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 및 아열대 아메리카 지역이 원산지인 열대거세미나방(신칭; Spodoptera frugiperda (Smith, 1797))은 최근 전세계적에서 돌발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농업 해충이다. 높은 비행능력을 가진 열대거세미나방은 2016년 아프리카를 시작으로 2018년 인도, 2019년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어 확산 속도가 매우 빠르다. 한국에서 열대거세나방은 2019년 6월 13일 제주도 옥수수 재배 농가포장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그 후 2019년 7월 초까지 전라도, 경상남도의 여러 시/군에서 추가로 발견되었다. 한국에서 최초 침입집단을 미토콘드리아 COI유전자를 이용하여 열대거세미나방임을 유전적으로 동정하였고, 서로 다른 분기군에 속하는 2개의 haplotypes(hap-1, hap-2)으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분석된31개의 COI 염기서열 중 hap-1 이 93.5%로 우점하였다.
루비깍지벌레 Ceroplastes rubens는 감귤에 피해를 주는 주요 깍지벌레 중 하나로 연 1회 발생하며 수액을 흡즙하는 직접적인 피해와 분비된 감로로 인한 그을음병 유발의 간접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제주지역에서 루비깍지벌레 천적으로는 루비붉은깡충좀벌 Anicetus beneficus와 애홍점박이무당벌레 Chilocorus kuwanae 2종이 확인되었다. 1975년 일본에서 도입 방사한 천적인 루비붉은깡충좀벌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루비깍지벌레 발생 억제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2018년 4월부터 12월까지 도내 유기재배 감귤원 (2개소)에서 황색끈끈이트랩을 이용 루비붉은깡충좀벌 성충의 시기별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월동세대 성충은 5월 중순, 제1세대와 제2세대 성충은 각각 7월 중순과 8월 하순에 발생 정점을 나타내었다. 조사 포장에서 루비깍지벌레의 기생률은 9월 중순에 9.6%와 19.6%이었다.
파밤나방은 배추과 채소 등 여러 농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는 중요한 나방류 중의 하나이며, 돌발적으로 다발생한 경우 큰 피해를 주기도 한다. 제주지역에서 배추과 채소 주요 재배지역인 제주시 한림읍에 2007년부터 2011년까지 파밤나방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시기별 발생밀도를 조사하였다. 트랩에 최초 유인 시기는 4월 상순이었으나 3월 온도가 높은 해에는 3월 상순에 유인되기도 하였다. Karimi-Malati et al.(2014)의 발육온도 모델을 이용하여 제주지역에서의 연간 발생세대수를 추정한 결과 4∼5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성페로몬 트랩의 발생 절정기별 다음 세대 성충 발생시기와 트랩 유인밀도와의 관련성을 2009년과 2010년 조사 자료에 대해 검토한 결과 연관성이 낮은 시기가 나타났다. 이 시기 NOAA의 HYSPLIT 모델(Rolph et al., 2017)을 이용하여 기류의 역방향과 순방향 궤적선을 추적한 결과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장거리 이동에 관여하는 기상요인과 비래원은 6∼7월에는 장마전선 등에 의한 중국의 남중부지역이, 8∼9월에는 중국의 북동부지역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방울다다기양배추 포장에서 발생하는 병해충에 대한 발생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2016 ~ 2017년(2개년) 7월(파종기)부터 이듬해 2월(수확기)까지 육안 관찰과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조사 하였다. 방울다다기양배추에 발생하는 병해충은 병해 5종, 해충 15종으로 총 20종이 조사되었으며, 주요 병해는 검은썩음병, 검은무늬병, 해충은 배추좀나방, 도둑나방, 배추흰나비, 양배추가루진딧물이었다. 성 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주요 나방류 발생시기를 조사한 결과 배추좀나방은 연중, 파밤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은 9월~11월에 주로 발생되었으며, 도둑나방은 성 페로몬 트랩에 의한 포획 개체수는 적었으나 피해는 심한 편이었다. 얻어진 결과를 활용하여 방울다다기양배추의 시기별 주요 병해충 발생 및 방제체계를 도식화하였다.
귤애가루깍지벌레는 감귤의 주요 깍지벌레 중 하나로 시설재배에서 피해가 심하다. 귤애가루깍지벌레는 밀집하여 발생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귤굴나방이나 잎말이나방류 피해 잎에 기생하고 있어 약제 방제가 어려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제주지역의 친환경 감귤원을 대상으로 천적곤충과 병원성 미생물을 조사하였다. 천적곤충은 기생성 천척은 Anagyrus sp. 1종과 포식성 천적은 혹파리 일종인 Golanudiplosis japonicus와 꼬마남생이무당벌레 Propylea japonica,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풀잠자리 Chrysoperla carnea, 호랑풀잠자리 Micromus sp. 5종이었다. Anagyrus sp. 성충을 황색끈끈이트랩으로 연중 시기별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5월 하순~11월 상순까지 발생하였으며, 귤애가루 깍지벌레 1세대 기간 동안 2회의 발생성기가 나타났다. 그 외에 곤충병원성 곰팡이 일종인 Paecilomyces sp.가 확인되었 는데, 주로 장마철에 자연발생되고 있었다. 귤애가루깍지벌레 생물적 방제를 위해 수입 천적인 Cryptolaemus montrouzieri (상품명: 깍지무당벌레)를 농가에서 구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시설딸기 주요 비행 해충인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와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 유시충,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um에 대해 발생초기 파악을 위한 황색끈끈이트랩 이용기술을 규명하였다. 제주지역 농가 재배 3개소에서 5개년 동안(2013~2017년) 재 배 전 기간(9월~이듬해 5월)에 걸쳐 조사한 트랩자료를 이용 분석하였다. 해충의 공간분포 특성은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Taylor’s power law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으로 분석한 결과 대상 해충 모두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다. 두 회귀식 중 꽃노랑총채벌레와 목화진딧물 유 시충은 Taylor’s power law이, 온실가루이는 Iwao’s patchiness regression이 공간분포 특성을 잘 설명하고 있었다. 트랩당 평균밀도와 최고밀 도, 11마리 이상 잡힌 트랩 비율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트랩당 평균 밀도 4.0마리를 추정에 필요한 최소 트랩수는 꽃노랑총채벌레 13개, 목화진딧물 유시충 11개, 온실가루이 10개이었다. 고정 정확도 0.25 수준에서 3종 해충의 Taylor’s power law과 Iwao’s patchiness regression 상수를 이용하여 축차표본조사 중지선을 구하였다.
벼룩잎벌레(Phyllotreta striolata)와 무잎벌(Athalia rosae ruficornis)는 제주지역 무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 구는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의 트랩 색(황색과 청색)과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6R,7S)-himachala-9,11-diene과 기주식물 휘발성 물질 인 allyl isothiocyanate의 혼합물을 이용 두 해충의 발생을 간편하게 예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벼룩잎벌레는 트랩 색에 관 계없이 집합페로몬이 부착된 점착트랩에 더 많은 성충이 유인되었으며, 무잎벌은 황색점착트랩이 청색트랩보다 더 많이 유인되었고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은 유인량에 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을 부착한 황색점착트랩을 이용하면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 발생을 효 율적으로 예찰할 수 있었다. 점착트랩의 높이는 기주식물에 가까울수록 두 해충의 유인수가 많아 기주식물 상단 10 cm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좋 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룩잎벌레와 무잎벌의 연간 발생피크는 각각 3회와 5회정도 나타났으며, 두 해충의 첫 주발생시기는 벼룩잎벌레는 3월 중하순, 무잎벌은 4월 중하순이었다.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의 연간 발생특성을 이용하면 두 해충의 무에서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중요한 정 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담배가루이, Bemisia tabaci는 바이러스병의 매개로 인해 제주지역 시설재배 토마토에서 가장 중요한 해충으로 인식되고 있다. 황색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담배가루이 성충의 실용적인 발생밀도 추정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2011과 2012년 제주 서부지역의 농가재배 토마토 포장에서 포장 상황에 따라 20~30개의 트랩을 설치하여 7~10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황색끈끈이트랩을 지상 60 cm 높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한 것 이 작물 상단 10 cm 위에 수직으로 설치한 것보다 더 많은 담배가루이가 유인되었다. 황색끈끈이트랩에 유인된 담배가루이 성충의 분포형태를 Taylor’s power law (TPL)과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을 이용 분석한 결과 두 회귀식의 기울기값이 모두 “1”보다 커 담배가루이 성충이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다. TPL의 결정계수(r 2 )값이 IPR보다 더 높아 TPL이 담배가루이 성충의 공간분포 특성을 더 잘 설명하고 있었다. 담배가루이 성충 밀도를 추정하는데 필요한 황색끈끈이트랩의 수를 TPL 상수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는데 정확도 수준이 높을수록, 평균밀도가 낮 을수록 필요한 트랩수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TPL 상수를 이용하여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조사를 중지하더라도 트랩당 평균밀도를 추정이 가 능한 누적밀도를 계산하였다. 담배가루이 성충의 방제시기를 트랩 최고 밀도 10마리로 가정했을 때 이 밀도에서 필요한 포장당 트랩수는 고정정 확도 0.25수준에서 15개이었다. 담배가루이 성충의 트랩당 평균밀도는 트랩마다 모든 성충수를 계수하는 것보다 2마리 이상 유인된 트랩의 비율 을 가지고 추정하는 이항모델 [ln(m) = 1.19 + 0.90 ln(-ln(1-pT))]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정 확한 방제의사 결정을 통해 담배가루이가 매개하는 바이러스병 확산을 막는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Sweet potato whitefly (SPW), Bemisia tabaci, is the most serious pest of greenhouse tomato as a vector of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since 2008 in Jeju.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within-plant distribution of SPW nymphs on leaves and the characteristic of spatial distribution of SPW adults using by yellow-color sticky trap in greenhouse-grown tomato plants. The nymphs of SPW were mainly distributed on leaves of mid-lower stratum in three stratum of tomato plant. They were also more distributed on three to four leaflets from basal part in a leaf. Ten plots and three plants per plot were appropriated to estimate of mean density of SPW nymph using by visual inspection in a tomato greenhouse. The more SPW adults were caught on horizontally placed sticky trap above 50~80 cm than vertically placed sticky trap above tomato canopy. The horizontal direction trap should be placed in opened site. SPW adults were shown the aggregated distribution pattern using by Taylor’s power law (TPL) and Iwao’s patchiness regression (IPR) model which are commonly used fo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alysis. TPL was showed better description than IPR fo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SPW adults. The required number of trap tended to decrease according to increase the mean density of SPW adult
Entomopathogenic fungus Aschersonia aleyrodis naturally occurred on citrus whitefly, Dialeurodes citri nymph was often observed in organic citrus orchards, Jeju. The genus Aschersonia is also known to be toxic against scale insects and other pest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artificial media for mass production of spores of Aschersonia species. Grains are excellent sources of media for mass conidia production of various entomopathogenic fungi. The yeast extract, which converts carbohydrates to carbon dioxides and alcohols, contains a large amount of vitamin B complexes which facilitate the carbohydrate metabolism. The more yeast extract content the more conidia production on artificial medium made from commercial corn flour and corn gluten feed. The number of conidium produced on oat, millet, sorghum, and unhulled barley medium containing 1% yeast extract were 1.8, 1.8, 1.6, and 2.1×1010/plate (90mm × 15mm), respectively. However, the greatest yeast effect among four media showed appeared on sorghum medium, which produced 25 times higher spore production than sorghum alone. Furthermore, the conidia from solid sorghum medium could be easily harvested with cell scraper.
Aschersonia aleyrodis was well-known to be a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citrus whitefly, Dialeurodes citri. This entomopathogenic fungus is naturally occurred in organic farming citrus orchards in Jeju. Both lime-sulfur and Bordeaux mixtures are extensively used today to control citrus diseases like citrus melanose and citrus scab, especially in organic farming pest management program. The high concentrated lime-sulfur is also used for pest control such as pink citrus rust mite and scale insects. This study was focused to test the conidial germination and sporulation of Aschersonia aleyrodis on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um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wo fungicides. The conidia of Aschersonia aleyrodis grown on PDA mixed with commercial bordeaux mixtures, CM150-505, at dilution rate 1:200 (water : bordeaux mixture) were well-germinated but not sporulated at all. On the other hand, Aschersonia aleyrodis did not sporulate and germinate on lime sulfur treated PDA medium even at extremely low dilution rate 1:2,048,000 (water : lime sulfur). However, when the mycelial cells grown at 25o C for at least 7 days at soluble starch-tryptone medium were added to PDA, they were well-sporulated even at high dilution rate 1:100 (water : lime sulfur).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spore mixtures of Aschersonia aleyrodis should be applied to field quite long after lime-sulfur spray.
Beet armyworm (BAW), Spodoptera exigua (Hübner), is a polyphagous lepidopteran pest mainly distributed in tropical and subtropical regions. BAW are known to migrate long distances to find suitable host plant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The possibility of its overwintering in temperate regions has been suspecte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investigating overwintering and phenology of BAW using by sex pheromone trap in Jeju during 2007 to 2011. BAW was able to overwinter at pupae stage regardless of temperature of winter season in Jeju. The times of BAW caught first on traps were different by surveyed years - early March in 2007, middle March in 2008 and 2011 and early April in 2009 and 2010. The times of BAW caught on trap tended to be more dependent on temperature variation during on November and December than on mean temperature of winter season. The peak season of adults of the overwintering generation was early to middle of May. The results of seasonal periodicity of BAW monitored by sex pheromone trap during 2009 and 2010 indicated that five generations were passed in Jeju. The peak season of 1st generation was on middle of April, 2nd generation on middle of July, 3rd generation on early of August, 4th generation on late of August and 5th generation on middle of September. There were similar patterns by different above sea levels except the season of overwintering generation adults occurrence (March to May).
Arrowhead scale, Unaspis yanonensis, is a serious scale insect pest of citrus in Jeju. The sticky taping of 1.0 cm diameter twig was a good survey method for arrowhead scale crawler. There are three times crawler occurrence season - late May to early July, late July to middle September and late September to late October. But the third occurred crawlers are all died during overwintering in open-field gro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on efficient sampling plan for arrowhead scale within the tree. Twig and fruit was fit for secondary sample unit by two-stage variance analysis. Both sample number per tree (primary sample unit) was eight twigs or fruits. Taylor’s power law was better describ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arrowhead scale than Iwao’s patchiness regression. The slope of both linear regressions was greater than “1” which means aggregative distribution pattern. Minimum sample size to estimate the density was calculated using by two parameters of Taylor’s power law. To estimate the mean density on twig and fruit by binomial sampling plan, the optimum tally threshold was 5 and 7, respectively.
Scirtothrips dorsalis Hood is a newly advent pest on citrus in Jeju. Both larvae and adult attack the new shoots and young and matured fruits of citrus. S. dorsalis is highly polyphagous with over 100 recorded species, but not known in Jeju. As a result from investigating the host plants in and/or around citrus orchards in Jeju during 2009 to 2010, they were 25 families 39 species. The total thrips examined on those plants were 13 species, and the richness thrips among them was S. dorsalis, Frankliniella occidentalis, Thrips tabaci and Thrips hawaiiensis. The widespread host plants of S. dorsalis were Mallotus japonicus, Paederia scandens, Hedera rhombea, Cayratia japonica and Clematis apiifolia and they can be also used for monitoring plants. On early May, the larvae of S. dorsalis were first investigated on the shoots of Mallotus japonicus, Lonicera japonica, Paederia scandens, Viburnum awabukira, Fraxinus rhynchophylla and Celtis sinensis. The other thrips species except S. dorsalis and T. tabaci, especially F. intonsa, T. hawaiiensis, T. flavus and T. coloratus were just found on flower stalks during the blooming sea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