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89

        181.
        197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이 조사에서 감악산 거미로 21과, 73속, 115종(7종미확정종 포함)을 확인하였고, 그 중 Trachelas japonicus 는 한국미기록속, 미기록종이며, (3) Dictyna sp. (W), (11) Episinus sp. (A) , (76) Coelotes sp. (A), 는 각각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아직 종을 결정짓지 못했다. 2) 이 조사만으로 거미상을 결정지을 수는 없겠지만 대체적인 경향을 살핀다면, 전북계(Holarctic sp.)-5종 구북계 (Palaearctic sp.)-6종 동양계 (Oriental sp.)- 5종 이 되며, 한대종자 난대종의 비는 4 : 1로 되여 같은 위도인 내륙의 춘천지방과 저의 같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3) 중국대륙과의 공통종은 45종이었으며 를 차지하고 있다. 4) 감악산의 거미상은 지리적으로 상당히 북쪽에 위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저평성과 기온차가 적은 분지성등에 의해서 북방계의 특수종이 별로 없고, 난대종이 상당수진출하고 있다- 이를 한, 난대를 대표하는 주요 과의 종의 조성비로 살펴보면 한대성 : Lycosidae-3종 Linyphiidae-5종 난대성 : Theridiidae-12종 Argiopidae-32종로 되여 난대성종이 31.5 : 7의 비로 우세하다.
        4,000원
        182.
        197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given for the first time as a list of spiders from Chuncheon area, in land of kang-weon-do, mid-eastern part of Korea. Materials were collected during the early August 1972 by the Biological members of the chuncheon girl's high school, in chuncheon area. In addition to this materials collected by paik and Nam kung during July 1973 at Mt. Sam-ak which is located on south-west of chuncheon were examined. 1) In this paper, tile authors record 105 species of spiders belonging to 22 families, including 4 undetermined species from chuncheon area. 2) The followings are newly added to the spider fauna in Korea. a) Curstulina sp. b) Zelotes asiaticus(BOES. et STR.) 3) These materials are not sufficient for general discussion of the spider fauna of chuncheon area, however, an outline can be summarized as follow: 21 northern species 5 southern species 3 cosmopolitan species 72 plaearctic species
        4,000원
        183.
        197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study the faunal compositiion of spiders as natural enemies of the insect pests and their seasonal fluctuation in paddy fields of Taegu, the survey was carried out 12 times between June and September. 1971. 1. The spiders collected in paddy field of Taegu during the survey period were 45 species of 30 genera of 10 families. 2. In percentage composition the spiders of the genus Pirata were most abundant. Among the other genera, the species of the genus Neoscona, Lycosa, and Marpisa were more abundant in the above-written order. 3. Pirata subpiraticus, Neoscona doenitzi, Lycosa sp., Pardosa T-insignita and Marpisa magister were the 5 major species of abundant spiders. 4. Comparing the spider-fauna of the paddy field of Korea with that of Japan, Taiwan and Thailand, 2 species of 2 genera of the family Gnaphosidae were found in Korea only The abundant and common species It·ere deeply different each other. 5. Pirata subpiraticus, Lycosa sp. and Pardosa T-insignita appeared abundantly between June and July while Neoscona doenitzi and Marpisa magister were few in these periods. But no Pirata subpiraticus, Lycosa sp. and Pardosa T-insignita appeared in August while Neoscona doenitzi and Marpisa magister were abundant in this period. Then, in September as between June and July, Pirata subpiraticus, Lycosa sp. and Pardosa Tinsignita were abundant while Neoscona doenitzi and Marpisa magister decreased.
        4,000원
        184.
        197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뽕나무 해충은 210종 이상이 기록되었다. 과거 4반세기 동안 다수의 합성농약이 농림해충 및 위생해충 방제에 큰 공헌을 해 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뽕나무의 해충에 대해서는 농약에 대한 내약력이 가장 약한 누에에 미칠 악영향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많아서 외국에서도 잔효성이 짧은 TEPP 또는 DDVP등이 사용되고 있을 정도이다. 한국에서도 뽕나무순혹파리 방제를 위해서 초여름에 BHC 분제의 토양처리가 실천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뽕나무애바구미의 피해가 심해져서 몇 가지 살충제로 방제시험이 백에 의해서 이루어 졌을 뿐이다· 따라서 뽕나무해풍 방제를 위해서는 천적을 이용한 방제가 바람직하다 하겠다. 필자들은 우선 천적으로서의 거미의 분포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원시 소재 잠업시험장 뽕밭에서 1971-72년에 조사하였다. (Fig. 1) 조사된 뽕밭의 면적을 27a이었으며 9개의 조사구를 택하고 이것을 생태적 환경에 따라 3군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다. A, B 및 C구는 동쪽 가에 위치하며 가로등과 3개의 잠실의 등불의 영향을 받아 해충의 밀도가 높았으며 E, D 및 H구는 뽕밭의 중앙부이며 뽕나무 오갈병의 피해가 심하여 뽕나무가 작았고 또한 결주도 많았다. F, G 및 I구는 도로를 격하고 뽕밭 또는 초지에 면한 가장자리 이었 다. 이밖에 수시로 근처의 딴 뽕밭에서 채집한 것도 포함하여 4,987마리의 거미를 조사한 바 17과 47속 66종에 이르렀다. 이것을 Abe의 보고와 비교한 때 종수가 월등 많았으며 또한 Kayashima의 보고와는 달리 풀거미속(Agelena)거미가 훨씬 적은 것이 특이하였다. 채집된 거미를 그 생태에 기초하여 4군으로 나누어 천적으로서의 가치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A군 : 대형의 둥근 망을 치는 종류들로서 날으는 곤충을 잡아먹는데 천적으로서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다. 106주에서 245마리가 채집되었으며 (Tetragnatha squamata)가 우량종이었다. B군 : 소형의 둥근 망을 가지나 잎사이에 치는 종들로서 비록 몸은 작지만 가장 중요한 천적이다. 꼬마거미과 애접시거미과에 속하는 거미들이며 18종, 2,815마리가 잡혔다 우점종은 (Erigoridium raminicola),(Theridion octomaculata) (Enoplognatha spp.)이었다. C군 : 떠돌이거미로서 소형곤충을 잡아먹어 유력한 천적이다 26종 1,727마리가 잡혔으며 게거미과, 깡총거미과 및 염낭거미과의 거미들이 우점종이었다. D군 : 지상을 걸어다니는 떠돌이거미로서 늑대거미과가 약간 잡혔으나 천적으로서 중요한 것으로는 생각되지 않는다. 앞으로 이들과 해충과의 관계를 조사구명 해야 할 것이다.
        4,000원
        185.
        197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리산은 해발 1915m인 남한 본토 최고인 명산이며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바도 있으나 아직 그 동물상에 대한 조사는 불충분한 바 있다. 1972년 8월 11일-14일의 4일간에 걸쳐 남궁 윤은 한라산 거미상과의 비교 검토를 위하여 지리산의 제 2 고봉인 반야봉과 제 3고봉인 노고단을 중심으로 한 지리산 서남면인 "겉지리산"의 일부를 조사하였다. 한편 백외는 1971년 7일 하순 화엄사, 노고단 및 피아골의 거미상에 대해 조사한 바 있다. 광대한 지리산의 전체적인 면모를 파악하기에는 미급한 조사였지만 대치적인 특징을 추찰한 수 있었기에 이에 보고코져 한다. 지리산 거미에 대하여는 백 갑용(1942-1972), 백운하외 (1970) 등에 의해 18과 76종 (3미확정종포함)이 보고된 바 있으나 채집기록에 불분명한 바가 있고, 그 환경이나 수직분포 등에 대하여는 언급된 바가 없었다. 금번 조사한 장소를 고도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연곡사(300-400m), 화엄사(400-600m), 피아골(500-900m), 화엄사골(600-900m), 용수바위 (900-1300m), 코재 (900-1300m), 임걸령(1400-1500m), 노고단(1400-1550m), 반야봉(1550-1750m) (1) 이 조사보고에서는 종전의 보고에서 기록이 분명한 것을 종합하여 21과 135종 (미확정종 6종 포함)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2) 지리산 추가종 56종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 한국 미기록종은 16종이다. (목록에 *표를 한 것) (3) 미확정종은 개체특징이 분명한 것만 수록했으며 이들 중 금후 연구로써 신종으로 기재됨 것도 있다. (4) 이번 조사의 결과로는 지리산의 거미상은 북방종 26종 남방종 8종 세계공통종이 3종으로 북방온대성 의 경향이 짙으다. (5) 고도분포는 반야봉 (1550-1750m)에서 18종, 1400-1550m가 38종, 900-1400m에서 39종, 600-900m에서 72종, 600m이하에서 79종으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종수가 점감되고 1300m 이상에 서식하는 것은 44종에 불과하였다. (6) 지리산의 우점종은 대륙접시거미 (Prolinyphia emphana)로 600m 이상부터 산정부에 걸쳐 널리 분포하며, 개체수에 있어서도 가장 많았다. 깡충거미과(Salticidae), 늑대거미과(Lycosidae)가 극히 적은 것도 특징적이라 하겠다.
        4,000원
        187.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gume cover crop culture on earthworm fauna in organic farmland. We compared sod culture with two kinds of legume crops of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on organic citrus orchard to natural sod culture and conventional orchards in Jeju Island. We analyzed the soil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d the density of earthworms from the orchards. Organic matter content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in soil analysis between organic and conventional orchard. But the biomass of earthworms in organic orchards is 3.8 times to 7.0 times higher than that in conventional cultivated orchards, and individuals of earthworms on organic orchards were 2.3~18 times higher than conventional orchards. The biomass of earthworms on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cultivation was 44.8 g, 47.2 g in 2016, and 78.7 g, 31.8 g in 2017,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32.8 g and 9.5 g of those on natural sod cultivation.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hairy vetch and crimson clover cultivation improve the earthworm occurrence density in the soil on organic citrus orchard.
        188.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sect fauna were surveyed in 2011 at Ungok wetland, Obeygol, located in Gochang, Jeonbuk, Korea. In total, 149 species belonging to 11 orders and 57 families were surveyed. Among them, Lepidopterans composed 23.5% (35 species) of the total insect numbers surveyed, comprising the most abundant group, and followed by Coleoptera, Hemiptera, and Odonata with a composition of 22.1% (33 species), 17.4% (26 species), and 10.1% (15 species), respectively. Bothrogonia japonica Ishihara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nd followed by Gastrophysa atrocyanea Motschulsky and Celastrina argiolus (Linnaeus). Phytophagous insects accounted for 60 percent of the total species.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in spring by 0.21. Diversity, richness, and evenness indices were the highest in summer by 4.07, 11.84 and 0.96, respectively. In the study area, the legally-protect species were grouped into five groups; 9 export-restricted species, 17 endemic species, 28 indicator species, 1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and 3 southern characteristic species. Additionally, twenty forest insect pest species were surveyed, belonging to 5 orders and 15 famili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conduct long-term monitoring and appropriate management based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the habitats to continuously conserve and maintain of wetland.
        189.
        200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to observe the seasonal succession of phytoplankton, and viable counts of bacteria from the mid to lower reaches of Nakdong River. An intensive monitoring was conducted from May to December 1999 biweekly at 6 sites in a main channel and 3 tributaries. Although there are several sites with high nutrient loading from the basin, all of study sites showed mesotrophic states owing to high discharge(June∼September). Relatively low algal biomass and CFUs(mean of chl. a, 12.3±11.5 ㎍/ℓ, CFUs : 1.8×10 7) were observed during the rainy season. The diatom population was dominant(over 85% of total community) year-long with peaks (Stephanodiscus hantzschii) in the fall and winter. Dominance of blue-green algal groups during the summer was not observed in the summer. Microorganisms peaked in the summer and fall (June∼September), affected mainly by the inputs of phytoplankton and nutrients. Biomass of phytoplankton and CFU counts were higher in the Kumho River than the other tributaries and main channel.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