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7

        181.
        200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의 종자발육에 ethylene이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마치종, 단옥수수, 초당옥수의 배와 배유의 발육과 ethylene 발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초당옥수수에 ethylene 발생과 작용을 조절하는 aminoethoxyvinyl glycine(AVG), silver thiosulfate(STS), ethephon(2-chloroethylphosphonic acid, CEPA)를 출사 후 9 및 21일에 전 식물체와 포엽에 처리하여 ethylene 발생양상과 배와 배유의 발육을 조사하여 채종 시 종자발달을 촉진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마치종은 배와 배유 모두 출사 후 56일까지 건물중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의 배는 출사 후 각각 56일 및 49일까지, 배유는 출사 후 35일 및 28일까지 증가하였다. 2. 종자의 ethylene 발생량은 초당옥수수가 단옥수수나 마치종보다 많았다. 3. 배유조직의 변화는 출사 후 21일부터 배의 끝 부분에서 동공이 생기기 시작하여 마치종은 동공이 유지되나 단옥수수는 출수 후 42일에는 동공이 붕괴되었고, 초당옥수수는 배 위쪽 및 옆쪽까지 동공이 생겼다가 수축되었다. 4. 초당옥수수 품종 Xtrasweet 82에서 AVG와 STS는 ethylene 발생량을 감소시키고 100립중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CEPA는 ethylene 발생량을 증가시키고 100립중을 감소 시키는 경향이었다. 5. CEPA 처리는 배유에 동공이 발생하는 시기가 다소 빨랐으나 AVG와 STS 처리는 큰 효과가 없었다.
        182.
        200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ngle cross, Ilmichal, is a waxy corn hybrid (Zea mays L.) developed by the maize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in 2005. This hybrid, which has white kernels, a good eating quality, lodging resistance and high yiel
        183.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자식계통을 대상으로 농업적 형질 및 품질관련 특성 등을 분석하여 계통군화 시켜 교배 모, 부본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 품질육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물과학원에서 육성한 찰옥수수 64개 자식계통에 대해서 옥수수 낱알형태를 조사한 결과 백립중은 11.7~~37.3g ,과 피두께 11~~77mm , 립장 5.8~~9.6mm , 립폭 6.5~~10.0mm , 립두께 4.1~~6.8mm 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2. 이화학적 특성 분석에 있어서는 단백질 함량은 8.7~~15.8~% , 지방 2.3~~5.8~% , 유리당 1.1~~11.0~% , 아밀로펙틴 78.5~~93.8~% 의 다양한 변이분포를 보였다. 3. 아밀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초기호화온도는 64.5~~79.1℃ , 최고점도 14.8~~221.8 RVU, 최저점도 12.2~~109.6 RVU, 최종점도 20.1~~212.6 RVU였으며 강하점도는 2.0~~l12.2 RVU, 치반점도 -81.3~~85.3 RVU, 응집점도 7.9~~105.0 RVU로 나타났다. 4. Texture 분석을 한 결과 껌성 91~~383 , 경도 181~~394 , 씹힘성 73~~370 의 범위에 속하였다. 5. 64개 자식계통을 대상으로 단백질 등 14개 형질을 이용하여 주성분 분석을 한 결과 제 1주성분은 단백질과 지방 함량이 높고 경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주로 저식미 계통군으로 분류되며 백립중과 립장이 부의 값이어서 소립의 형태를 보였으며 제2주성분은 립장, 립폭, 백립중 등이 정의 값을 나타내어 대립의 계통군들이 포함되며 경도와는 부의 상관을 보여 식미가 양호한 계통군으로 분류되었다. 6. 제1주성분과 제2주성분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한 결과 8개 자식계통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scatter diagram에서 제1주성분이 작아지고 제2주성분이 커지는 좌측 상단부에 분포한 VII, VIII군에 속한 계통들이 주로 식미가 높으며 조숙종보다는 중, 만숙종들이 대부분 이였다.
        184.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풋찰옥수수 F1 교잡종들을 대상으로 식미관련 주요 특성분석 및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고품질 찰옥수수 품종육성에 이용하기 위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찰옥1호 등 6개 F1 교잡종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함량은 11.2~~13.1~% , 지방 5.1~~6.0~% , 아밀로펙틴 91.8~~92.6~% , 유리당 4.5~~6.6~% 범위에 속하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찰옥1호가 가장 높았고 연농1호가 가장 낮았으며 지방은 찰옥1호, 연농1호가 낮았고 수원45호가 높았으며 아밀로펙틴 함량은 유의성이 없었다. 유리당 함량은 찰옥4호가 가장 높았다. 2. 과피두께는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 흑점찰이 34~~47um 로 얇은 반면 찰옥1호, 찰옥2호 등은 64~~81um 로 두꺼웠으며 100립중은 수원45호가 가장 무거웠고(41.9g), 흑점찰이 가장 가벼웠다(27.8 g). 3. 아밀로그램 분석은 풋옥수수 상태(DAP25)에서는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 등이 최고, 최저, 최종점도 및 강하점도, 응집점도의 값이 모두 찰옥1호, 찰옥2호, 흑점찰 보다 높게 나온 반면 종실용 상태(DAP45) 시료는 반대로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 등이 낮게 나타났다. 4. 풋옥수수를 증자 후 시간대별 노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texture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화도의 차이가 교잡종 별로 뚜렷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시간대별로는 증자 후 6시간 까지는 품종 내에서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다가 6시간 이후 서서히 증가하면서 22시간 이후부터는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5. 전체적 기호도에 있어서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가 각각 6.8, 7.1, 6.9의 높은 값을 나타내어 고식미 교잡종들로 구분이 되었고 찰옥1호, 찰옥2호, 흑점찰 등은 5.0, 5.6, 4.5의 낮은 값을 보였다. 6. 찰옥수수 전분의 아밀로펙틴 분지분포를 분석한 결과 DP값에 있어서 b1 fraction(DP~geq12) 의 분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각 fraction별로 교잡종간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아 본 시험에서는 식미의 차이가 뚜렷함에도 불구하고 아밀로펙틴 분지분포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7. 관능검사의 전체적 기호도는 유리당, 백립중, 립장, 림폭, 응집점도 등과 정의 상관을 보였고 과피두께, 경도, 껌성, 씹힘성 등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품질기준을 설정해 보면 저식미 교잡종인 찰옥1호(100)를 표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고식미 교잡계인 연농1호, 찰옥4호, 수원45호의 유리당 함량은 6.2~~6.6~%(111~~l18) , 립장 8.8~~9.7(99~~109) , 립폭 9.8~~10.5mm(111~~l19) , 백립중 38.6~~41.9g(113~~123) , 아밀로그램의 응집점도 28.2~~30.6RVU(123~~133) , 과피두께 34~~41um(42~~51) , texture 분석의 경도 460~~513(43~~48) , 씹힘성 125~~139(51~~57) , 껌성 130~~148(49~~56) 의 범위에 있었다.
        188.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Korea, production of super sweet corn has been economically feasible and is substituting for traditional sweet corn due to better flavor in recent years. Major limiting factors for super sweet corn production are low field emergence and low seedling vigor. The optimum water potential (WP) for the priming of normal and aged seeds of dent, sweet (su) and super sweet (sh2) corns was studied to improve low seed quality. Seeds were primed at 0, -0.3, -0.6, -0.9, and -1.2 MPa of polyethylene glycol (PEG) 8000 solution at 15~circC for 2 days. Priming effect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corn, seed quality, and WP of PEG solution. Although WP of priming solution did not influence the emergence rate of extremely high quality normal dent corn seeds, it reduced time to 50~% emergence (T50) and increased plumule weight. In contrast, the emergence rate of aged field corn was improved by seed priming at 0 MPa and plumule weight and α-amylase activity was enhanced. The optimum WP for both normal and aged sweet and super sweet corn seeds was between -0.3 and -0.6 Mpa. At the optimum WP emergence rate, α-amylase activity, and content of DNA and soluble protein increased, while T50 and leakage of total sugars and electrolytes reduced.
        189.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잡종 옥수수의 품종개발 및 옥수수의 생산능력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미국에서 도입된 유망자식계통들을 이용한 5개의 교배조합들 그리고 이들의 F1 및 F2 세대에서 6개의 농업형 질들에 대한 유전양상을 구명하였다. 공시된 5개의 교배조합들과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에서의 잡종강세효과는 교배조합 및 농업형질들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지만 교배조합들 중에서는 Mo17/B14A, Va85/B73조합들이 조사된 대부분의 형질들에서 가장 뚜렷한 잡종강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 그리고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 중에서는 종자생산량이 교배조합들 사이에서 가장 큰 잡종강세 효과를 나타내었다.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 중에서 종자생산량은 5개의 교배 조합들 중에서 C103/ND203과 FR35/Oh43 조합을 제외한 나머지 조합들에서 자식약세 현상이 다른 형질들보다 가장 크게 나타났고, 그리고 이들 수량관련 형질들은 일부 교배조합들에서의 예외적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정의 방향으로 자식 약세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공시된 5개의 교배조합들 중에서 Mo17/B14A, C103/ND203 조합들은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 모두에서 50%이상의 비교적 높은 유전성을 나타내었고, 반면에 Va85/B73 조합은 100립 중을 제외한 모든 형질들에서, 그리고 FR35/Oh43 조합은 간장과 착수고를 제외한 모든 형질들에서 50% 이하의 낮은 유전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조사된 6개의 농업형질들 중에서 이삭길이를 제외한 모든 형질들은 5개의 교배조합들 모두에서 평균 유전력이 50% 이상을 나타내었으므로 이러한 형질들은 옥수수의 교잡육종을 위한 중요한 선발형질들임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본 연구에 이용된 5개의 교배 조합들 중에서 대비 조합으로 쓰인 Mo17/B14A(수원19호)조합은 조사된 대부분의 형질들에서 비교적 높은 생육 및 수량특성을 나타내었으므로 옥수수의 계통선발에 의한 품종육성에 유용한 품종 및 자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190.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develop molecular markers related to stay green phenotype, AFLP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ear-isogenic lines for either stay green or non stay green trait. Both lines have characteristics of multi-ear and tillers (MET). Two out of 64 primer combinations of selective amplification identified three reproducible polymorphic fragments in MET corn with stay green. Both of E+AGC/M+CAC and E+AAG/M+CAA primer combinations produced two and one specific polymorphic fragments linked to stay green trait, respectively. For the conversion of AFLPs to sequence tag sites (STSs), primers were designed form both end sequences of each two polymorphic fragments. One fragment, which was amplified with E+AAG/M+CAA primer combinations, possessed 298 bp long and showed a 91~% homology with maize retrotransposon Cinful-l. One out of two polymorphic fragments produced with E+AGC/M+CAC primer combination had 236 bp long and matched a 96~% homology with an intron region of 22kDa alpha zein gene cluster in Zea mays. One out of two PCR fragments amplified with MET2 primer set in the stay green MET was not produced in the non-stay green MET. The developed AFLP and STS marker could be used as an efficient tool for selection of the stay green trait in the MET inbred.
        191.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ngle cross, Jangdaok, is an yellow dent maize hybrid (Zea mays L.) developed by the maize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NICS), RDA in 2003. This hybrid, which has a high yield of dry matter,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192.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inchalok, a new waxy corn hybrid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two inbred lines KW36 as a seed parent and KW1 as a pollen parent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1. Sinchalok was 66 days in days to silking and early maturity hybr
        195.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ngle cross, Pungmiok is yellow dent hybrid maize (Zea mays L.) developed by the corn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NCES), RDA in 2002. This hybrid, which has a high yield of dry matter,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is mad
        196.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single cross, Cheonganok, is a yellow semi-flint hybrid maize (Zea mays L.) developed by the corn breeding team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NCES), RDA in 2002. This hybrid, which has a high yield of dry matter, total digestible nutrients (T
        197.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 종자의 활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마치종 옥수수, 단옥수수, 초당옥수수의 건전종자와 인위적으로 노화처리하여 활력이 낮은 종자를 수분함량이 50, 75, 100, 125%인 vermiculite와 섞어 25℃ 에서 24시간 matriconditioning하였다. 처리된 종자를 토양에 파종하여 25℃ 와 co]d test(10℃ 에서 7일 처리 후 25℃ 에서 7일 처리)조건에서 종자활력을 조사하여 matriconditioning에 알맞은 vermiculite의 수분함량을 구명하였고, 또 침종시 종자의 당과 전해질의 누출량, α -amylase 활성, DNA 및 가용성 단백질 함량을 조사하여 mariconditioning할 때 종자의 생리적인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의 출아율, 출아속도, 유묘생장은 마치종 > 단옥수수 >초당옥수수의 순으로 작았다. 건전종자가 노화종자보다 출아율, 출아속도, 유묘생장이 좋았고. α -amylase 활성, DNA 및 가용성 단백질 함량은 높았으나 당과 전해질의 누출은 적었다. 2. Matriconditioning은 25℃ 에서 발아할 때 마치종과 단옥수수의 건전종자의 출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활력이 낮았던 초당옥수수 건전종자와 모든 genotype의 노화종자는 matriconditioning할 때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출아율이 증가하였다. Cold test에서는 25℃ 와 같은 경향이었으나 출아율이 더 낮았다. 3. 출아속도는 단옥수수 건전종자는 25℃ 와 cold test에서 모두 matriconditioning의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다른 종자는 25℃ 와 cold test에서 모두 matriconditionig 할 때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출아속도가 빨랐다. 4. 유아장과 유아중은 cold test에서 matriconditioning의 영향이 없었던 초당옥수수의 건전종자와 노화종자를 제외한 다른 종자는 모두 25℃ 와 cold test에서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유아장과 유아중이 증가하였다. 5. 종자의 당 누출량은 마치종 <단옥수수 <초당옥수수의 순으로 많았다. 마치종은 건전종자와 노화종자 모두 당 누출량이 적었다. 단옥수수는 노화종자의 당 누출량이 건전종자보다 다소 많았고, matriconditioning할 때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당누출량은 다소 감소하였다 초당옥수수는 노화종자가 건전종자보다 당 누출량이 현저히 많았으며, 건전종자는 50%, 노화종자는 100%까지 matriconditioning처리할 때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당 누출량은 감소하였다. 6. 종자의 전해질 누출량(침지액의 전기전도도)은 마치종 <단옥수수 <초당옥수수의 순으로 높았고, matriconditioning할때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전해질의 누출량은 감소하였다. 7. α -amylase활성은 단옥수수 <마치종<초당옥수수의 순으로 높았다. 모든 옥수수 genotype에서 matriconditioning할 때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α -amylase활성이 증가하였다. 8. DNA와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초당옥수수 <마치종 <단옥수수의 순으로 높았다 모든 genotype의 건전종자와 노화종자는 matriconditoining할 때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DNA와 수용성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00.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is intented to present a information of various aspects of quality related characteristics and standards for grades in maize. Maize is world's one of the three most popular cereal crops and a primary energy supplement and can contribute up to 30, 60, and 98% of the dairy diet's protein, net energy, and starch, respectively. Maize is also processed into industrial goods by wet or dry milling. Sweet corn is a leader among vegetable crops and its production for fresh or processing markets is a major industry in many countries. Over the years, the combined efforts of breeders and geneticists, biochemists, food scientists, and others have helped bring us to the point where we understand issues related to sweet corn quality. Traditional criteria for selecting corn hybrids have been based primarily on agronomic factors, including grain production, disease resistance, drought tolerance, and storage characteristics. Little emphasis has been placed on the quality and nutritional values of corn. Although there is widespread interest for value-enhanced corns have increased tremendously in the last five years, there is limited information available on the production and comparing the quality attributes of specialty grains with those of normal yellow dent corn. Most countries have developed national maize standards, aiming to provide a framework for trade, both internal and external. Where trading involves direct choice and price negotiation in front of the commodity, grading standards are rarely employed; quality is assessed visually and is influenced by end-use, and the price is determined more by local rather than national factors. The use of an agreed standard will provide an unambiguous description of the quality of the consignment and assist in the formation of a legally-binding contract. Standards can also be seen to protect consumers rights through setting limits to the amount of unsuitable or noxious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