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8

        281.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about an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system and an application technology for post-earthquake safety evaluation. The mobile application supports field survey on earthquake damage buildings and shortens the surveying time. The results from the mobile are transmitted to a data managing program. And it displays a surveyed-place, result and suggests statics. This system is expected to support local governments to effectively respond to earthquake disasters.
        282.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vessel steam explosion may occur when, during a severe reactor accident, the molten core pours into the water in the reactor cavity. These dynamic loads on the cavity wall could potentially lead to the significant failure of the cavity wall. But the phenomenon like this steam explosion includes big uncertainty in estimating the impulsive pressure loading of RCB. In this study, risk based integrity assessment method of the NPP structure subjected to steam explosion load was suggested to capture these uncertainties involved during the structural integrity assessment of the Nuclear power plant.
        283.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s well as natural disasters, disasters caused by human factors, even disasters can consider integrated regional risk assessment aims at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Facility of one of its elements a disaster risk factor deriving method are described.
        284.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year, dam risk analysis and assessment tool is developed D-SMART program, including analysis hydrological module, geotechnical module and consequence module. D-SMART is program of risk analysis and assessment utilize technique for dam safety evaluation. In the future, Dam risk assessment carried out step by step in K-water plans.
        285.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risk analysis and assessment was carried out by selecting pilot dams using D-SMART. D-SMART was risk-based evaluation tool of dam for dam safety and was developed in K-water. Dam risk assessment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using D-SMART and the future through additional research, system of risk assessment will be improve.
        286.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내수침수 특성을 고려한 내수침수위험도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의사결정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Fuzzy AHP 기법을 활용하였다. 내수침수 위험도의 평가기준으로는 물리적 지표, 사회적 지표, 그리고 내수침수 시나리오 결과 등 세 가지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평가기준은 3개의 세부평가항목을 가지고 있어 총 9가지의 평가항목을 바탕으로 내수침수 위험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행정구역 단위가 아닌 배수시스템의 노드(맨홀)를 기준으로 침수위험도를 분석하여 침수위험도가 높은 지점을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부산시 거제지구에 Fuzzy AHP 기법을 적용한 결과, 온천천 거제천 합류부 저지대의 침수위험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과거 피해이력과 일치하는 것이다. Fuzzy AHP 기법을 적용한 본 연구결과는 내수침수 위험도 산정 및 고위험도 지역의 내수침수 저감계획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87.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rently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for existing buildings are being made simply through the review of the analytical technique corresponding to design specifications on beam, column, shear wall, joint and so on. Also the seismic performance is evaluated to 4 steps as immediate occupancy level(IO), life safety level(LS), collapse prevention level(CP), collapse occurrence level(CO). However, in case of a structure being used for a number of years after construction, which may have partial damages and durability degradations may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actual behavior during an earthquake. Therefore, a improved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is proposed based on risk assessment and seismic performance techniques since more systematic evaluation and condition assessment are required, and thus the practical and economical seismic retrofit measures for the existing facilities and for the reasonable seismic design as well are to be developed more than ever before.
        288.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weighting factor on inspection categories for risk assessment of buildings. For the purpose, survey of practitioners and experts conducted.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relative weighting factor in inspection categories were estimated.
        28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s well as natural disasters, disasters caused by human factors, even disasters can consider integrated regional risk assessment aims at the development of techniques. Facility of one of its elements a disaster risk factor deriving method are described.
        290.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irst time in Korea risk analysis was carried out on dams and risk assessment was carried out by selecting a pilot dam. As a result, the dam risk assessment process was established, and also learned the importance of risk assessment. Dam risk assessment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but the future through additional research, risk analysis is to develop the system.
        291.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s damage estimation technique of earthquake disaster. In order to do this, 1) Proposition of current situation analysis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domestic and foreign-related systems of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system, 2) Establishment and design of research earthquake disaster damage assesment system 3)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domestic and foreign-related soil field on damage estimation, 4) Creation of soil liquefaction risk-map and processes method of soil information. When occurred an earthquake, occurs the system rapidly displays seismic intensity distribution and life, structure, lifeline damage estimations. This enables decision makers to support the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decisions. Eventually, earthquake disaster damages are expected to be reduced significantly.
        29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산재의 낙진에 의한 농업산업의 피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화산재에 대한 시설물 및 원예작물의 취약도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낙진에 대해 원예특작시설물의 구조적 취약도와 원예작물의 생산성 취약도를 평가하였다.<br> 원예특작시설물에 대한 화산재 취약도는 FOSM(First Order Second Moment) 방법을 기초로 한 해석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이 FOSM 방법은 화산재 하중의 확률분포와 구초실험 및 분석을 통해 얻은 시설물의 저장성능 확률분포를 비교하여 취약도가 평가되었다. 원예작물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판단과 경험적 접근방법이 조합된 혼합적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화산재 취약도가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평가한 모든 취약도를 GEV(Generalized Extreme Value) 분포의 변수들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본 연구에서 평가하고 구축한 화산재에 대한 원예특작시설물과 원예작물의 취약도는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백두산 화산분화 시나리오에 대한 농업산업의 피해예측을 위해서 사용될 것이다.
        293.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2년 골프산업규모를 살펴보면 골프인구 470만명, 년간 골프지출액 23조원, 골프용품시장은 1~1.5조원(클럽 8,000억원 ~ 1조2천억원 / 골프공, 골프화, 골프장갑 등 2~3,000억원), 골프웨어 4,000억원으로 전체 산업 규모는 24.5조원 ~ 25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소득이 증대되면서 성장하고 있는 골프산업과 비례하여 골프장 안전사고 또한 골프 동호인구의 증가와 함께 어느 순간 사회적 이슈로 떠오를 만큼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골프장 사고는 골프장이 갖는 입지적인 문제로 파생되는 주변 기상, 지형상의 사고 유발 환경도 문제이지만 골프장과 골퍼들이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무시해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골퍼들은 해저드 익사, 카트 전복, 낙뢰 감전, 타구 사고 등을 너무도 가볍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안전 불감증 또는 부주의한 방심에 기인하며 무방비 상태에서 갑자기 발생하는 사고로 인하여 대형사고로 이어지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골프장 안전사고에 대한 자료가 불충분한 관계로 가상의 골프장 사고 시나리오에 근거한 위험 평가 과정을 제시하고 그 평가 결과에 따른 대처 방안 마련 과정을 FTA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여 ‘무사고 안전 골프장’ 안전관리가 마련되도록 한다.
        294.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상청에서 개발한 초단기 강수예측시스템인 KLAPS(Korea Local Analysis and Prediction System)와 KLAPS를 기반으로 생산된 한반도강수합성장(composite precipitation on Korean peninsula)을 비교·분석하여 산사태 위험도 평가를 위한 데이터 활용성과 효과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GIS기법 및 산사태발생예측식을 이용하여 기상관측자료, KLAPS, 한반도강수합성장의 실제 산사태발생 모의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KLAPS와 한반도강수합성장이 산사태 예측 및 특성분석을 위한 자료로써 사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95.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 홍수, 폭설 등과 같은 자연재해의 빈도가 높아지며 재난 재해로 인한 방재 문제에 사회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도시환경변화와 동반하여 토지 피복 변화, 온도 상승, 인공 배열량 증가, 녹지면적 감소, 수증기 발생량 증가 등의 변화와 초고층 빌딩 증가에 따라 도시의 강풍 및 돌풍과 같은 풍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측 및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 과거 태풍 및 재현주기 풍속을 이용하여 단위지역별 위험도를 추정하는 풍해위험도 평가시스템을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풍해위험도 평가시스템 구축의 일환으로, 시스템에 탑재되어지는 취약도 산정 및 바람장 계산 모듈의 분석을 통해 시스템 표출 방안을 제시하고, 파일럿 시스템에 적용하여 GIS 기반 표출을 진행하였다.
        296.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동성의 증가로 인한 댐의 안정성 확보가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세계대댐회(ICOLD)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한 댐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위험도 해석 기반의 해석 절차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기존 댐 안정성 평가의 경우 치수적 관점에서 빈도해석기법과 정성적 평가 기반의 상태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정략적이며 구체적인 해석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댐의 위험도 분석을 위해서는 구조물 자체적인 문제, 기상조건, 환경적인 요인 등 내부·외부 요인들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고려된 요소들 간의 상호작용을 평가할 수 있는 Network 기반의 해석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대부분의 위험도 해석과정에서 요구되는 매개변수들의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는 점과 각 매개변수들의 불확실성이 전체 해석결과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 평가 수행 중 가장 중요한 위험요소들의 분류와 규명, 위험요소들간의 인과관계, 위험요소들의 발생확률 산정 등을 통해서 각각의 위험요소들의 발생경로와 발생확률 등을 체계적으로 추정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댐의 과거 피해사례, 계측 및 외관 조사, 다양한 댐 파괴인자 등을 고려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한다. 둘째, 도출된 위험 인자들을 토대로 댐 위험도 해석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 주요 파괴경로, 원인 인자와 결과간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Bayesian Network 모형을 구축한다. Bayesian Network 노드에는 각 입력자료의 특성에 맞는 확률분포형이 부여되며, 각 노드간 조건부확률의 계산을 통해 댐의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인명피해액 및 경제적인 피해액을 산정하여 댐 파괴시 총 피해액을 산정할 수 있도록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댐 피해의 결과로 보수·보강의 계획 수립시 특정 위험인자에 대해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각 댐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관리·운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97.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8년간(‘03-’10년)의 인적재난사고현황에 의하면 화재사고, 폭발사고, 가스사고, 공단내시설사고, 전기감전사고, 보일러사고, 붕괴사고에 의한 연평균 발생건수가 40,022건, 사망자수가 554명, 부상자수가 2,511명에 달한다. 사고 유형별 발생건수 및 사망자수의 비율을 보면 화재사고가 각각 98.4% 및 85.4%, 기타 폭발, 가스, 공단내시설, 전기감전, 보일러, 붕괴사고에 의한 비율이 1.6% 및 14.6%를 차지한다. 이상과 같이 사고 유형별 발생빈도 및 피해규모는 상이하지만 크고 작은 인적재난사고에 의해 해마다 인적ㆍ물적 자원의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적재난에 의한 피해율 최소화를 위하여 재난유형에 대한 발생빈도 및 해당 지역의 재난유형별 위험도지수를 도출하여 지역특성을 고려한 위험도평가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298.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특정 대상 시설의 위험도 평가기법을 합리화하기 위하여 기존 특정대상시설 안전등급 평가 메뉴얼을 분석하였으며, 점검항목에 대한 위험도 평가지표를 설정하였다. 합리적인 위험도 평가지표 설정을 위하여 최근 9년간의 인적재난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재난 발생 원인별 현황 분석을 통해 재난 유형별 각 점검분야의 상대적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또한 최근 9년간 주요사고사례 분석을 통해 체크리스트의 각 점검항목별 중요도를 산정하여,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설정하였다. 설정된 점검분야별 상대적 가중치화 점검항목별 중요도를 적용하여 시설물의 위험도를 평가할수 있는 평가모델을 제안하였다.
        299.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샌드위치패널은 시공상의 용이함과 비용대비 높은 단열효과를 가지는 장점으로 공장 및 창고등 많은 분야에서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지난 안성 냉동창고 화재사고에서 볼 수 있는 가연성 패널이 가지는 화재확산 위험성이 상존하고 있어 대형 화재사고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소방활동을 하는 일선 소방관들에게 큰 위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샌드위치패널의 화재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가연성 패널과 글라스울 패널의 비교실험을 실시 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ISO 9705에서 제시된 구획실을 구성하였으며 내부에는 목재크립을 적재하여 화재를 모사하였다. 실험결과 가연성 패널의 경우 화재발생 후 약 2분후에 플래쉬오버가 발생하여 붕괴가 진행되었으며, 내부 최대온도는 976℃로 고온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현재의 시편크기의 시험에서는 평가하기 어려운 구조적 안정성등 종합적인 화재 안전 평가를 위한 실규모의 화재 성능 평가법(KS F ISO 9705등)의 도입이 적극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평가된다.
        30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국 세인트헬렌스 화산분화, 아이슬란드 화산분화 및 일본 신모에다케 화산분화 등에서 알 수 있듯이, 화산재는 항공·도로· 철도 등 사회기반시설의 운영에 매우 심각한 피해를 야기 시킬 수 있다. 여타의 사회기반시설의 피해에 비하여 철도교통은 화산의 2차적 피해인 화산재의 영향으로 운행에 상대적으로 덜 취약하다. 그러나 철도교통 역시 화산재의 쌓임, 흡착, 마모 등으로 운행에 피해를 야기 시킬 수 있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백두산의 화산분화 시 다양하게 예측되는 피해 중 철도교통 부분에 미치는 화산재 피해 부분을 살펴본다. 그리고 국가의 재정과 인력이 한계를 인지하고, 다양한 피해 부분 중에서 우선적으로 점검해야하는 피해를 바탕으로 우선관리 대상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화산재 피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우선 관리 대상을 찾는 연구로 이를 위해 선행연구와 철도교통의 연구의 내용을 확인하고 예상 피해의 종류 및 해외의 화산재 피해로 인한 철도 교통의 운행 중단 및 위험 사례를 조사한다. 그리고 기존연구 및 해외사례 구성 체계를 바탕으로 화산재 피해 시 우선관리를 해야 하는 대상을 지표로 종합화한다. FGI( Focus Group Interview) 과정을 거쳐 지표의 후보군을 도출 후 적합성을 검증한다. 후에 AHP전문가 설문을 위한 구조도를 작성하고 이에 따라 AHP분석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도출된 가중치를 해석하고 적용방안을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