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3.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ince 2011, a total length of national highway in Korea is 13,797km and 97.6% of total length of national highway system is paved. Particularly, most of national highway has been paved as asphalt concrete pavement. Currently, many maintenance techniques, such as overlay and surface treatments, are applied on existing pavements depending on the failure levels of pavements. One of maintenance techniques is a hot in-place recycling (HIR) that shows features of cost effective and better performance because of the use of 100% recycling of reclaimed asphalt of existing pavement. HIR is widely used in Europe countries and the U.S. It is recommended to rehabilitate the old and distressed asphalt pavement because it is suitable from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 and convenient to use when a road is paved. Since 2002, HIR as a maintenance method has been used to rehabilitate the distressed asphalt pavement in National highway in Korea. Recently, a new HIR system, which consists of three pre-heaters, two recycler and one paver, is introduced in maintenance project in National highway. In this paper, HIR mixtures collected from a new HIR system in the field are tested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in the laboratory test. First, the reclaimed asphalt (RAP) materials and HIR mixtures are collected in the field project site. Second, the quality evaluation of RAP materials, HIR mixtures and rejuvenator are conducted in the laboratory. Test results of RAP materials and HIR mixtures are satisfied with national specification. Rejuvenator used in the project site is classified as RA-5. Based on the limited teste results, it would be concluded that a new HIR system could be produced a satisfied HIR mixtures in the maintenance projects of National highway.
        4.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study, we conducted laboratory tests to evaluate the moisture resistance of the asphalt mixture containing air-cooled slag. Generally, in Korea, hydrated lime is used up to 1.5% of the aggregate weight to improve the moisture resistance of the asphalt mixture. The slag used in this study is a byproduct produced in the steel industry and can be produced through a specific process. And its chemical composition is similar to that of the hydrated lime stone and satisfies the filler quality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Transport. In order to evaluate the moisture resistance of the asphalt mixture containing air-cooled slag, we conducted the dynamic immersion test, which is a non-compaction mixture test. Also we conducted the indirect tensile strength ratio test and the Hamburg wheel tracking test for compaction asphalt mixture test. As a result of the dynamic immersion test, the effect of stripping prevention was similar to that of hydrated lime because it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the hydrated lime mixture. In the case of indirect tensile strength test, the specimens prepared in the laboratory and on the site satisfied the quality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Logistics and the TSR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content of air-cooled slag. However, when the content of air-cooled slag is more than 2%, the indirect tensile strength value is getting lower. So it is judged that the appropriate content should be determined to be 2% or less. In the case of the Hamburg wheel tracking test, when the steel wheel load passed 20,000 times on the asphalt mixture containing 2% of air-cooled slag, it showed 5.27mm deformation. And the stripping point was not observ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hen the air-cooled slag is used as a substitute for hydrated lime, the moisture resistance of the asphalt mixture can be improved. It is considered that the aircooled slag can be used for the asphalt pavement material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mechanical and field application in the future
        5.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ealant for use in the installation of Weigh-In-Motion (WIM) sensor for asphalt concrete or cement concrete pavements.METHODS: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various sealants that were mixed with latex and carbon fiber, various test methods were adopted, such as bituminous bond strength test, softening point test, and cone penetration test. To evaluate moisture susceptibility, the BBS test was conducted under moist condition. The bond strength ratio (BSR) was calculated based on tensile strength ratio method.RESULTS :The sealant’s properties significantly vari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atex or carbon fiber. The usage of latex marginally enhanced the cone penetration test result, notwithstanding reduced asphalt content. This implies that the sealant will be proper cold temperature reason. Moreover, the addition of latex and carbon fiber evidently increased the softening point. This indicates that the tendency of the material to flow at elevated temperatures is encountered during service. With the addition of latex and carbon fiber, the moisture susceptibility measured with BSR improved marginally, while the bond strength under dry condition decreased marginally. Sealant F displays the highest bond strength and BSR under limited test conditions.CONCLUSIONS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latex and carbon fiber mixed, properties of sealant, such as softening point, cone penetration, and BSR varied marginally. This indicates that the sealant has to be applied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 to improve service life.
        4,000원
        6.
        202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운동선수 코치의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인 변인을 밝히려는 연구의 일환이다. 이를 위해 직무요 구-자원(JD-R) 모델에서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와 관련된 긍정적 측면을 밝히려는 동기적 과정을 적용해 관련변인을 선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자원과 업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직무자원과 직무요구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를 지도하는 코치 15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코칭업무에 부합되게 수정된 직무자원, 직무열의, 직무요구, 업무만족도 등 4가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을 시작으로 신뢰도 분석, 구성타당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단순매개모형 분석과 조건부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직무자원은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업무만족도를 긍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치의 직무자원이 직무열의를 통해 업무만족도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직무요구의 수준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 현장의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 열의는 코치업무의 긍정적인 측면을 설명하는 주요한 변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지만, 과도한 직무요구가 발생하 면 업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치들의 번아웃과 직무열의에 대한 통합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사회과학 연구분야에서 다양한 직종을 대상으로 적용되어온 직무요구-자원 모델(JD-R)을 운동선수 코치에게 적합하게 설정하고 관련 변인 간 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을 지도하는 코치 14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는 코치 번아웃, 직무열의, 직무자원, 직무요구, 이직의도, 직무만족도 등 6가지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최종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측정모형분석과 팬텀변수를 활용한 다중매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들이 지각하는 직무 요구는 번아웃을 경유하여 직무만족도와 부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요구는 번아웃을 경유하여 이직의도와 긍정적 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원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번아웃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직무자원은 번아웃을 경유하여 이직의도와 부정적인 관계,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직무만족도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 현장에서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과 직무열의는 각각 직무요구 및 직무자원과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대한 긍정 및 부정적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201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의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과 코치-선수의 관계에서 열정과 직무열의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운동선수 코치 1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운동선수 코치 번아웃, 코치-선수 관계, 열정, 직무열의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관계, 그리고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들의 번아웃은 조화열정 및 직무열의와 부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조화열정은 직무열의와 긍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코치-선수 관계는 조화열정 및 직무열의와 긍정적인 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코치들이 지각하는 번아웃은 조화열정을 감소시키지만, 조화열정은 직무열의를 증가시키고, 직무열의는 코치선수관계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코치들의 번아웃은 조화열정과 직무열의를 경유하여 최종적으로 코치선수관계를 부정적으로 예측하였지만, 두 매개변인은 번아웃과 코치-선수관계의 관계를 억제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9.
        2017.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현장의 운동선수 코치들이 지각하는 감정노동과 번아웃 수준을 통해 코치와 선수 간의 관계를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방법: 학원스포츠 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운동선수 코치 1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도구는 감정노동 검사지, 운동선수 코치 번아웃 검사지, 코치-선수 관계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들이 지각한 감정노동 수준은 코치-선수 관계, 번아웃 수준과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번아웃 수준은 코치-선수관계와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치의 감정노동 수준이 번아웃을 통해 코치-선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포츠현장에서 코치들이 지각하는 감정노동 전략은 코치-선수관계를 긍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지만, 번아웃 수준이 증가하게 되면 결국 선수와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