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6

        322.
        199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cultivation condition of peony in Euiseong district from 1994 to 1995. 1. Age distribution in cultivation of peony was from 30's to 50's and cultivated years was mainly from 5 years to 10 years, but there was more than 15 years 2. Cultivating area per house hold were 1300 pyeong average, there were moderate 400~]1000 pyeong and also those are occupied 22.6% more than 2000 pyeong. 3. The mothods of transplanting in Euiseong peony which Euiseong district was mostly divided peony but Yeongchen district used seedling stock. No. of sprout was mostly 3~4 and planting time was mainly from Mid to Late of October. 4. The percentage of sterilization of soil and seedling stock was 77. 4%, in mulching by vinyl in tran­splanting 64. 5% in black vinyl and 25. 8% in white one. 5. Number of plant in peony planting was 3000~4000 plant per l0a even more there was more than 8000 plant. 6. Chemical spraying time in peony field was 2 time in 1~2 years cultivating, and 3~4 time in 3~4 years one. 7. Condition of fertilizer application in peony field was 40% in non-application, but 56.7~76.7% in 2 year to 3 years, and the time of fertilizer was mainly 3 time. 8. Drying time peony after havesting was from 12 to 24 hours by briquet stove and 24 hours by ma­chine of hot wind, also dry method of peony was mixed briquet stove and hot wind machine.
        323.
        199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eck shelling distribution of Lindera erythrocarpa Makino in Kanghwa Island, MT. Suri, Kyunggido and MT. Kaya, Chungchong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total distribution area of Linedra erythrocarpa where are Jeondeung temple and Jugsu temple Kanghwa Island, MT. Suri, Kyunggido and MT. Kaya, Chungchongnamdo was 344.4ha and the total number of Linedra erythrocarpa was 3,224. The total number of femle Linedra erythrocarpa was625(22.2%) except the seedlings under 2cm of DBH(Diameter breast of height). For the estimation of tree age by counting of tree rings, the regression equation was Y=1.79X+9.47(R2=0.83, DBH=cm). The soil acidity of stands studied was pH4.6~pH5.8. And the soil acidity of Seoul was pH4.2~pH4.5 So for the Planting Linedra erythrocarpa in Seoul area, the soil acidity of planting area should be changed to pH4.6~pH5.8. The flower size of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petiole of male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The length of petiole of male and female of Linedra erythrocarpa was 5.96mm, 3.66mm,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flowers per flowering bud of male and female were 13.4, 11.2, respectively. The flower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21 days from May 2 to May 22. And The leaf continu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203 days from April 7 to October 27. And the fall-foliage color continuing period was 10 days from October 18 to October 27. The fruit continuing period of Lindera erythrocarpa in Suwon was 61 days from September 26 to November 26.
        324.
        198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도재배에 있어서 수량은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반응의 산물이다. 수도의 적정재배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지금까지는 제한된 요인 및 수준에서 시험연구가 수행되어 왔는데, 처리요인수 및 각 요인당 처리수준이 증가될 경우 전체 처리수의 급증으로 시험수행이 어렵게 된다. 본 연구는 이를 극복하고자 조생량 벼 품종 '운봉벼'의 재식주수, 주당본수, 질소시비량, 이앙일, 육묘일수 등 5가지 계량적 재배요인의 최적조건을 구명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고 수량을 Box와 Wilson의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분석하였으며(시험 1), 같은 품종을 공시하여 실험 1과 같은 요인을 Finney의 부분실시법(FFD)과 비교함으로써(시험 2) CCD의 농사시험연구에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1. 재배조건에 따른 수량반응 수량은 5요인중 4요인의 수준을 중심수준에서 통제하였을 때 각 요인별 최대수량은 중심수준(재식주수, 90수/3.3m2 ; 주당본수, 5본 ; N시비량, 11kg/10a ; 이앙일, 6월 25일 ; 육묘일수, 35일) 부근이었고 각 요인이 양극단수준으로 갈수록 감수하였으며 5요인중 3요인을 중심수준에서 통제하고 난 뒤에 2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수량은 가 수준의 중심부에서 최고치를 보였다. 전체 5개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 수량의 정상점은 안부점이었다. 2. 두 계획법의 비교 가. CCD에서 수량에 대한 각각의 정상점에서의 재배조건은, 재식주수 107주/3.3m2 , 주당본수 4본, 질소시비량 10kg/10a, 이앙일 6월 26일, 육묘일수 33일이었고, 정상점에서의 수량은 439kg/10a으로서 FFD에서의 그것들과 비슷하였다. 나. CCD에 의하면 요인수와 수준수가 많아도 처리조합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고, 실험재료의 절적,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간편화를 가져왔다. 다. CCD(각 요인별 5수준)는 FFD(각 3수준)에 비하여 수준수가 많았지만 결과를 도해화하기에 편리하였다. 라. 양 계획법에 있어서 수량의 정상점이 안부점인 것으로 보아 요인의 설정시 각 요인 상호간의 이질성을 고려해야 하며, 처리요인의 지나친 증가도 억제되어야 할 것이다. 마. CCD는 극한수준(± 2, ± 2, ± 2, ± 2, ± 2)의 처리가 없기 때문에 각 요인의 극한수준의 실험영역에 대해서는 적은 정보를 얻었으나. FFD보다는 많은 유익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CCD는 획기적으로 처리수를 줄였어도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아, 농사시험연구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획적으로 확인되었다.적으로 확인되었다.
        325.
        198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부지방에 있어서 과맥의 유용형질에 대한 유전율, 유전상관, 경로계수, 선발지수 및 유전적 진보의 선발효과를 구명코자 백동외 8품종을 공시하여 단국대학교 농과대학의 전작포장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과맥 품종군의 유전율은 간장, m2 당 수수는 높은 유전력을 보였으며 기타 형질은 비교적 낮았고 천립중은 매우 낮았다. 2. 일반적으로 유전상관은 표현형상관보다 높았으며 수량과 타형질과의 유전상관은 총생체중, 수중, 수중대고중비는 고도의 정상관이 있었고 간장, 수장, 1수립수, 수당불임입수와는 높은 부상관을 나타냈다. 3. 수량에 관하여는 형질을 보다 정확히 알기 위하여 경로계수를 분석한 바 총생체중, 수중대고중비 및 천립중 등이 수량에 직접적으로 영향하였다. 4. 선발효율을 높이기 위한 각 형질의 선발지수 및 수량에 대한 유전적 진보를 계산한 결과 2~3 개 형질을 대상으로 하여 Selection score가 큰 계통부터 선발해 가는 것이 시간과 노력 그리고 선발효과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326.
        198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팔당호밀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에서 월동전 청초 이용후 종실을 생산할 수 있는지를 검토코저, 춘천, 수원, 화성 및 청주에서 2개년 동안 실시하였다. 파종기는 각 지역 모두 4파종시기로서, 청초예취는 월동직전 1회 예취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월동전 예취시 초장, m2 당 경수 및 청초수량은 조기파종인 9월 11 일 파종에서 가장 크고 많았으며, 만기파종인 10월 11 일 파종에서 가장 적었는데, 춘천의 9월 11 일 파종에서 청초수량이 10a당 1.803kg으로서 가장 많았다. 2. 청초수량의 기여정도는 주로 초장 및 경수에 의하여 좌우되는데 경수보다는 초장의 기여도가 더 크게 영향하였다. 3. 예취에 의하여 월동중 냉해의 피해를 받았으며, 또한 출수기가 늦고, 초장도 감소되었다. 4. 수량구성형질중 m2 9당 수수만이 예취별에 따라 고도의 유의성 있었으며, 타형질들은 파종기 및 예취구분간에 변이가 적었다. 5. 종실수량은 무예취구에서 많았으며 예취구와의 차이는 45kg/10a로서, 예취구의 간장 및 월동률저하는 종자수양을 감소시켰다. 또한 수양구성요소중 m2 당 수수는 종자생산에 가장 크게 영향하였다. 6. 청초수량이 많은 조파의 종실수량은 청초예취 및 무예취구간에 변이가 적고 절대수량이 많아 적절한 재배관리에 의하여 축산농가에서 월동전 청초이용후 종실을 생산할 수 있다.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