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58

        243.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phalt concrete(Ascon) is used to repair potholes and cracks. Special truck-mounted cargo boxes transport 200℃ asphalt concrete to repair potholes and cracks. However, long working and transportation hours to repair wide roads de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sphalt concrete inside the cargo boxes. If the asphalt concrete temperature drops below 170℃, the adhesion with roads that need repair decreases. Therefore, the temperature of the asphalt concrete needs to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Conventional asphalt concrete cargo boxes are mostly burner-type models using hot air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asphalt concrete from dropping.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he asphalt concrete near and far away from the hot air, so the temperature decreases over time and leads to the disposal of large amounts of asphalt concrete. This causes waste of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heat dissipation cut-off type cargo box model to solve this problem and demonstrated its performance over conventional burner-type models through tests and analysis.
        4,000원
        244.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전이보 시스템이 지닌 층고 및 공사물량 증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경계보-벽체 시스템의 압축성능을 평가하였 다. 1/2 축소실험체에 대한 압축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실험체 변수로 상 하부벽체의 수평길이 상대비, 하부벽체의 두께, 하부벽체 전단보강근의 상세를 고려하였다. 실험의 최대하중은 하부벽체의 공칭축강 도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로부터 상부벽체로부터의 수직 하중이 하부벽체로 원활하게 전달되며, 편심으로 인한 모멘트 중 상당 량을 경계보가 가져감을 알 수 있다. 상하부벽체 수평길이의 상대비가 40%일 경우 50%일 때보다 단면의 기여도가 증가하였으며, 하 부벽체에 면외방향 편심이 존재할 경우 단면의 기여도가 감소하였다. 하부벽체의 전단보강근 간격을 줄이고 크로스 타이를 배근할 경우 초기강성 및 최대하중이 증가하며 국부적인 응력집중이 감소하였다.
        4,000원
        245.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각의 내구성 증진 및 내진 보강을 위하여 원형철근 콘크리트 교각 외부에 강판을 보강한 경우, 교각 외부에서 발 생하는 화재에 대해 보강된 교각의 내화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범용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 ABAQUS를 이용하였으며 ISO 834-1의 표준화재곡선을 적용하여 교각의 거동을 해석하였다. 해석 변수로는 강판보강두께와 원형교각 지름의 비, 교각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축력비를 적용하였다. 교각의 상부와 하부는 힌지-롤러 경계조건을 고려하여 상부는 수직으로 변위가 발생하 도록 하였으며, 교각 외부 전체에 열하중을 가하였고 편심 없는 순수 축하중을 교각 중앙에 가력하였다. 온도에 따른 콘크리트, 철근 및 강재의 비열, 열전도율, 탄성계수 등을 고려하여 보강에 따른 교각의 내화 성능 향상도를 평가하였다. 강판으로 보강한 원형철근 콘크리트 교각은 콘크리트의 중심부일수록 강판 두께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강판 두께별 축력을 주 었을 때 내화시간은 축력비 0.7에서 최대 약 3분 향상되었다. 또한, 보강두께가 두꺼울수록 내하력이 향상하며 60분 이후에 모 두 내하력비가 1.0 이하로 감소하기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강판보강공법은 내화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강판 보강 두 께와 보강 지름의 비가 클수록 화재에 대해 축방향에 대한 변위와 내하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원형철근 콘크리트 교각의 외부 강판 보강을 통하여 교각의 내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4,000원
        246.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고층 건물에서 수평변위 제어와 수직부재에서 발생하는 부등축소에 대한 검토가 필수적이다. 수평변위 제어를 위해 근래에 아웃 리거 구조시스템과 메가 구조시스템을 횡력저항시스템으로 사용한 초고층 건물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부등축소로 인한 구조적 문 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등축소량 예측과 예측결과를 통한 시공단계에서의 보정방법이 연구되어 왔으나 부등축소에 대한 횡력저항시 스템의 영향 비교는 드문 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평변위 제어를 위해 아웃리거 구조시스템과 메가 구조시스템을 사용한 60 층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주거용 초고층 건물에 대해 시공단계해석을 통한 부등축소를 비교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부 등축소는 비구조요소의 파손 및 구조요소에 부가하중을 유발하기도 하며 부등축소가 야기한 문제는 초고층 건물에서 중요한 부재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각 횡력저항시스템별로 수직부재의 부등축소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4,000원
        247.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FRP 그리드로 보강된 콘크리트 보의 휨 성능을 예측하기 위한 해석적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FRP 그리드 로 보강된 콘크리트 보의 휨 성능 예측을 위해 상용구조해석 프로그램인 LS-DYNA를 이용하여 유한요소해석이 수행되었다. 유 한요소해석 시 콘크리트와 FRP 그리드 간의 본드-슬립을 고려하였으며, 콘크리트와 FRP 그리드의 구속조건은 BEAM_IN_SOLID 모델이 적용되었다. 이후, 국내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된 실험 결과의 재현해석을 통해 제안된 유한요소해석 모델의 정확성 이 검증되었다. 최대하중, 최대하중 시의 변위 실험값에 대한 해석값의 비는 각각 0.990, 0.924, 표준편차 각각 0.056, 0.087로 제 안된 해석모델은 FRP 그리드로 보강된 콘크리트 보의 휨 성능을 잘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유한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보의 인장재로 철근이 아닌 CFRP그리드를 적용하기 위한 매개변수해석이 수행되었으며, 콘크리트 압축강도, FRP그리드의 겹 수, FRP그리드의 유효깊이는 CFRP그리드로 보강된 콘크리트 부재의 휨성능에 중요한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248.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손상된 콘크리트 구조물은 적절한 보수 및 보강을 통해 성능과 기능을 회복시켜야 한다. 장기간 공기 중에 노출된 콘크리트는 동결융화 작용으로 균열 및 박리를 일으켜 내부 철근의 부식을 유발하게 되는 주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 결융해 손상을 입은 콘크리트 교각의 FRP 보강의 연성에너지 증가 효과를 분석하였다. 보강 FRP 재료와 보강 높이, 보강 겹수 에 따라 동결융해 손상 콘크리트의 푸쉬오버 매개변수 해석을 수행하여 모멘트 곡률의 연성에너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FRP 보 강 높이는 소성 힌지 이상의 높이 보강은 비효율적이며, 동결융해 손상이 커질수록 FRP 보강으로 인한 연성에너지 증가량은 커 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강으로 인한 연성에너지 증가를 위해서는 고강도 FRP 재료보다는 높은 탄성계수를 갖는 FRP 재료가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FRP 재료의 특성에 따라 일정 보강 겹수 이상에서 보강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FRP 보 강으로 인한 손상된 콘크리트 교각의 연성에너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4,000원
        249.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exposed aggregate concrete pavement (EACP) is adopted to achieve low traffic noise and long-term skid resistance in European countries such as Belgium and Germany. In Korea, it is first introduced at the Myeon Cheon field site in 2010. It reduces 3 dB(A) from tire–pavement noise compared with transverse tining. Recent investigations show that EACP can reduce tire–pavement noise by an additional 5 dB(A) compared with transverse tining. In this study, the tire–pavement interaction noise of EACP is compared with that of conventional pavements such as asphalt pavement, next-generation concrete surfaces (NGCS), and transverse tining. METHODS : EACP is constructed at two field sites on the SOC research center and Yeo-Ju test road to compare the noise level via close proximity noise measurement. In addition, the noise is measured using two vehicle type based on vehicle speeds of 60, 80, and 100 km/h. RESULTS : The results of noise measurement obtained from the SOC research center are as follows: Porous asphalt pavement 92.8 dB(A), HMA 96. dB(A), transverse tining 100.1 dB(A), and 8 mm EACP 97 dB(A) at a driving speed of 80 km/h. For the case of the Yeo-Ju test road. The noise levels at a driving speed of 80 km/h are as follows: 6 mm EACP, 93.6 dB(A); asphalt grooving pavement, 94.72 dB(A); 8 mm EACP, 95.2 dB(A); NGCS, 95.2 dB(A); transverse tining, 104.1 dB(A). CONCLUSIONS : The result of noise measurement of two sites in the SOC research center and test road shows that the noise level of the 6 mm EAC is lower than that of concrete pavement, such as tining and NGCS, and similar to that of asphalt pavement. In addition, the noise level of the 8 mm EAC is similar to that of the NGCS pavement. The noise reduction effect of the EAC is greater when small-sized coarse aggregates with lower flat and elongation ratios are used.
        4,000원
        250.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In this study, a method for evaluating concrete bridge deck deterioration using three-dimensional (3D)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survey data and its in situ application are discussed. METHODS : Field surveys are conducted on two bridges in Yongsan-gu (Bridge A) and Seodaemun-gu (Bridge B) in Seoul using 3D GPR. The obtained survey data are used to calculate the dielectric constant map of each bridge using the extended common midpoint method. In addition, random points on both bridges are selected for the chloride content test in accordance with the KS F 2713 standard. The results from the dielectric constant map and chloride content test are compared. RESULTS : For Bridge A, it is discovered that the percentage of sections with a dielectric constant of 5.0 or less is 1.57%, whereas that above 5.0 is 98.43%; this indicates that the percentage of deteriorated sections for Bridge A is low. Meanwhile, for Bridge B, the dielectric constants calculated for the entire bridge exceed 5.0, which suggests no deterioration for Bridge B. Moreover, all the points selected for the chloride content test have less than 0.15% chloride content and have dielectric constants ranging from 5.0 to 7.0, which are favorable condition for the bridge deck. CONCLUSIONS : The analysis results of the dielectric constants of the concrete bridge deck obtained from the 3D GPR system are consistent with the actual chloride content results. Furthermore, additional verification of this method through field surveys on bridge sections with severe deterioration is highly recommended for future improvements.
        4,000원
        25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현장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PC(Precast Concrete) 건축공법의 적용이 급속하게 활성화되고 있다. 그러나 PC 공법은 시공 중, 특히 부재간 일체화 이전에 구조적 성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완공 후에도 접합부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연쇄붕괴에 취약하다. PC 건축물에서는 다양한 PC 부재간 접합 상세가 존재하며, 국내외 구조/시공 상세가 현격히 다르다. 그러나 국내 PC 시스템의 시스템 과 상세 특성을 반영한 연쇄붕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사용하는 PC 구조시스템과 접 합부 구조/시공 상세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사용되는 전형적인 PC 시스템의 유형을 설정하고 상기 PC 시스템 의 연쇄붕괴방지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주로 사용된 PC 구조시 스템의 연쇄붕괴방지 성능을 평가하고 구조설계시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4,000원
        25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폭발하중을 받는 부재의 저항성능 평가를 위한 모멘트-곡률 관계 기반 수치해석 기법을 소개한다. 직접전단 파괴 모 드를 고려하기 위하여 경험적인 직접전단응력-슬립양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무차원 스프링 요소를 도입하였다. 재료에 대해 정의된 동적증가계수 식을 바탕으로 단면의 모멘트-곡률 관계에 직접적으로 적용가능한 단면의 곡률 변화율에 따른 동적증가계수 식을 제작 하였다. 또한 부착슬립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소성힌지영역 내에 등가 휨강성을 도입하였다. 제안된 수치해석 모델의 타당성 검 증을 위하여 실험결과와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단자유도계 모델의 해석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본 수치해석 모델의 우수성을 확 인하였다. P-I 선도를 제작하여 부재의 휨 파괴 및 직접전단 파괴에 대한 저항성능을 평가하였으며,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여 P-I 선 도 및 저항성능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4,000원
        253.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진 시 원자력발전시설의 비선형 응답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 시설의 내진성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원자력 발전소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의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재료모델의 적절한 변수를 제시하였다: 최대인장강도, 팽창각, 손상계수. 이를 위해 상용 유한요소 해석프로그램인 ABAQUS를 사용하여 낮은 형상비를 가진 철근콘크리트 전단벽의 비선형 거동과 전단 파괴모드 에 대한 이 주요 변수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을 통해 강진 하의 원자로건물의 비선형 응답을 평가하였다.
        4,000원
        254.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철근을 대체하여 내산화성과 전기저항이 높은 GFRP 보강근을 적용한 도상슬래브의 최적 변수해석을 수행하였다. 철도 궤도슬래브에 적용되는 철근은 열차 운행 중 신호전류의 손실을 일으켜 열차의 안정성을 저해하며, 철 근의 부식으로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GFRP 보강근의 직경 및 배근 개수 변화가 전체 콘크리트 도상슬래브의 휨강도 및 균열제어 에 미치는 영향을 유한요소 변수해석을 통하여 상세분석하였다. 해석 결과, GFRP 보강근의 직경 및 배근을 합리화하여 제안하였으며 이러한 경우 기존 배근보다 더욱 경제적인 단면을 도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는 향후 GFRP 보강근을 적용하여 도상슬래브를 설계하는 경우 보다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단면을 산정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55.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rack and vertical behaviors of a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CRCP) under three different steel ratios (0.6%, 0.7%, and 0.8%) using field measurement data acquired from isolated concrete slabs with transverse cracks. METHODS : Using an LVDT and a crack gauge, CRCP behavior data are acquired by segmenting a concrete slab into multiple sections based on the similarity in the longitudinal steel ratio of each section. To examine the vertical behavior of CRCP based on longitudinal steel ratios, three field experiments are conducted in February, May, and September three years after project completion. The minimum and maximum ambient temperature data for each section are acquired during the experiments. Using the data acquired, the vertical and crack behaviors of CRCP with 0.6% of longitudinal steel ratios are analyzed.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steel ratio on the vertical behavior as well as seasonal vertical behaviors are examined. RESULTS : Analysis of the vertical behavior of concrete slabs with a 0.6% steel ratio shows that the minimum vertical displacement occurred at the center of the slab, whereas a significant vertical displacement is detected on the edges of the slab. Based on examining vertical displacements 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transverse cracks, it is observed that the vertical behavior is prominent around the shoulders, whereas similar vertical behaviors are observed at the center and joints of the slab. Furthermore, it is discovered that the minimum crack occurred at the center of the transverse cracks, whereas the maximum crack occurred on the shoulders and joints. Furthermore, it appears that the daily displacements of the vertical behavior at the center of the slab constitute approximately one-half of the daily displacements on the joints. Based on the results of vertical behavior as a function of the longitudinal steel ratios, it is discovered that steel ratios of 0.7% and 0.8% yield the most prominent vertical behaviors around the edge of the shoulder in the winter, spring, and fall seasons. The seasonal deviations of the vertical behaviors based on the measuring positions of the longitudinal steel ratios appear less significant at the center of the slab than those on the shoulder. In particular, for the slab with a steel ratio of 0.8%, subtle vertical behaviors are observed at the center. It is discovered that the seasonal deviation of the vertical behavior measurements varying by the measuring locations of the steel ratios appears less significant at the center of the slab than at the shoulder, and that it decreases with the steel ratio. CONCLUSIONS : CRCP generates cracks on the slab; however, they are managed by rebars in the CRCP. This study reveals that the major vertical and crack behaviors of CRCP occur around the shoulders than at the center of the CRCP slab. Therefore, new methods for managing cracks on the CRCP shoulder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RCP.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presented herein will be useful for the advanced analysis of CRCP behaviors.
        4,000원
        256.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ynamic behavior of a cement concrete paving machine (paver) by measuring its response using accelerometers. This is because the dynamic behavior of pavers affects the quality of data from various applications of IoT sensors, such as laser, ultrasonic, optical sensors and so o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understanding of dynamic behaviors can contribute to the effective use of various IoT sensors for the acquisition of real-time quality control data in pavement construction. METHODS : Dynamic signals are obtained using accelerometer sensors to identify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paving machines. The main parameters for acquiring dynamic signals are the status of the machine’s operating or standby conditions, and available locations for attaching various IoT sensors. Time domain data are logged at a particular sampling speed using a low-pass filter, subsequently, they are converted to digital data, which are analyzed on three rectangular axes. In addition frequency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measured data for identifying the peak frequencies, via FFT (Fast-Fourier-Transform) using MATLAB. RESULTS : The magnitude of the x-directional vibration i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direction under the paver’s operating or standby condition. However, signals from the smoother beam show that the z-directional vibration is more significant in the operating status. It means that the primary vibration depends on the location. Furthermore, the peak frequencies are quite various depending on the status of a paver and its sensing location. CONCLUSIONS : The magnitude of machine vibration and peak frequencies at each status or location are identified from time- and frequency-domain data. When using IoT sensors for quality control or monitoring pavements in constructio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paver should be considered to mitigate the interference of signals from the paver body or its elements.
        4,000원
        257.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Mori-Tanaka 방법 및 멀티스케일 접근 방법을 적용하여 CNT의 굴곡성을 고려한 CNT-복합재 보강 콘크리트 보에 대한 균열해석을 수행하였다. Ad-hoc Eshelby 텐서에 기반하여 CNT의 굴곡성을 기하학적으로 고려하여 폴리머와 합성 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멀티스케일 방법이 기반하여 CNT 함유량 및 굴곡성 변화에 따른 복합재의 탄성계수 및 강도변화를 추정하였다. 본 해석모델은 기존 문헌과 비교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CNT 함유량과 CNT 굴곡성의 상호관계를 도시하였다. CNT 보강 복합재 구조물의 해석에 있어서 CNT 굴곡성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4,000원
        25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measurement method using an embedded strain transducer (EST) and vibrating wire gauge (VWG), as well as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s by comparing them with the AASHTO T 336-10 standard method. METHODS : To apply the AASHTO 336-10 test method, which is the criterion for reliability evaluation, a reference specimen using stainless steel (sus304) is manufactured, and a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17.308με/°C is obtained based on ISO regulations. Using the reference specimen, the correction factor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measurement equipment is measured to be 2.93με/°C, and using this value,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mortar specimen containing the embedded gauges is measured accurately. The reliability of the proposed experimental method is evaluated by measuring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embedded gauge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then comparing it with that of the reference specimen. RESULTS :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mortar specimen is measured to be 12.423με/°C based on AASHTO 336-10, 11.963με/°C using the EST method, and 12.522με/°C using the VWG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using the AASHTO method, the embedded gauges show a difference of 1%~3% in terms of the average results, as well as a difference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0.059~0.186. Therefore, our level of confidence in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experiment using the embedded gauges is high. CONCLUSIONS : When using the AASHTO 336-10 test metho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should be obtained by measuring the length change of the specimen; however, some engineering judgment of the experimenter is required when the measurement values fluctuate during the temperature stabilization period. In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est using embedded gauges (EST and VWG), temperature compensation must be performed. Furthermore, it is assumed tha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tank and test specimen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measurement because the important point is not the actual temperature value but the temperature gradient. For reliability evaluation, a statistical significance review of the strain distribution by measurement method is performed via a T-test comparing with the AASHTO test result (12.423με/°C) and the reliability level for each measurement method remains confidential.
        4,000원
        259.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바잘트 섬유시트로 전단보강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경간비에 따른 구조물의 구조적 거동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보강은 무보강, 45도, 90도, U형보강을 변수로 두었으며 전단경간비에 따른 실험결과 U형으로 보강하였을 때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보강효과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4,000원
        260.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actual service life of repair methods applied to cement concrete pavement is analyzed based on de-icing agent usage. METHODS : Highway PMS data pertaining to de-icing agent usage ar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low (1~5 ton/lane/year), medium (5~8 ton/lane/year), and high (greater than 8 ton/lane/year). The repair methods considered include diamond grinding, patching, joint repair, partial depth repair, and asphalt overlay on five major highways. The service life of each repair method is analyzed based on the usage level of the de-icing agent. RESULTS : The service lives of the applied repair methods are much shorter than expected. It is confirmed that the service life afforded by diamond grinding, patching, and joint repair methods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use of de-icing agents, whereas that afforded by asphalt overlay and partial depth repair methods is affected significantly. The service life afforded by the asphalt overlay and partial depth repair methods decreases at high usage levels of the de-icing agent (greater than 8 ton/lane/year). CONCLUSIONS : Among the repair methods considered, the service life afforded by partial depth repair and asphalt overlay i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amount of de-icing agent used. Additional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cted and actual analyzed service liv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next-generation maintenance strategy for cement concrete pavement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