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접란은 세계적으로 분화뿐만 아니라 절화로도 판매되는 주 요 화훼작물이다. 상업적 종묘 대량생산은 조직배양 기술에 의 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균일하고 우수한 발근묘 생산 기술이 확립되지 않았다. 생육이 고르고 우수한 발근 배양묘를 생산하기 위한 적정 배양 신초수를 찾기 위해 용적 500mL 유리 배양병에 호접란 2품종(‘Lovely Angel’과 ‘UniVivace’)의 신초를 1, 4, 7, 10개씩 배양한 후 3개월에 지상부 및 지하부 초기 생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 7개의 신초를 배양하였을 때 신초의 생육이나 뿌리 유도 및 생육에 효과적이 었다. 또한, 배양병 재질이 발근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 고자 용적이 500mL로 동일한 유리 배양병과 플라스틱 배양병 에 신초 7개 배양 3개월 후 2품종의 생육 특성을 비교한 결과, 2품종 모두 플라스틱 배양병 보다는 유리 배양병이 유의적으로 생육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내 발근묘 생산을 위한 배양병 재질의 영향은 이후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균일한 호접란 발근묘 생산은 플라 스틱 재질보다는 유리병 재질의 배양병이 적합하며, 특히, 용적 이 500mL인 유리 배양병의 경우 신초를 7개(묘당 재식면적 5.4㎠) 이내로 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립산림과학원 용인시험림 내 대왕참나무 조림지를 대상으로 총 77본의 표준목을 벌채하여 수간고별 직경과 수간석해 데이터를 이용하여 간곡선 모형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모델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적합도 지수(Fitness Index),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추정의 표준오차(Standard Error of Estimate), 평균편차(Mean Difference), 절대평균편차(Absolute Mean Difference), 아카이케 정보 기준(AIC), 아케이케 정보 기준 가중치(AICw)를 이용했으며, 최종적으로 Ranking method 방법을 통해 가장 적합한 모델을 선발하였다. 수간곡선식 을 추정하기 위하여 총 세 가지 모델이 이용되었으며, 자료 중에서 80%의 자료는 모델 개발에 활용되었고 나머지 20%는 모델의 타당성 검정을 위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간곡선식의 추정된 파라미터는 100%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부지방 대왕참나무는 Kozak88 모델이 가장 적합한 식으로 평가되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8년 분홍색계 소 형 호접란 ‘Tiny Bell’을 육성하였다. 2010년 진분홍색 다화 성 소형 품종 Phalaenopsis ‘D07PN16’와 연분홍색 소형종 P. ‘D03PN22’를 모본과 부본으로 교배하였다. 2014년 생육이 우 수하고 화색, 화형, 꽃대수 등 개화 특성이 우수한 ‘10531-53’ 개체를 선발하여 기내 화경배양을 통해 증식하였다. 2014년부 터 2018년까지 1차, 2차특성검정을 통해 품종의 안정성과 균 일성을 확인한 후 ‘Tiny Bell’로 명명하였다. 이 품종은 밝은 보라빛 분홍색(RHS, PVGN80A)을 띄며, 가장자리에 백색무늬 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평피기 형태의 꽃은 길이와 폭이 각각 3.89, 4.01cm이며, 총상화서로 분지가 발생한다. 1개의 꽃대에 19.7개의 소화가 착생하여 꽃 수가 많이 달리는 다화 성이며, 꽃대 길이는 28.48cm정도이다. ‘Tiny Bell’은 생육시 잎이 수평으로 자라며 길이와 폭은 각각 13.1cm, 5.3cm였다. 신품종인 ‘Tiny Bell’은 소형 분화용으로 이용 가능할 것이다.
South Korea has over 0.38 million of managed honey bee (Apis cerana) colonies before 2009 years ago, which produce the highest quantity of honey in the Korea; however, almost colony (90%) were collapsed by Korean Sacbrood Virus (KSBV) in South Korea. Korean Sacbrood Virus (KSBV) is the pathogen of A. cerana Sacbrood disease, which poses a serious threat to honeybee A. cerana, and tends to cause bee colony and even the whole apiary collapse. Colony collapse of A. cerana was first reported on the Pyeong-Chang of the South Korea in 2009. Several scientists and governments has been tried research for cure the sacbrood disease in A. cerana colony by medicines and management techniques. Unfortunately, The sacbrood disease dosen’t improve. So, we were developed a better breed of A. cerana for resistance of sacbrood virus by selection and then artificial insemination. A. cerana breeding technique was first successful applied with A. cerana in Korean. Queens was grafted from sacbrood resistance line and then it was growing in sacbrood disease colony that was survived 100%. Altogether selected 18 queens were artificially inseminated and 2,000 drones of A. cerana in Korea was used to evaluate amount of semen collection. We are select two scabrood resistance A. cerana line (R and H). R line be used for rearing the Queen. Drone was reared in H line colony. The RH hybrid were not infected sacbrood virus even spread sacbrood virus (2×106). RH colonies have very excellent hygienic behavior, brood, and sacbrood disease resistance activity.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에 분포하는 일본잎갈나무 임분에 대해 산림시업 수행이 직경분포변화에 미치 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중 시업지 232plots, 비시업지 47plots의 고정표본점 자료를 활용하였다. 직경분포모델은 Weibull 누적분포함수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에는 백분위(Percentile)에 근거한 직경모형추정, 백분위(Percentile)에 대한 모수복구 방법을 사용 하였다. 개발한 모델을 이용하여 산림시업의 수행여부에 따른 시나리오(임령, 지위지수, 임분밀도) 별 임분생장량을 예측한 결과, 시업지 임분의 최대임목본수를 차지하는 평균 흉고직경의 이동이 비시업지 임분에 비해 이동량과 생장량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대경목이 차지하는 비율 또한 시업지 임분이 높게 예측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경급에 따른 목재생산량의 장기적인 예측과 동적인 임분구조 해석에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붉은불개미는 세계 100대 침입외래 해충 중의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는 관리 해충으로 1996년도에 지정되었다. 2017년 9월28일 부산항 감만 부두에서 국내 최초로 발견된 후, 2018년에 부산항, 평택항 과 인천항에서 발견이 되었고, 9월18일에 대구의 아파트 공사장에서 내륙에서는 처음으로 발견이 되었다. 대구에서 발견된 붉은불개미도 아파트 건설을 위하여 중국에서 수입한 석재에 혼합되어 수입된 토양과 식물체와 같이 혼입된 것으로 추측이 된다. 그러므로, 현재까지 국내에서 붉은불개미가 번식을 하여 토착화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현재까지 붉은불개미에 대한 종 판명은 전문가에 의한 형태적인 분류가 대부분이다. 그래서, 붉은불개미에 대한 확증을 위해서는 채집된 개체를 검역기관으로 이송하여 분자진단을 실시해야 하므로, 최소 이틀의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붉은불개미 진단 키트가 해외에서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지만, 낮은 민감도로 최소 3~5개의 충체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진단키트가 가지는 문제점은 이를 대신할 새로운 키트의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신속한 붉은불개미의 검역현장에서 진단을 가능하게하기 위한 노력 중의 하나로 우리는 붉은불개미의 복부에서 발현되는 유전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그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 진행과 결과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연구는 농림축산 검역본부의 연구비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Pesticide application in agriculture provides significant benefits such as protection from disease, prevention of harmful insects, and increased crop yields. However, accurate toxicological tests and risk assessments are necessary because of many related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pesticide use. In this review, we discuss and analyze residual pesticides contained in livestock feed in Korea. A pesticide residue tolerance standard for livestock feed has not been precisely established; so, risk assessments are required to ensure safety. Standards and approaches for animal criteria and appropriate methods for evaluating residual pesticides are discussed and analyzed based on technology related to animal product safety in Korea. The safety of livestock feed containing pesticides is assessed to establish maximum residue limits relative to pesticides. Analysis of residual pesticides in milk, muscle, brain, and fat was performed with a livestock residue test and safety evaluation of the detected pesticide was performed. Efficacy of organic solvent extraction and clean-up of feed was verified, and suitability of the instrument was examined to establish if they are effective, rapid, and safe. This review discussed extensively how pesticide residue tolerance in livestock feed and hazard evaluation may be applied in future studies.
To be better fit for highways, pavement systems are required to provide comfortable and safe driving and be structurally durable. Composite pavements can be an effective option as they are more durable by placing a high functional asphalt overlay on a rigid concrete base layer. In order to apply a composite pavement system to the field, it is necessary not only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prevent reflecting crack and deterioration of the base layer, but also to improve bonding performance of materials and ensure structural performance as a pavement system against traffic loading. In advanced countries like Japan, USA and Europe, high-functional composite pavement systems are being put into practice across new highway networks. In this study, we evaluated structural performance (rutting, reflecting crack, and deflection) by applying traffic loads of actual highways through an accelerated pavement tester (APT) of a composite pavement section made up of a quiet porous surface laid over a water-proofing layer, a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base, and a lean concrete sub-base layer, which was developed with new pavement methods used for each layer prior to field application. The APT specimen was constructed with paving materials and equipment actually used on site in the same dimensions (W3.5m*L14m*H2m) as actual highway sections in Korea, and 3-axle double-wheel heavy load (45ton) cart type KALES(Korean Accelerated Loading and Environmental Simulator) traveling on the specimen in both directions was used to simulate traffic loading. After applying around 8,574,000 ESALs of traffic loads, no reflecting crack occurred on the asphalt surface of the composite pavement, without surface distress except for rutting. In order to examine what causes rutting of pavements, we surveyed thickness of pavements by layer and measured asphalt den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imple volume model for the Larix kaempferi species in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General volume model forms were used and validated using a subset of the data collected for the L. kaempferi species. A total of 550 trees were collected in the different L. kaempferi stands through destructive sampling. The dataset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80% for initial model development(seven volume models) and 20% for model validation. The 100% dataset was used for the final model fitting. Evaluation statistics including bias(Ē), absolute mean deviation(AMD), root mean square error(RMS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and the Akaike Information Criterion values(AIC) and weight (AICw) were used to assess performance of the different volume models. Rank analysis was employed and the first five best volume models were chosen for the model validation and final model fitting. The evaluations showed that volume model 4(V=aDBHb*Hc) had the best performance, while volume model 3(V=aDBH+bDBH2), which has a single variable, had the poorest performance.
본 연구는 동백나무의 간재적 추정식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제주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동백나무 200본을 표준목으로 선정하여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재적모델 개발을 위해 80% 자료와 모델 타당성 검정(Validation)을 위해 20% 자료를 무작위로(Randomly)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시된 최종모형의 추정된 계수는 100% 자료를 이용하였다. 동백나무에 대한 재적 모델의 적합성 검정은 결정계수(R2), 추정치의 오차(RMSE), 평균편의(MD), 절대평균편의(AMD)와 직경급별 평균편의(MD), 변동계수(CV%)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결정계수는 0.7571에서 0.9381로 나타났으며, V=aDbHc에서 결정계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치의 오차는 0.0326으로 V=aD2H에서 가장 높았으며, 반면에 0.0258로 V=aDbHc에서 가장 낮았다. 평균편의는 V=a+bD2H에서 0에 값으로 나타났으며, V=aDbHc에서 0.0012로 나타났다. 절대평균편의는 V=D2/(a+b/H)에서 0.0186으로 가장 낮았고, 0.0223으로 V=aD2H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변동계수는 V=aDbHc에서 30.4348로 가장 적합한 계수로 나타났다. 5개의 모델식 중 최적의 식은 V=aDbHc에서 나타났으며 V=aD2H에서 적합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