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3

        182.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 건답직파시기에 따른 애멸구 및 바이러스 병 발생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애멸구 2회성충의 발생은 5월 11일 파종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5월 1일, 5월 21일, 5월 31일 파종구순이었고, 6월 10일 파종구는 벼의 출아시기가 애멸구 2회성충의 발생최성기를 지나게 됨으로 애멸구가 발생하지 않는다. 애멸구 2회성충의 발생최성기는 6월 11일로 어린모의 경우보다 3일정도 빨랐다. 벼 바이러스병 발생은 5월 11일 파종구에서 가장 많았으며, 5월 1일 , 5월 21일, 5월 31일 순이었는데 이는 애멸구 2회성충의 발생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벼의 수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5우러1일부터 5월 21일까지 파종구에서의 수량은 비교적 안정하고 높은 수량을 보였으나, 그 이후의 파종기에서 수량감소가 뚜렸하였다.
        4,000원
        183.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숙주범위가 서로 다른 Autographa californica NPV(AcNPV)와 Bombyx mori NPV(BmNPV)를 Spodoptera frugiperda(Sf9) 또는 Bombyx mori(BmN-4)의 세포에 동시감염(coinfection)시킨 후, 숙주범위가 확장된 재조합 바이러스를 Sf9세포에서 10종 BmN-4세포에서 2종씩 플라크 순화하여 선발하였다. 각 재조합 바이러스 DNA의 제한효소 분석결과는 한번 이상의 재조합이 일어났음을 보여주었다. 재조합 바이러스 RecB-8의 전자현미경 관찰결과는 다각체의 모양이 모바이러스인 AcNPV나 BmNPV와는 전혀 다른 정사면체 모양이었으며 또한, 모바이러스와는 달리 virion이 다각체에 거의 매립되어 있지 않은 특징을 보였다.
        4,000원
        185.
        199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흰 불나방 핵 다각체바이러스(Hyphantria cunea nuclear Palyhedrosis virus: HcNPV)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포함 절편의 탐색과 클로닝을 행하였다. Autographa cahfornica NPV EeoRI-I 절편 (약 7.3 kb), Bombyx mori NPV PstI-F 절편 (약 7 kb) 및 합성 oligonucleotide ( 3D-mer) 를 probe로 한 southern hybridization을 행하여 HcNPV PstI - L 절편 (5.3 kb)을 탐색하고, pUC18을 이용하여 E. coli에 형질전환시켜 클로닝하였다. 클로닝한 plasmid의 EeoRI, SaIl, Kpnl, HindIII, SacI 및 AvaI의 제한효소지도를 작성하고 pHeP-L(8.0 kb)이라 명명히였으며, 이를 다시 pHcP-Ll(4.7 kb), pHcP-L2(7.1 kb), pHcP-L3(5.3 kb), pHcP-L4(4.2 kb) 및 pHeP-L5(4.5 kb)로 subeloning 하였다.
        4,000원
        186.
        199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와 일본(日本)에서 야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약용식물(藥用植物)의 바이러스병을 조사한 결과 33종의 식물이 자연상태에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에 감염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들 중에서 개맨드라미(Celosia argenteia)와 쇠비름(Portulaca oleracea)의 모자이크병(가칭(假稱)), 쥐방울덩굴(Aristolochia debilis)과 번행초(Tetragonia expansa)의 괴저(壞疽)모자이크병(가칭(假稱)), basella(Basella rubra)윤문병(輪紋病)(가칭(假稱)), 석결명(Cassia torosa)과 시호(Bupleurum falcatum), 당귀(Angelica acutiloba), 구릿대(A. keiskei), 회향(Foeniculum vulgare), peucedanum(Peucedanum japanicum)의 반문병(斑紋病)(가칭(假稱))등 11종의 바이러스병명(病名)을 새로히 명명(命名)하였다.
        4,200원
        187.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나방 유충에서 분리한 세포질다각체병 바이러스의 형태, 다각체 단백질 및 핵산의 전기영동상과 바이러스의 병원성을 조사하여 본 바이러스를 이용한 담배나방의 생물적 방제 이용성을 검토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다각체의 형태는 외관상 6각형으로 0.5~3.7 크기이고 바이러스 입자는 정 20면체로 55nm였다. SDS-PAGE에 의한 다각체 단백질은 단일 롤리?타이드인 24.3 Kd와 5개의 작은 구성분으로 이루어졌다. 바이러스입자는 7개의 폴리?타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량은 28.0~133.6 Kd였다. 바이러스 게놈은 10개의 조각으로 된 총 분자량 18.08 Md인 이본쇄 RNA로 각 조각의 분자량 범위는 0.65~2.79 Md이였다. 3령 유충에 대한 담배나방 세포질 다각체병바이러스의 은 이었으며 의 농도에서 에서 16.4일이었다.
        4,000원
        188.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밤나방 핵다각체병ㅂ이러스의 기주곤충 및 나비목해충에 대한 병원성과 10종 baculovirus의 파밤나방 유충에 대한 교차감염을 조사하여 방제에 이용하고자 시험을 수행하였다. 난에대한 중앙치사농도()는 2.855 다각체/ml로 유충보다 높았다. 령별 은 3령이 1.422 다각체/ml로 1령보다 1.16배, 5령보다 .11배의 높은 병원성을 나타냈다. 각 령의 중앙치사일수()은 1.56 다각체/ml에서 4.26~5.04일이었다. 8종 나비목 해충에 대한 파밤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병원성은 기주곤충인 파밤나방에서만 인정되었고 10종의 곤충간상바이러스 중 Autographa californica MNPV, Mamestra brassicae MNPV 및 Trichoplusia ni MNPV 등 3종이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 교차감염을 일으켰다.
        4,000원
        189.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추흰나비 P. rapae와 P. brassicae GV에 대한 봉입체 및 바이러스단백질의 물리화학적 성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전기영동법에 의한 봉입체단백질은 그 분자량이 P. rapae GV는 30kd, P. brassicae GV는 31 kb의 단일단백질이었으며, trypsin, chymotrypsin, papain 및 staphylococcus aureus V8 protease에 의한 peptide mapping에서는 두 바이러스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바이러스입자단백지르이 전기영동법에 의한 분석결과, 두 바이러스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바이러스입자단백질의 전기영동법에 의한 분석결과, 두 바이러스에서 각각 42개의 band가 나타났으며 고분자량 부분에서 P. rapae GV의 경우는 115, 110, 105 및 103 kd의 4개 band인데 반해 P. brassicae GV는 107 kd의 한 band만 관찰되었다. 그리고 봉입체단백질의 아미노산 분석비교에서 두 바이러스 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며 일반적으로 곤충에 많이 존재하는 산성아미노산인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의 함량이 많았고 염기성 아미노산에서 lysine의 함량이 특히 많았으며 봉입체단백질의 면역학적인 시험결과에서는 P. rapae GV 항혈청에 대해 두 바이러스는 공통 침강선을 형성하였다.
        4,000원
        190.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분리된 파밤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Spodoptera exigua nuclear polyhedrosis virus: SeNPV)의 생화학적인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몇가지 실험을 행하였다. SeNPV는 하나의 envelopeso내에 다수의 nucleocapsid가 존재하는 MNPV(multiple embeded NPV)형태였다. 다각체단백질은 분자량 30kb의 단일 band로 나타났으며, Spodoptera litura NPV와 Bombyx mori NPV의 다각체단백질 항체에 반응하여 뚜렷한 침강선을 형성하였다. 비리온 단백질을 은염색한 결과, 많은 수의 minor band들이 포함된 49개의 band로 나타났으며, 바이러스 DNA를 분리하여 여러종의 제한효소에 의한 대략적인 genome size는 약 110kb 였다.
        4,000원
        191.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추흰나비 P. rapae와 P. brassicae GV의 DNA성상과 이를 기초로한 상동성을 검정한 결과 Tm값에서는 P. rapae GV DNA는 이고, P. brassicae GV DNA의 경우는 로 G+C 함량은 전자가 35.5%, 후자가 35.9%였다. 그리고 제한산소처리에 의한 DNA의 분석에서는 P. Rapae GV의 genome의 크기는 103 kb, P. brassicae GV DNA는 108kb로 나타났으며, 두바이러스 간의 상동성은 97.0%였다.
        4,000원
        193.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를 white carbon 제제, molasses 제제 및 White carbon-molasses 혼합제등 3종의 바이러스살충제로 만들어 제제의 살포방법, 살포효과 및 잔류효과를 폿트 및 콩포장에서 살충효과를 비교하였다. 바이러스 살충채 살포는 콩잎 표면 살포시 약 5일, 이변 살포시 약 12일까지 60% 이상의 살충효과가 지속되었다. 폿트식재 콩잎을 이용한 바이러스살충제의 살포효과는 molasses 제제와 with carbon 제제에서 모두 97%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으나 molasses성분을 포함한 제제는 햇빛에 의해 일부 콩잎에 약해를 보였다. 바이러스살충제 살포 1 시간 후 빗물 처리에 의한 영향은 빗물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이 90%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다. 야외 콩 포장에서 바이러스살충제의 살포효과는 3종의 제제 모두 90%이상의 살충율이었 며, 유기합성농약보다 7일 늦게 효과가 나타난 반면 2주 이상 효과가 지속되었다.
        4,000원
        194.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에 섭식촉진물질, 다각체 침전방지제 및 전착물질과 자외선 차단제를 첨가하여 만든 3종의 바이러스 살충제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먹여 제제별로 살충 효과를 비교하였다. 바이러스 살충제에 설탕농도 1-5% 첨가로 섭식촉진이 증대되어 살충효과가 높았으며, 바이러스의 불활화 차단효과도 있었다. 살충제 제형에 따른 바이러스 침전방지는 polyvinylalcohoI 0.5%, 식물체 전착성은 Triton X -100 0.1 %에서 효과가 좋았다. 자외선차단제의 양은 white carbon은 100 L 당 800 g, molasses는 30%첨가에서 바이러스의 불활화가 감소되었으며 white carbon-molasses 혼합제는 white carbon 500 g, molasses 10%의 비율에서는 살충효과가 약간 감소하였으나 세 제제 모두 살포 3일후 95%이상의 살충율을 보였다. White carbon 체제는 molasses 제제보다 다각체 포매가 뚜렷하여 잔류효과가 증대되었으나 유충의 섭식은 molasses제제에서 촉진되었다.
        4,000원
        195.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Spodoptera litura nuclear polyhedroses virus: SINPV) 미생물살충제로 개발하기 위하여 기주식물, 온도 보관조건 및 태양광선에 의한 병원성 및 안정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콩잎에 살포한 SlNPV의 담배거세미나방 3령과 5령 유충에 대한 은 각각 와 였으며 에 대한 은 3령과 5령에 대하여 각각 7.3일파 8.9일이었다. SINPV는 에서 4시간, 에서 1 10분 처리하였을 때 활성이 저하되었으며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급격한 활성감소현상을 보였다. 또한 SINPV는 동결보관이 나 보관보다 안정적인 활성을 유지하였다. 콩잎표변에 살포한 SINPV는 콩잎표변에 살포한 경우 3일 후에 불활화하였으나 콩잎 이면살포에서는 10일간 활성이 지속되었다.
        4,000원
        196.
        198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누에(Bombyx mori)와 흰불나방(Hyphantria cunea)으로 부터 분리된 핵다각체병바이러스(nuclear polyhedrosis virus: NPV)를 동정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 관찰한 결과, BmNPV 다각체의 크기는 3 μm 정도의 18면체로 외형이 균일하였으나, HcNPV는 1.5-2 μm 정도이며 부정형이었다. Alkaline protease를 부활화시킨 후 SDS-PAGE한 다각체 단백질의 分子물은 BmNPV가 30 KD, HcNPV는 31 KD인 major band와 이들의 중합체(polymer)로 생각되는 57 KD, 112 KD의 minor band들이 관찰되었다. 또한 virion 단백질을 SDS-PAGE한 후 은염색한 결과, BmNPV는 분자량 9.6~112 KD인 47개의 band, HcNPV 경우는 분자량 9.4~l11 KD인 48개는 band가 관찰되었다. BmNPV와 HcNPV DNA의 제한효소 처이에 의한 전기영동 패턴을 관찰했으며, 각각의 genome 크기는 BmNPV가 약 116.4 Kb, HcNPV의 약 114.6 Kb였다.
        4,000원
        197.
        198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핵다각체병바이러스대량생산연구에서, 5영충에 1.1×107다각체/ml로 접종 후 8일에 수확했을 때 한 마리당 6.7×109 다각체를생산할 수 있었으며, 이때 통과는 한 마리당 약 2g의 인공통과로 충분하였다. 합성유약 호르몬인 methoprene (Manta˚ledR)을 처리했을 때 종영유충기간이 1~2일 연장되었으며, 바이러스 생산에 있어서도 무처리에 비해 약 15% 증가되었다.
        4,000원
        198.
        198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밤나방류에 대한 천적미생물을 중심으로 하는 신방제법의 개발을 목적으로 멸강나방에 강한 병원성을 갖는 바이러스의 선별시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멸강나방(Pseudaletia(=Leucania) separata, Walker)유충에 강한 병원성을 가진 핵다각체바이러스를 선별코자 21종(개통)의 NPV를 orchard grass의 양면에 발라서 멸강나방 2령 유충에 첨식한 결과 멸강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 4계통과 벼밤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가 병원성이 높았다. 멸강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 3계통(LsNPV-F, LsNPV-G 및 LsNPV-Y)를 공시해서, 다각체를 인공사료에 혼합하여 해서 멸강나방 1~6령의 유충에 대한 병원성 시험을 행한 결과 1~2령 유충에 대한 병원성이 높고, 4령 이후에는 낮아 약령기방제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4,000원
        199.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을 인공사료로 사육했을 경우 경과일수는 약 42일(강낭콩잎 사육은 37.9일)이었고 담배거세미나방 유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LC50은 1,3,5령에 대해 각각 5.04×102, 4.48×103, 4.52×104 다각체/ml이었으며, LC50은 1 령은 1.1×105 다각체/ml에서 7.1일, 3 령은 1.1×106 다각체/ml에서 7.7일, 5령은 1.1×107 다각체/ml에서 7.0일로 나타났다. 1 령유충은 비교적 고농도인 105-6 다각체/ml로 접종했을 때 2-4령기, 3 령의 경우는 107 다각체/ml 농도에서 100% 치사되었고, 병사충은 5 령때 발생했다. 담배거세미나방은 A. californioca MNPV, S. littoralis MNPN 및 T. ni MNPV에 의해 병원성이 나타났으며, 1.1×107 다각체/ml로 접종했을 때 각각 92.0, 92.0, 60.0%의 사충율을 보였다.
        4,000원
        200.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SI), 누에(Bombyx mori: Bm) 및 흰불나방(Hyphantria cunea : Hc)으로부터 분리된 핵다각체병 바이러스(nuclear polyhedrosis virus : NPV)의 다각체의 단백질의 특성과 그에 대한 alkaline protease의 영향을 SDS-PAGE 및 혈정학적 방법으로 분석했다. Alkaline protease를 부활화시킨 후 다가체 단백질을 SDS-PAGE한 결과, BmNPV의 경우 30kD, SINPV와 HcNPV는 31kD의 단일 major band 및 이것들의 종합체(polymer)인 57kD와 66kD의 minor band들이 관찰되었다. Alkaline protease의 부활화를 성략한 SI NPV 다각체를 알칼리 용액으로 시간 차이를 두고 처리한 후 SDS-PAGE한 결고, 알칼리 처리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alkaline protease활성에 의해 다각체 단백질이 일정한 pattern으로 저분자화됨이 뚜렷하였다. SINPV 와 BmNPV 다각체 단백질의 항체를 제조하여 SINPV, BmNPV및 HcNPV 다각체 단백질간의 혈정학적 상동성을 이중형역광산법과 Western blot으로 비교한 결과는 3종 모두에서 공통 antigenic determinants의 존재가 인정되었으며 major 다각체 단백질의 종합체 형성과 alkaline protease에 의한 분해를 확인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