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25.
        200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메리카잎굴파리 외부기생봉인 Hemiptarsenus zilahisebessi의 수명은 20, 25, 3에서 각각 23.0일, 16.9일과 12.7일 이었으며 특히, 와 3에서는 교미후 바로 산란이 이루어졌다. 암컷의 산란수와 일평균산란수는 20, 25, 3에서 각각 82.3개/3.6개, 90.3개/6.0개, 95.5개/7.8개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H. zilahisebessi이 내적자연증가율과 순증식율은 20, 25, 3에서 각각 0.1160/31.0, 0.1852/40.2. 0.2659/40.8이었다. 암컷은 주로 3령유충에 산란하였으며 기주령기에 따른 성비는 1령에서 0.1, 3령에서 0.42로 기주유충이 클수록 암컷의 많아졌다.
        4,000원
        26.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솔잎혹파리가 새로운 지역에 침입하여 극심한 피해를 일으킨 후 회복하는 과정에서 솔잎혹파리와 천적 기생봉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솔잎혹파리 확산 선단지 26개 지점에서 1975년부터 1997년까지 조사된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율, 기생봉 밀도 및 기생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솔잎혹파리 침입초기인 1975년의 충영형성율은 평균 34.8% 이었으나 1980년 이후 크게 감소하여 밀도가 안정화되었다. 기생봉의 기생율은 침입초기에는 1.9%로서 낮았으나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기생율이 증가하여 솔잎혹파리에 의한 피해가 만성적으로 발생하는 1990년대에는 12% 이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충영형성율과 기생봉 미도와의 관계는 초기에는 서로 상관성이 매우 낮았으나 솔잎혹파리의 침입후 약 10년 이후에는 충영형성율 증가에 따라 기생봉의 밀도도 점근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충영형성율에 따른 기생율도 초기에는 명확한 경향성이 없었지만 솔잎혹파리 침입 10년 후에는 보다 명확한 밀도역의존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솔잎혹파리와 기생봉의 상호작용이 설정되어 있지 않지만 침입 후 약 10년경부터 기주-기생자간의 전형적인 상호작용 양상을 보이며, 기생봉의 밀도조절 능력은 솔잎혹파리 피해가 많은 발생초기에는 미약하지만 솔잎혹파리 밀도가 낮은 피해회복지역에서는 높은 밀도조절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4,000원
        30.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딧물에 기생하는 한국산 진디벌에 관해서 국내외의 문헌기록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10종의 학명은 잘못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재정리한 결과 한국곤충명집에서 41종이었던 진디벌은 총 62종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을 속과 종에 따라 알파벳 순으로 정리한 뒤, 각 종에 대해 기주 진딧물을 명시하였고 가능한 경우 기주가 채집된 식물도 정리하였으며, 기주 진딧물별로 기생하는 진디벌을 배열하였다.
        5,400원
        31.
        198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시험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알에 기생율이 높은 Paracentrobia andoi의 포장생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동후 활동은 3월상순부터 활발하였으며 4월상순 이후 부터는 휴한답로 옮겨가는 경향이였다. 2 .휴한답의 둑새풀에서 끝동매미충의 알에 대한 기생율은 끝동매미충의 산란최성기인 4월하순에서 5월상순 사이에 높은 경향이였다. 3. 휴한답에서 지역별 평균 기생율은 거창과 남지는 , 남해, 김해 및 진주는 였다. 4. 본답에 있어서 이 알기생봉은 3회 발생을 하였으며 발생최성기는 8월중순과 10월초순경이였다. 5. 본답기에 있어서 끝동매미충의 2세기충(6월하순경 발생)과 3세대충(8월하순경 발생)에 대한 이 알기생봉의 평균 기생율은 각각 와 였다.
        4,000원
        32.
        198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답후기인 8중-9상순에 걸쳐 끝동매미충 난에 기생하는 기생봉의 종류와 이들의 기생율을 남부 4개 지역에서 재래품종과 통일계통 품종 포장에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에 기생하는 실적으로 Gonatocerus sp. 2종과 Paracentrobia andoi 그리고 Anagrus sp. 1종 등 모두 4종의 난기생봉이 분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2. 기생율 조사 결과 Gonatocerus sp.의 평균 난괴기생율과 난립기생율은 각각 58.8%와 41.0%였고 Paracentrobia andoi의 경우에는 각각 6.2%와 5.3%로서 Gonatocerus sp.가 Paracentrobia andoi의 기생율 보다 훨씬 높안 우점종을 이루어 있었으며 이들 두 종이 같은 난괴에 혼재하는 율은 5.4%였다.
        3,000원
        33.
        198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솔잎혹파리 유충기생봉으로 등뿔먹좀벌속의 1신종인 혹파리등뿔먹좀벌(신칭)을 기재보고하는 바이다. 혹파리등뿔먹좀벌(Inostemma hockparin. sp.)은 솔잎혹파리먹좀벌(Inostmma seoulis), 혹파리사리먹좀벌(Platygaster matsultama) 그리고 진해에서 채집된 혹파리반뿔먹좀벌(신칭) (Inostemma matsutama)과 함께 한국에서 출현하고 있는 솔잎혹파리의 유력한 유충기생봉이다.
        3,000원
        34.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xotic parasitic wasp Anisopteromalus apiovorus of Pteromalidae was newly recorded in Korea. Specimens of this species have been collected in Gimhae of Korea since 2012. External morphology of this species was described in detail and diagnostic differences of this species from the related species and the host insect were also given. The funicle segments of female antennae are 1.2 to 1.5 times longer than those of Anisopteromalus calandrae, an sister species. Body color is gold-glossy black and with dense creamy-white hairs on the surface. This exotic species has been originated from the African continent including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and Cote d'Ivoire, and then intruded into other countries, for instance, Korea. This is the first distribution record of this species except the country of origin after original description as a new species. Although little is known about the life history or ecology of this species, we found that a new host of this small parasitic wasp is Lasioderma serricorne of coleoptera through present study. And this species possibly be a new agent of biological control for economic pests. It was presumed that the invasion of Anisopteromalus apiovorus into Korea was prior to November of 2012.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