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5

        241.
        199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a new concept to reduce turbulent frictional drag by injecting micro-bubble into near the buffer layer of turbulent boundary layer on flat plate. The concentrations of micro bubble distribution in the boundary was calculater by eddy viscosity equations in the governing equations. When near region of the buffer layer of turbulent boundary layer is filled with micro-bulle of air and viscous of the region is kept low, the velocity profile in the near region should be changed substantially. Then the Reynolds stress in the region becomes less, which guide to lower velocity gradient there. It results in reduction of velocity gradient at the viscous sublayer, which gives the reduction of shear stress at the wall.
        4,000원
        242.
        1994.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 the dynamical evolution of globular clusters under the diffusion, the Galactic tide, and the presence of halo black holes. We compare the results with our previous work which considers the diffusion processes and the Galactic tide. We find the followings: (1) The black holes contribute the expansion of the outer part of the cluster. (2) There is no evidence for dependence on the orbital phase of the cluster as in our previous work. (3) The models of linear and Gaussian velocity distribution for the halo black holes do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cases. (4) The perturbation of black holes reduces the number of stars in lower energy regions. (5) There is a significant number of stars with retrograde orbits beyond the cutoff radius especially in the case of diffusion and the perturbation of black holes.
        4,900원
        243.
        199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chanism of activated sintering of tungsten powder was discussed in terms of diffusion and segregation of activator atoms at W grain boundaries. Shrinkage behaviours of W-0.2wt.% Ni, W-0.2wt.% Cu or pure W powder compacts during sintering at low temperatures of 900~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the Cu additive inhibits sintering process causing lower densification than pure W compact while remarkable shrinkage occurred in the Ni added W powder. Such contrary effect was explained by comparing self diffusion processes along Ni or Cu segregated W boundaries in which Ni segregants enhance but Cu atoms retard the migration of W atoms at W boundaries.
        4,000원
        246.
        199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리전이온도가 95℃인 폴리스티렌 균질막에서 CO2의 수착과 투과실험을 온도는 60℃, 수착실험은 1.6 MPa 범위, 투과실험은 2.5 MPa 범위 내에서 각각 행하였다. 낮은 기체압력하에서는 수착등온선이 dual-mode sorption model에 일치하였으나 1.3 MPa 이상에서는 직선이었고, 직선부분은 원점까지 외삽되었다. 평균투과계수의 압력의존성은 dual-mode mobility model로부터 위로 편기되었다. 수착등온선으로부터 폴리스티렌 막은 1.3 MPa의 기체압력에서 수착된 CO2의 가소화거동에 의해서 유리전이가 일어난다는 것을 알았고, 이는 평균투과계수의 증가와 일치하였다.
        3,000원
        249.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idal current observation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rculation and diffusion in the vicinity of Kunsan harbor on March 1415, April 1∼2, and 13∼14, 1988. By harmonic analysis, the semidiurnal tidal current of more the amplitude of vibration was prevailed and its rotary direction was anti-clockwise in this harbor. Apparently constant current which is generated by out flow of Geum river was found to flow from Kunsan inner harbor to Janghang with the speed of about 30㎝/sec. It can be easily considered that deposition of much sand and mud which come from Geum river in Kunsan inner harbor and erosion in Janghang harbor will be occurred respectively. Autocorrelation and diffusion coefficient of each components was calculated to study the some characteristics of diffusion. Correlogram of the east-west component current was regular and nearly the same period as semidiurnal current. But it appeared irregular and considerably small value in the north-south component correlogram. Diffusion coefficient was 4 order in X-axis and 2∼3 order in Y axis in each study station.
        4,000원
        250.
        199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many combustion systems, swirling combustion air is extensively applied as an aid for stabilization of high intensity combustion pocesses. Swirl, generally, causes significant effects on the flow field which, in turn, determines the size, shape, and stability of flames, and combustion inten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wirls on flames produced from a model combustor designed in this paper. In order to impart swirls to the combustion air, a movable block swirl generator was used.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radiative heat flux along the centerline of the swirling flame were measured. Data obtained from these swirl flows can be used as design data for high intensity or high efficiency combustion system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lame temperature profiles were measured at various swirl number. 2. The axial distance for maximum temperature from the centerline of burner increased as the swirl number increased. 3. Radiative heat flux increased as the swirl number and axial distance from burner increased.
        4,000원
        251.
        1991.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ce of synchrotron losses, diffusion of an ensembel of relativistic particles in an intraculster medium is investigated. The diffusion coefficient in the medium is found to be constrained by 28.8 ± 0.4 ≤ L o g D ≤ 30.5 ± 0.4 c m 2 s − 1 with the energy dependency of D 0 ε μ of μ = 0.4 ± 0.2 as the previous observations suggested. As an important implication of the result, the brightest head-tail radio source NGC 4869, whose radio tail structure is indicative for its orbit within the cluster core, is considered to be the major contributor of particles for the formation of the Coma radio halo.
        4,200원
        253.
        198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for setting up the proper strategies to minimize the future marine pollution in the vicinity sea area of the Geoje Island, the general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dye diffusion experiment were carried out from January to March, 1983. Although TSS and COD level in the investigated sea area showed still slightly lower than the area of Seaside Industrial Complex Zones, seriously increasing due to the construction of heavy industrial plants. Dissolved oxygen showed more than 8 ppm, and inferred still enough for the reservation of the investigated sea area. The dye patches moved south-eastward with forming an elliptical shape and then turned slowly to the area of Kujora during flood tide, and it moved northwestward and then blocked the entrance of Jangseungpo during ebb tide, The diffusibility in the area may be assessed to be quite better than other coastal areas.
        4,000원
        254.
        198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해만은 여름철에 적조가 자주 발생하는 해역으로서 우리나라 남해안 중 해양 오염이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해역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오염된 마산만의 해수가 진해만으로 어떻게 유입, 희석되는가를 알아보고, 만외에서 유입되는 해수의 확산 이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조(1981년 8월 17일)와 소조(1981년 9월 7일) 각 조석에 따라 네 번에 걸쳐 Rhodamine B (중량비 6%) 확산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조 때 방출 90분 후의 썰물과 밀물 때의 확산계수는 각각 3.0×10 super(3) cm super(2) /sec, 2.8×10 super(3) cm super(2) /sec 이고 소조 때 방출 90분 후의 확산 계수는 밀물 때는 6.2×10 super(2) cm super(2) /sec, 썰물 때는 2.1×10 super(3) cm super(2) /sec로서 소조 때보다 대조 때 더 크게 나타났으며, 다른 해역과 비교해 보면 수영만의 8.2×10 super(2) cm super(2) /sec, 1.12×10 super(3) cm super(2) /sec(Kim: 1981)와 그 값이 거의 비슷하나, 고리에서의 10 super(3) ~10 super(4) cm super(2) /sec(Ro: 1980)보다는 매우 적게 나타났다. 진해만 및 마산만의 경우, 만 입구가 협소하고 남쪽으로 열려 있어서 여름철에 남풍계열의 바람이 강하게 불면 썰물 때라도 표층수가 역류하여 만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특히 소조 때에는 오염물질의 분산이 잘 되지 않고 누적될 가능성이 크게 보인다.
        4,000원
        255.
        198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56.
        198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시험은 수직 사이로에 충진된 옥수수를 대상으로 M.B를 사용하여 자연중력하에서 소독할 때 M.B가스의 침투확산성 및 살충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이로 표층의 M.B가스 농도는 투약후 2시간후부터 100mg/l 이상에서 20mg/l 이하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2. 사이로 표층으로부터 3m 깊이 지점의 M.B가스 농도는 투약후 12시간이후 100mg/l 이상에서 30mg/l 이하로 감소되었으며 표층의 고농도 M.B가스가 불과 30분 이내에 3m 깊이 까지 침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사이로 표층으로부터 고농도의 M.B가스는 13m 깊이 지점까지 1시간 이내에 침투되었으며 투약후 48시간까지 지속적으로 100mg/l 이상40mg/l 이상의 M.B가스가 검지되는 것으로 보아 자연중력하에서 옥수수를 소독하는 경우 13m 깊이 부근에 M.B 가스의 고농도 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4. 사이로 기부(21m 지점)의 M.B가스는 에 불과했던 것으로 보아 M.B의 침투가 아주 적었던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5. M.B 가스의 횡 확산성은 수직 침투성에 비하여 매우 적었으며 사이로 길이 3m의 경우 투약방향으로부터 약 13m지점의 qdnl는 중심부의 약 , 그리고 깊이 13m 지점에서는 지점에서는 의 농도에 불과하였다. 6. 투약후 24시간만에 조사한 사이로의 표층 및 기부(21m 지점)에 삽입 했던 공시충(거짓쌀도둑)은 모두 사멸되었으며 48시간후에 조사한 3m, 7m, 및 13m 지점의 공시충도 모두 사충으로 발견되었다.
        4,000원
        258.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콘크리트는 인장력에 취약한 재료적 특징을 갖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기간 중에 발생하는 균열은 내구성능 평가 시 필히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수준의 강도를 고려한 플라이애시 콘크리트를 배합하여 옥외 폭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노출 환경은 비말 조건으로 설정하였으며, 균열 폭이 콘크리트의 염화물 확산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각 배합의 시편에 0.1 mm 간격으로 최대 1.0 mm 까지의 균열 폭을 야기하였다. 그 후 3가지 수준의 노출기간(180일, 365일, 730일)을 고려하여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및 표면 염화물량을 산출하였다. 균열 폭의 증가에 따라 두 배합 모두 확산계수가 증가하였으며, 노출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확산계수는 감소하였다. 또한 노출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균열 폭이 확산계수에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염소 이온 기반 수화물이 콘크리트의 확산성을 저감시키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표면 염화물량 거동은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 거동 대비 균열 폭의 증가에 따른 뚜렷한 변화 거동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고강도 배합에서 보통 강도 배합 대비 78.9 % ~ 90.7 %의 표면 염화물량을 나타내어 강도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된다.
        259.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생조건에 따른 고로슬래그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염화물 이온 확산계수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GGBFS 혼입율 0%, 30%, 60%로 구분하고 W/B를 40%,50%,60%로, 양생조건을 기중양생과 수중양생으로 시험체를 제작하여 콘크리트 염화물 이온 확산계수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GGBFS의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콘크리트 염화물이온 확산계수는 감소하였지만, 양생조건에 따른 확산계수 편차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W/B가 증가할수록 그 차이는 증가하였으며. W/B 60% 조건에서 수중양생 대비 기중양생 시험체의 염화물 이온 확산계수는 2배 가까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60.
        201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염해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사용 배합을 통하여 확산계수를 평가하고 이를 이용한 염화물 침투 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말대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하여 촉진 확산계수를 NT BUILD 492 및 ASTM 1202를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기존의 연구를 이용하여 겉보기 확산계수를 도출하였다. 사용배합의 특성과 가장 보수적인 조건인 임계 염화물량과 표면 염화물량을 고려하였으며, Life 365 ver.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외벽 및 기둥구조의 내구수명을 평가하였다. 10년 및 15년의 Built-up period의 변화에 대해서는 내구수명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슬래그를 사용한 두 개의 배합에서는 높은 시간의존성 지수와 낮은 초기 염화물 확산계수로 인해 75년 이상의 높은 내구수명이 확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