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3

        301.
        2009.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operties of SOHO/LASCO CMEs are subjected to projection effects. Their dependence on the source position is important to be studied. Our main aim is to study the dependence of CME properties on helio-longitude and latitude using the CMEs associated with type IIs observed by Wind/WAVES spacecraft (Deca-hecta metric type IIs - DH type IIs). These CMEs were identified as a separate population of geo-effective CMEs. We considered the CMEs associated with the Wind/WAVE type IIs observed during the period January 1997 - December 2005. The source locations of these CMEs were identified using their associated GOES X-ray flares and listed online. Using their locations and the cataloged properties of CMEs, we carried out a study on the dependence of CME properties on source location. We studied the above for three groups of CMEs: (i) all CMEs, (ii) halo and non-halo CMEs, and (iii) limb and non-limb CMEs. Major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 There is a clear dependence of speed on both the longitude and latitude; while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with respect to longitude, it is opposite in the case of latitude. Our investigations show that the longitudinal dependence is caused by the projection effect and the latitudinal effect by the solar cycle effect. (ii) In the case of width, the disc centered events are observed with more width than those occurred at higher longitudes, and this result seems to be the same for latitude. (iii) The dependency of speed is confirmed on the angular distance between the sun-center and source location determined using both the longitude and latitude. (iv) There is no dependency found in the case of acceleration. (v) Among all the three groups of CMEs, the speeds of halo CMEs show more dependency on longitude. The speed of non-halo and non-limb CMEs show more dependency on latitude. The above results may be taken into account in correcting the projection effects of geo-effective CMEs.
        4,000원
        30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점오염원으로부터 오염된 소하천에서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하여 식물플랑크톤 배양 장치를 설치하고 운영하였다. 식물플랑크톤 배양조에서 식물플랑크톤 정치배양 결과, 식물플랑크톤의 연속배양을 위한 배양조의 체류시간을 3일로 결정하였으며 TP는 70%, TN은 44%가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연속배양 결과 45일 동안 배양조에 유입된 TP의 53.9%, TN의 53.1%가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흡수와 슬러지로 제거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이 성장하면서 배양조의 pH와 용존산소농도는 각각 평균 10.8, 16mg L-1이었다. 결국 비점오염원에 오염된 하천수의 영양 염류는 식물플랑크톤의 사체와 화학반응으로 생성된 침전물로 제거되었다. 비교적 설치가 간단하고 경제성이 높은 식물플랑크톤 배양법의 높은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30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 설치신고 대상 개발사업장 중 골프장 개발사업장의 배출특성 및 관리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골프장 개발사업장의 비점오염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비점오염의 정의에 대하여 살펴보고 비점오염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발생억제와 배출억제 방안들에 대해 고찰하고 현재 골프장 개발사업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특징과 이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골프장 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을 조사한 결과, 골프장 건설전, 건설중, 건설후로 구분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골프장 건설중 모니터링은 유사량과 토양유실에 집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골프장 건설단계에 따라 대책을 마련하는 방법과 비점오염의 발생원인에 따라 침식억제와 유사운송억제로 구분하여 대책을 마련하는 방법, 오염물질의 저감을 위한 방법에 따라 구조적, 비구조적 대책으로 구분하여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있다. 골프장 건설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해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비점오염의 거동을 분석하고 골프장 건설단계, 발생원인,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방법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비점오염을 저감하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4,000원
        306.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대사회가 기술을 기반으로 발전하면서 기술발달의 요체인 원천기술의 공개에 대한 필요가 증대되면서 오픈소스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오픈소스는 소스코드의 공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특허를 통한 독점·배타적 보호가 오히려 소프트웨어 산업과 기술의 발전에 저해요인이 된다는 것을 기초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오픈소스를 기반으로 한 오픈소스소프트웨어 라이센스에 관한 법적 쟁점은 특허와 관계된 것과 저작권과 관계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저작권은 이용허락의 형태로 체결되고, 특허는 실시권의 형태로 체결된다. 오픈소스라이센스 계약은 공개여부, 권리자의 표시, 재배포의 문제로 분류하여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OSS라이센스는 산업의 발전을 위해 원천기술의 공개와 이를 바탕으로 한 신기술의 개발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논의이고, 궁극적으로는 지적재산권의 태생적 한계에 대한 논의이다. 따라서 권리의 다발이라고 일컬어지는 지적재산권은 권리자의 보호범위가 넓어질수록 이용자의 권리와 문화·기술의 발전에 저해요인이 되므로 이러한 오픈소스운동과 같은 순기능의 실현이 더욱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307.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of fracture to material is getting interest in nuclear and aerospace industry as a viewpoint of safety. Acoustic emission (AE) is a non-destructive testing and new technology to evaluate safety on structures. In previous research continuously, all tensile tests on the pre-defected coupons were performed using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 which machine crosshead was move at a constant speed of 5mm/min. This study is to evaluate an AE source characterization of SM45C steel by using k-nearest neighbor classifier, k-NNC. For this, we used K-means clustering as an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for obtained multi -variate AE main data sets, and we applied k-NNC as a supervised learning pattern recognition algorithm for obtained multi-variate AE working data sets. As a result, the criteria of Wilk's λ, D&B(Rij) & Tou are discussed.
        4,000원
        308.
        2009.03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xposure to nitrogen dioxide (NO2) can produce adverse health effects. Various indoor and outdoor combustion sources make NO2 the most ubiquitous pollutant in the indoor environment. Indoor air quality can be affected by indoor sources, ventilation, decay and outdoor levels. Although technologies exist to measure these factors, direct measurements are often difficult. In the present paper, we used a mass balance model and regression analysis, penetration factor (ventilation rate divided by the sum of ventilation rate and deposition constant) and source strength factor (source strength divided by the sum of ventilation rate and deposition constant) were calculated using multiple indoor and outdoor measurements with 10 houses. Subsequently, mean contributions of indoor and outdoor sources were 28.86% and 81.09%,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both indoor and outdoor sources had contributions to indoor concentrations of NO2.
        4,000원
        30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도정수처리를 위하여 모듈 내부와 관형 세라믹 정밀여과막 외부 사이의 공간에 입상 활성탄(GAC)을 충전한 혼성 모듈을 사용하였다. 정수 원수 중의 자연산 유기물(NOM)과 미세 무기 입자를 대체하기 위해, 휴믹산(humic acid)과 카올린(kaolin) 모사용액을 대상으로 하였다. 혼성공정에서 막오염을 최소화하고 투과선속(J)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역세척 시간(BT)과 역세척 주기(FT)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최적운전조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BT가 증가함에 따라 Rf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더 짧은 FT는 빈번한 역세척으로 Rf의 감소와 J의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운전비용을 고려하였을 때, 최적 BT 및 FT는 각각 10초와 8분이었다. 한편, 모사용액으로 실험하여 도출된 최적 운전조건을 호소수의 고도정수처리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탁도 및 UV254 흡광도, CODMn의 평균처리효율은 각각 99.11% 및 91.40%, 89.34%로 우수하였으나, TDS의 평균처리효율은 30.05%로 낮았다.
        4,300원
        310.
        200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Choe & Cheng (2002) have demonstrated that multiple magnetic flux systems with closed configurations can have more magnetic energy than the corresponding open magnetic fields. In relation to this issue, we have addressed two questions: (1) how much fraction of eruptive solar active regions shows multiple flux system features, and (2) what winding angle could be an eruption threshold. For this investigation, we have taken a sample of 105 front-side halo CMEs, which occurred from 1996 to 2001, and whose source regions were located near the disk center, for which magnetic polarities in SOHO/MDI magnetograms are clearly discernible. Examining their soft X-ray images taken by Yohkoh SXT in pre-eruption stages, we have classified these events into two groups: multiple flux system events and single flux system events. It is found that 74% (78/105) of the sample events show multiple flux system features. Comparing the field configuration of an active region with a numerical model, we have also found that the winding angle of the eruptive flux system is slightly above 1.5π.
        4,000원
        31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관형보다 단위시간당 투과량이 월등히 많은 다채널 세라믹 분리막을 사용하였으며, 고도정수처리 혼성공정은 모듈 내부와 다채널 정밀여과막 외부 사의의 공간에 입상활성탄(GAC)을 충전하여 구성하였다. 정수 원수 중의 자연산 유기물(NOM)과 미세 무기 입자를 대체하기 위해, 휴믹산(humic acid)과 카올린(kaolin) 모사용액을 사용하였다. 유기물질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일정한 30mg/L의 카올린 농도에서 휴믹산(humic acid)의 농도를 2~10 mg/L로 변화시켰다. 그 결과, 막오염의 저항(Rf)과 투과선속(J)은 휴믹산의 농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았다. 또한 역세척 주기(FT)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더 짧은 FT는 빈번한 역세척으로 막오염의 감소와 투과선속의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운전비용을 고려하면, 최적 FT조건은 8분이였다. 한편, 이 다채널 정밀여과막 및 GAC 혼성공정을 호소수에 적용한 결과, 평균 처리효율은 탁도 98.02%, UV254 흡괌도 75.64%, 총용존고형물(TDS) 7.18%, 화학적산소요구량 84.73%이었다.
        4,200원
        313.
        2008.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nostructured carbon materials have been found to have applications in fuel cell electrodes, field emitters, electronic devices, sensors and electromagnetic absorbers, etc. Especially, the CNF (carbon nanofiber) can b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atalyst supporters for fuel cell electrodes and chemical reactions.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CNF from a liquid phase carbon source by a solvothermal method. In addition, we studied the parameters for the preparation of CNF by controlling heating and cooling rates, synthesis temperature and time. We characterized the CNF by SEM/TEM, XRD, Raman spectroscopy and EDS. We found that the heating and cooling rate have strong effects on the CNF formation and growth. We were able to prepare the best CNF at the heating rate of 10˚/min, at 450˚ for 60 minutes, and at the cooling rate of 4˚/min. As a result of Raman spectra, we found that the sample showed two characteristic Raman bands at ~1350cm-1 (D band) and ~1600cm-1 (G band). The G band indicates the original graphite feature, but the D band has been explained as a disorder feature of the carbon structure. The diameter and length of the CNF was about 15~20nm, and over 1μ, respectively.
        4,000원
        314.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고도정수처리를 위하여 모듈 내부와 세라믹 정밀여과막 외부 사이의 공간에 입상 활성탄(GAC)을 충전한 혼성 모듈을 이용하였으며, 정수 원수 중의 자연산 유기물(NOM)과 미세 무기 입자를 대체하기 위해, 휴믹산(humic acid)과 카올린(kaolin) 모사용액을 사용하였다. GAC의 충전율(packing fraction)에 따른 처리효율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GAC의 충전율을 0~24.05%로 변화 시켰다. 그 결과, 3시간 운전하는 동안 막오염에 의한 저항(Rf) 및 투과선속(J)의 변화 곡선은 GAC의 충전율에 관계없이 거의 중첩되었다. 그리고 탁도의 처리효율은 모든 조건에서 99.46% 이상으로 높았으며, UV254 흡광도로 측정한 NOM의 처리효율은 최대 충전율 24.05%에서 제거율은 99.4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충전율 24.05%에서 13시간 동안 운전한 결과, J는 막오염의 증가에 따라 운전 초기 1시간 이내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3시간 운전 후부터는 거의 일정한 투과선속을 나타냈다. 그리고 탁도 및 NOM의 처리효율은 각각 99.52%와 96.63%로 안정적인 높은 처리효율을 보였다.
        4,000원
        315.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al ability and gene expression of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embryos using ear skin fibroblast cells derived from miniature pig. When miniature pig (m) and landrace pig (p) were used as donor cell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leavage (79.2 vs. 78.2%) and blastocyst rates (27.4 vs. 29.7%). However, mNT blastocys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poptosis rate than that of pNT blastocysts (6.1 vs. 1.7%) (p<0.05). The number of nuclei in pNT blastosys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NT (35.8 vs. 29.3) (p<0.05). Blastocysts were analyzed using Realtime RT-PCR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Bax-, Bcl-xl, H19, IGF2, IGF2r and Xist. Bax- was higher in mNT blastocyst than pNT blastocyst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Bcl-xl between two NT groups. Bax-/Bcl-xl was, however, significantly higher in mNT blastocyst compared to pNT. The expression of imprinting genes were aberrant in blastocysts derived from NT compared to in vivo blastocysts. H19 and IGF2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NT blastocysts (p<0.05). The expression of IGF2 and Xist was similar in two NT groups. However, imprinting genes were expressed aberrantly in mNT compared to pNT blastocysts.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NT between donor cells derived from miniature pig and recipient oocytes derived from crossbred pig might affect reprogramming of donor cell, resulting in high apoptosis and aberrant expression patterns of imprinting genes.
        4,000원
        317.
        200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 발생한 44개의 지진에 대한 지진원 상수들을 결정하여 그들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모서리 주파수와 지진모멘트의 결정에는 Snoke(1987)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지진에 대하여 다른 관측소에서 결정된 지진원 상수들은 서로 다른 값을 보여 준다. 이러한 불일치는 지진원에서의 에너지 확산과 전파과정중의 감쇠 및 증폭의 방향별 차이에 대한 불충분한 고려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방향에 따른 효과를 제거하기 위하여 모서리 주파수와 지진모멘트는 평균값을 취했으며, 이 평균값으로부터 다른 지진원 상수들을 결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한 정적인 응력강하량은 일정한 크기 이상의 지진에 대하여 지진모멘트와 무관한 경향을 보여 준다. 지진모멘트가 대략 1.0×1022 dyne-cm(ML = 4.0에 대응) 이하인 지진은 지진모멘트가 감소함에 따라 응력강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이 사실은 어떤 한계규모 이하의 지진에서 지진원 상수들 사이의 비례법칙이 깨짐을 의미한다.
        4,200원
        318.
        2008.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ost studies on transgenic bioreactors have focused on expression levels of interest genes.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ransgenic bioreactors would inherit expression level of the Oansgene to long-term generations independently of transgene sources. We employed three transgenic mice, which were separately reported, carrying different transgenes and copy numbers, 27 kb of hLF and 22 kb of hIL-10 genomic sequences, and 1.3 kb of hTPO cDNA, respectively. Three females of the transgenic lineages crossbred with a wild-type male up to 20 generations to test transgenic frequencies of their progenies and to determine expression levels of the transgenes. Ultimately, transmission rates of kLF, hIL-10, and hTPO were 64.3+-7.0, 59.3+-9.8, and 56.1+-9.7, respectively, appeared following Mendelian pattern of inheritance. Notably, we found that levels of expressions of hLF, hIL-10, and hTPO in milk were sustained to high numbers of generations. No transgene silencing of expression was observed in every generations of all transgenic mice.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once established animal bioreactors could consistently transmit the transgene to continual generations, without loss of expressional activity, independently of transgene sources.
        4,000원
        320.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낙동강 유역 평강천의 수질을 분석하고 이 하천수의 대체 용수원으로 지하수나 빗물이 가능한지를 검토코자 수행되었다. 평강천의 염 농도(EC)는 계절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 갈수기인 3월~5월에는 EC 3.22~3.62dS·m-1로 매우 높았고 성수기인 6월부터 점점 낮아져 9월에는 EC 2.37dS·m-1까지 낮아졌다. 염 농도(EC)늘 평강천의 위치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여 상류는 EC 0.71dS·m-1, 중류는 2.38dS·m-1, 하류는 3.02dS·m-1였다. 초장,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이 토마토, 오이 모두 하천수보다 빗물이나 수돗물에 좋았다. 평균과중은 토마토는 수돗물이 가장 무거웠으나 오이는 처리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착과수는 토마토, 오이 모두 하천수가 가장 적었으며 빗물과 수돗물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수량은 토마토에서는 수돗물이 10,594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빗물, 하천수 순이었다. 오이는 각각 수돗물이 11,826, 빗물이 10855kg/10a로 하천수보다 44,33%많았다. 토마토 과실의 품질에서 당도는 하천수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으나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배꼽썩음과의 발생은 하천수가 가장 많았다. T-N 및 P의 함량은 토마토, 오이 모두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Ca 함량은 토마토에서는 하천수보다 빗물이나 수돗물이 많았고 오이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반면 Na 함량은 Ca와 달리 하천수에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서낙동강 유역의 농업 용수원으로 하천수 대신 지하수나 빗물을 이용하면 토마토 생육에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