FE-035 was the most polymorphic with the highest PIC value 0.93. Major allele frequencies (MAF) for the 10 polymorphic loci varied from 0.12 to 0.97 with a mean allele frequency of 0.57. The expected heterozygosity (HE) values ranged from 0.05 to 0.94 with an average of 0.53. The observed heterozygosity (HO) ranged from 0.06 to 0.92 with an average of 0.42. The overall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s (PIC) values ranged from 0.05 to 0.93 with an average of 0.48. The landrace accessions of buckwheat used in the present study were not distinctly grouped according to geographic distribution.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results revealed genetic differentiation was low according to the geographic region because of outcrossing and self-incompatibility. We reported that our analyses on the genetic diversity of common buckwheat cultivars of Korea were performed by using of microsatellite ma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