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

        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opularity of succulents as ornamental plant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his is primarily because of their unique geometric shapes, which form a rosette, coupled with their ability to retain high levels of moisture. These features make ornamental succulents suitable as landscape plants as they can withstand extreme conditions and as potted plants for indoor spaces as they require minimal watering. Appropriate propagation techniques are important to increase production rates and plant quality in the shortest time possible. These ornamental plants may be propagated in various ways, both sexually, via seeds, and vegetatively, through a number of methods, such as stem cuttings, leaf cuttings, and micropropagation. In this review, methods for the propagation of ornamental succulents are described, including post-propagation care and management. Propagation aspects on which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are also highlighted. Potential areas for research required to produce data to further improve techniques, conservation, and rapid propagation efforts are discussed.
        4,300원
        3.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물푸레나무과의 한국특산식물인 버들개회나무 자생지의 입지 환경과 생태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버들개회나무 개체군은 주로 강원도의 계곡과 강변을 따라 분포하고 해발고는 121~520m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식생분석결과 4개 지역의 20개 방형구내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320분류군이었다. 버들개회나무 개체군은 광대싸리 우점개체군, 당단풍나무 우점개체군, 족제비싸리 우점개체군, 쉬땅나무 우점개체군으로 분류되었다.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함량은 1.98~2.81%, 전질소함량 0.13~0.20 mg/kg, 치환성 K+는 0.10~0.33 cmol+/kg, Ca2+는 3.44~20.53 cmol+/kg, Mg2+는 0.34~0.95 cmol+/kg, 양이온치환용량 8.08~13.68 cmol+/kg이며, 토양 pH는 6.28~7.74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버들개회나무 개체군 내에서 중요치는 물참대 86.99%, 물푸레나무 43.97%, 박쥐나무 23.01%, 버들개회나무 18.52%, 가래나무 18.40%, 버드나무 11.56%로 나타났다. DCCA를 이용한 버들개회나무 개체군의 식생과 환경요인과의 상관분석 결과 해발고도와 Mg2+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대싸리와 당단풍나무 우점개체군은 pH, CEC, Mg2+가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고, 당단풍나무 우점개체군의 경우 광대싸리 우점개체군보다 K+가 높은 곳에 분포하였다. 족제비싸리 우점개체군은 해발고가 높고, 유효인산과 K+, 노암율이 높은 곳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
        2016.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opose to extend the research in responsible luxury by identifying situations wher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could actually promote luxury brands evaluation. By using social consensus as one of the determining factor, we argue that when CSR with higher social consensus is communicated through right channel, this information can have positive influence on brand evaluation.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literature on consumer responses to CSR, and to responsible luxury in particular and demonstrate how social consensus and CSR information of luxury brands affects consumers’ evaluations of luxury brands. Our research highlights that responsible luxury brands should carefully evaluate how their CSR communication strategy affects brand evaluations.
        3,000원
        5.
        2015.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rporate philanthropic activities, such as charitable donations, have become one of the main business practices worldwide. However, academicians have paid relatively scant attention to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orporate philanthropy (CP) in terms of a firm’s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influence of CP on consumer loyalty that leads to a firm’s ultimate financial succes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mechanisms through which CP influences consumer loyalty, as yet largely unexplored field. Results reveal that CP has an impact on consumer loyalty that is sequentially mediated by gratitude, trust, and finally commitmen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scope of CP research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P on consumer loyalty.
        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울릉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를 5월 27일부 터 9월 27일까지 매월 삽목에 따른 삽수의 발근율은 5월 은 63.3%, 6월은 53.3%, 9월은 41.8%로 높았으나, 8월은 19.8%로 낮았다. 발근율이 높은 처리는 근장 및 근폭 의 생장도 양호하였다. 발근촉진제 처리에 따른 삽수의 발근율은 무처리 23.3%에 비하여 IBA 250mg • L−1는 46.7%와 NAA 125mg • L−1는 53.3%로 양호하였다. 차광 및 LED 보광처리에 따른 삽수의 발근율은 대조구 23.3% 에 비하여 LED 보광이 66.7%로 가장 높았고, 30% 차광이 43.3%, 60% 차광은 30.0%이었다. 근장과 근폭도 발근율이 양호한 LED 보광 및 30% 차광처리는 양호하 게 생장하였다.
        4,000원
        7.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collected the unknown species of whiteflies throughout the Chungnam districts. Crepidiastrum sonchifolium (Bunge) Park & Kawano, Korean youngia was major plant to Cabbage whitefly and discovered throughout the Chungnam province in 2013. The unknown other species was collected on leaf of Morus alba L.(White mulberry) in September, 2014. We are attributing this species to Parabemisia sp. It has been known that plants affected by Aleyrodes proletella Linnaeus, cabbage whitefly are leafy brassicas, including kale cabbage, broccoli and Brussels sprout and a minor pest of cabbage, bruseels sprouts and broccoli in Europe, being seldom a pest of agriculture but often troublesome to home gardeners. In cage of pupal, lingular head is simple, dorsal submargin without row of papillae and body not boxshaped. The pupal shape of Parabemisia sp.(attributted) is as follows. The fourth nymphal skin has 30 to 32 marginal setae including the caudal setae. The anterior spiracular furrows are scarecely visible, but the caudal furrow is slightly ridged longitudinally. The vasiform orifice is elongate triangular with the lingula included. The lingula has two blunt lateral tubercles and two long caudal lingular setae. The operculum covers only the anterior one-third of the vasiform orifice. In vivo, the nymphs are surrownded by a marginal fringe of clear wax.
        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만병초의 종자는 20οC에서 발아율이 69.1%로 가장 높았고, 25οC는 63.0%이고, 상온에서는 발아율이 52.9%로낮았다. 광 조건에 따른 발아특성은 LED 보광 및 자연광에서 60% 이상 발아되었으나 차광 시에는 발아율이40% 이하로 현저하게 낮았다. 만병초 종자를 인공배양토에 vermiculite 또는 peatmoss를 50% 혼합하여 파종한결과, 발아율은 큰 차이 없이 51.6~58.2%로 나타났다.복토 깊이에 따른 발아율은 무 복토가 62.3%, 2mm 복토는 60.2%에 비하여 6mm복토는 3.5%로서 복토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발아율이 현저하게 낮아졌다. 관수 방법에 따른 발아율은 1일 2회 관수와 1일 1회 관수하였을 때 58~63%로 발아율이 양호하였으며, 3일 1회관수 시 발아율이 10.6%로 현저하게 떨어졌다. GA325ppm에서 GA3 100ppm까지 20οC와 25οC에서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GA3 100과 200ppm을 처리한 종자의 발아율은 농도간 차이 없이97.3~98.6%로 높았고, 50ppm 처리에서는 80%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나 25ppm 처리는 73.0%를, 무처리는 64.0%이였다.
        4,000원
        10.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상북도 상주시를 흐르는 병성천, 북천, 외서천 의 수생 및 수변 식물상을 밝히고, 생활형을 파악하여 지역 자원 식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9년 2월부터 10월까지 병성천, 북천, 외서천 등 3개 하천에서 실시하였고, 관속식물의 종조성은 78과 203속 300종 5아종 15변종 1품종 등 총 3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병성천은 46과 93속 124종 3아종 6변종 등 133분류군, 북천은 65과 155속 207종 4아종 12변종 등 223분류군, 외서천은 48과 104속 126종 2아종 4변종 등 132 분류군 등으로 확인되었다. 수생 및 수변식물은 138분류군으로 그중 수생식물은 20분류군으로 확인되었고, 수변식물은 118분 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생활 형태별로 3개 하천에서 출현한 정수 식물은 13분류군, 부엽식물은 1분류군, 침수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육 형태별로 분류하면 1년생이 43분류군, 2년생이 24분류군, 다년생이 71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5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국가적색목록 대상 종은 3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5분류군이 학인되었고 3급 이상은 5분류군이다. 국외반출승인종은 31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 식물은 52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생태계 교란종은 4분류 군이 포함되었다. 귀화율은 16.1%, 도시화지수는 16.2%로 나타났다. 식물유용성에서는 213분류군 (66%), 약용 244분류군 (76%), 향료용 10분류군 (3%), 산업용 136분류군 (42%), 관상용 137분류군 (43%), 복원용 117분류군 (36%), 사료/퇴비용 155분류군 (48%), 용도 미상 24분류군 (7%)으로 확인되었다.
        11.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부처꽃 에탄올 추출물(ELM)에 대한 항암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백혈병 U937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이와 연관된 apoptosis 유발 여부와 함께 그에 따른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먼저 ELM 처리에 따른 증식 억제 정도를 조사한 결과, ELM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 및 증식억제 현상이 나타났으며, 핵의 형태 변화, DNA 단편화 및 apoptosis 유발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 역시 ELM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LM 처리에 따른 U937 세포에서의 apoptosis 유발에 있어서 미토콘드리아 막의 기능 손상이 관여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MMP의 변화 정도를 확인 한 결과, ELM 처리 농도 증가에 따라 MMP의 소실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MMP의 소실에 가 관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멸수용체(DR4, 5, Fas) 및 사멸수용체에 결합하는 리간드(FasL, TRAIL)의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 DR4 및 DR5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내인적 경로에 관여하는 Bcl-2 family 유전자들의 발현변화를 확인 한 결과, Bcl-2 발현 감소 및 Bax의 발현 증가의 변화를 보였으며, Bid 단백질의 발현감소가 나타났으므로 상대적으로 tBid의 생성이 증가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한편 apoptosis 유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caspase-3, -8 및 -9의 발 현에 미치는 ELM의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ELM은 death receptor에 의하여 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진 caspase-8 및 세포질로 방출된 cytochrome c에 의하여 활성화 되는 것으로 알려진 caspase-9의 활성화를 유발하였으며, caspase cascade에 의하여 apoptosis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caspase-3의 발현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성화된 caspase-3에 의하여 분해가 일어나는 기질 단백질인 PARP의 경우 ELM 처리에 의하여 모두 단편화가 유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체 백혈병 U937 세포에 ELM을 처리하였을 경우에 유발되는 apoptosis는 외인적 경로인 DR4 및 DR5의 발현 증가를 통한 caspase-8의 활성화와 이로 인한 Bid 단백질의 단편화와 함께 내인적 경로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실에 의하여 caspase-9 및 -3의 활성화 유발과 기질단백질들의 분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IAP family의 발현 감소로 인하여 caspase의 활성이 억제되지 못하는 것도 apoptosis 유도에 어느 정도 관여했을 것으로 생각 된다. 따라서 ELM 처리에 의하여 유발되는 apoptosis는 외인적 경로 및 내인적 경로를 모두 경유하는 multiple apoptotic pathway에 의하여 조절되며, 이때 caspases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2.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강원도 태백시에 위치한 황지천의 장기모니터링을 위한 수변식물상 조사를 수행한 결과 65과 158속 203종 2아종 18변종으로 총 22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30분류군), 벼과(19분류군), 장미과(15분류군), 콩과(12분 류군) 순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 중 특산식물은 4분류군이다. 멸종위기 및 적색목록종은 출현하지 않았다.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Ⅳ등급 3분류군, Ⅲ등급 4분류군, Ⅱ등급 7분류군, Ⅰ등급 8분류군으로 총 22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28분류군으로 귀화율 12.5%, 도시화지수 8.7%를 나타났다. 용도에 따른 분류는 식용 166종(74.4%), 약용 187종(83.8%), 향료용 9종(4.0%), 산업용 99종(44.3%), 관상용 106종(47.5%), 복원용 84종(37.6%), 사료/퇴비용 112종(50.2%), 용도미상 5종(2.2%) 등으로 구분 되었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해 하천정화시설의 설치 전과 후의 식물상 및 식생변화에 대한 척도를 확보하고 종합적인 관리를 위한 장기 모니터링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13.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al-color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karyotype analysis was created using repetitive sequences including two types of rDNA repeats (45S and 5S rDNAs) and Arabidopsis-type telomere sequence repeats. The somatic metaphase cells of Carthamus tinctorius were observed as diploids (2n=2x=24). A symmetrical or slightly asymmetrical karyotype with seven pairs of metacentric and five pairs of submetacentric chromosomes was observed. The lengths of the somatic metaphase chromosomes ranged from 4.18 to 6.53 ㎛, with a total length of 60.71 ㎛. One locus of 45S rDNA was located on the pericentromeric regions of three pairs of chromosomes and the other pair was situated on the terminal regions of the short arms of a single pair of chromosomes. One locus of 5S rDNA was detected on the interstitial regions of the short arms of two pairs of chromosomes. Arabidopsis-type telomeric repeats were detected on the terminal regions of all pairs of chromosomes. Co-localization of loci between telomeric repeats and 45S rDNA was observed in a single pair of chromosomes. The results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existing physical mapping project of C. tinctorius and will also serve as a benchmark to a more intricate cytogenetic investigation of C. tinctorius and its related species.
        14.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Hardy Kiwifruit (A. arguta (Sieb. & Zucc.) Planch. ex Miq.) is one of the valuable species due to their edible fruit, high content of nutritious substances, especially abundant of vitamin C, and distinctive flavor and medicinal usage. In order to develop a new A. arguta cultivar with larger fruit and high yielding, 168 candidate plants were collected from wild population in 12 locations distributed 4 provinces (Chungbuk, Gangwon, Gyeongnam, Jeonbuk) from 1985 to 1987. A clone bank that contained highly productive, superior genotypes of A. arguta was assembled in 1988, and 32 excellent clones were selected in 1996 through the clonal test for the growth and fruiting. Evaluation on these clones was done for the fruiting characteristics, yield trial, and major agronomic traits, such as Average Fruit Length (FL) and Width (FW), and Weight of Fruit (WF) and Individual Yields (IY), during 6 years (1997~2002). After the final selection, a new A. arguta cultivar, “Sae-Han” with larger fruit and high yielding was registered as a new variety denomination and certificated variety production and merchandising in 2006 (Table 1). “Sae-Han” is a tetraploid plant and has ellipsoid fruit shape, and has particularly large fruit size (Fig. 1, Table 3). The major agronomic traits of “Sae-Han” showed the large values and selection effect with an average of 43.6 mm (FL), 36.1 mm (FW), 29.4 g (WF), and 17.5 kg (IY), which are 35.0%, 19.9%, 81.5%, and 124.4% compared to the mean of 29 sample trees, respectively (Table 2).
        15.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ardy Kiwifruit (A. arguta (Sieb. & Zucc.) Planch. ex Miq.) is one of the valuable species due to their edible fruits, high content of nutritious substances, especially abundant of vitamin C, and distinctive flavor and medicinal usage. Therefore, we have developed a new cultivar of A. arguta with large fruits and high yielding. For this, 168 candidate plants were collected from wild population in 12 locations from 4 provinces (Chungbuk, Gangwon, Gyeongnam, and Jeonbuk) from 1985 to 1987. A clone bank that contained highly productive, superior genotypes of A. arguta was assembled in 1988, and 32 excellent clones were selected in 1996 through clone tests for growth and fruiting. From these clones, we have regularly investigated yield trials for the fruiting characteristics for evaluation of major agronomic traits, which are the average of Fruit Length (FL), Fruit Width (FW), Weight of Fruit (WF) and Individual Yield (IY), during consecutive 6 years (1997~2002). Finally, we have selected the new A.arguta cultivar, “Chil-Bo” with large fruits and high yielding and registered as a new variety denomination and certificated for variety production and merchandising in 2006 (Table 1). This cultivar is characterized by a tetraploid plant and spheroid type in the fruit shape, and is particularly characterized by large fruit size (Fig. 1). The major agronomic traits of this cultivar showed the large selection effect with an average of 28.4 mm (FL), 36.9 mm (FW), 18.2 g (WF), and 24.2 kg (IY), which are -12.1%, 22.6%, 12.4%, and 210.3% compared to the mean of 29 sample trees, respectively (Table 2).
        16.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okyoung”, a new bread making wheat cultivar,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eri 82”, a hard white wheat from CIMMYT, Mexico and “Keumkang”, a hard white wheat with high milling rate and early maturing from Korea by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