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1.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점박이응애에 대한 몇가지 살비제들의 각 발육단계에 다른 살란.성충효과를 조사하였다. fenpyroximate는 발육 전단계에 걸쳐 높은 효과를 보였다. Fenpyroximate 의 산란억제효과는 cyhexatin보다 훨씬 좋았다. 100ppm 농도 수준에서 약제잔효로 인한 산란억제효과는 fenpyroximate경우 85% 수준으로 25일동안 지속한 반면 cyhexatin의 효과는 점차 감소하여 처리 25일 후 40% 정도 감소했다. 또한 100ppm 농도 수준에서 fenpyroximate의 속효성은 3시간만에 100%의 살성충력을 보였지만 cyhexatin은 24시간이 지난 후에도 91%정도의 살성충력을 보여주었다. 공시된 대부분의 살비제가 침투이행성을 보여주지 않았지만 metasystox는 800ppm 농도 수준에서 처리 후 24시간에 100% 살성충효과를 나타냈다. 각기 다른 온도에 대하여 fenpyroximate는 다른 살비제와 비교했을 때 안정된 약효를 보였다.
        4,000원
        22.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집파리(Musca domestica L.)외 3종 곤충으로부터 0.01 M sodium phosphate buffer를 이용하여 AChE를 분리, 추출할 때 AChE의 안정성 및 buffer capacity를 고려한 적정 pH는 7.5였으며, 0.1M sidium phosphate buffer의 기질 수용액으로 AChE의 활성을 측정할 경우 효소의 활성화와 buffer capacity를 고려했을 때 pH는 7.5가 적합한 조건이었다. AChE 분리.추출을 위한 조직의 마쇄시에는 Potter Elvehjem homogenizer를 사용하였으며, 마쇄액을 원심분리하여 AChE현탁액을 조제할 때 집파리의 경우에는 성충 두부700g 상등액을, 벼멸구(Nilaparvata lugens Stal)는 5령 약충 전충체의 700g 상등액을, 배추좀나방 (Plutella xylostella L.)의 경우에는 5령 유충 전충체의 지질을 제거한 10,000g 상등액을, 그리고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F.)의 경우에는 4령 유충.두부의 700g 상등액을 AChE 0.2~0.5U 정도로 조정하여 효소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대량조제, 추출수율 및 활성 측정상의 안정성등을 고려할 때 합리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4종 곤충의 AChE현탁액을 조건에서 냉동보관할 경우 3주까지는 90% 이상의 활성이 유지되었다. 집파리, 벼멸구 및 배추좀나방 AChE의 Km 값은 각각 0.042, 0.037 및 0.043 mM이었으며, 고농도에서 AChE 특이적 기질 저해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담배거세미나방 ChE의 경우에는 1.15 mM의 Km값을 가지며 BuChE적 특성을 보이는 듯 하나 추가실험이 요구된다. 각 곤충의 AChE를 대상으로 한 저해실험시의 적정 기질농도는 집파리, 벼멸구, 배추좀나방의 경우에는 공히 0.5 mM 그리고 담배거세미나방의 경우는 12 mM 이었다. 특성에 따라 직무만족 측정요소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학력이 높을수록 연령이 젊을수록 승진과 급여에 대한 만족도가 놀으면, 근무기간이 길수록 급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영양사는 승진과 급여에서 조리사는 직무자체, 급여와 동료들에 만족도가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비롯한 다른 연구에서 학교급식에 종사하는 급식종사원의 급여 및 승진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급식종사원은 급식에 대한 긍지와 자부를 느끼며 학교급식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보다 질 좋은 급식을 아동들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으로 사려된다. 끝으로 본 연구는 대구 \ulcorner경북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전국을 대상으로 한 많은 연구가 계속되어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야하겠다.지점의 특성에 따라 가장 경제적인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장비구매 설치 시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은 차후 장비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소지가 있어 가능한 우수한 제품을 선택하되 동일 제품 사용을 권장한다. 따라서 위의 망구축이 이루어져 현재 기상청이 설치 운영하고 있는 측정 장비에 의해 취득한 기상자료를 공동 활용하여 표출하면 더욱 상세한 자료의 획득과 활용이 기대되어 진다. 또한, 금번 논문에서는 산불위험지역의 격자점(15km)내에 최소한 1대의 AWS 설치방안을 제시하였지만, 금후에는 15km내에서도 능선, 계곡 등 구체적인 위치확정을 위한 선행연구가 실시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의해 원고는 결과발생지인 미국법원의 재판관할을 강제할 수 없을 것이다. 지적재산권을 둘러싼 분쟁에 관한 재판관할과 국제법상의 판결의 승인 및 집행의 통일성을 기하기 위하여 2001년 1월 세계지적재산권기구(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가 제안한 WIPO 협약초안(Draft Convention on J
        4,200원
        23.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measur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vergreen woody species extracts on Trichophyton mentagrophytes. To do this, leaves and stems were collected from Wando and Jeju islands, and were used for the extraction with different solvents (i.e., distilled water, 80% ethanol, and 100% methanol), and at different ultrasonic extracting times (i.e., 15, 30, and 45 minut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using the agar diffusion method. The clear zone was measured after incubating the paper disc containing the plant extract in a bacterial culture medium. The controls were synthetic antimicrobials, methylparaben and phenoxyethanol, at concentrations of 0.4, 1, 2, and 4 mg/disc. Altogether, extracts of 56 out of 64 species used in this study had inhibitory activity, which confirme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thlete’s foot. Among them, the crude ethanolic extract of Elaeocarpus sylvestris in 45 min showed a zone of inhibition < 20.2 ㎜, while the clear zone of Actinodaphne lancifolia ethanolic extraction for 30 min was 23.5 ㎜. Also, Quercus acuta, Dendropanax morbiferus and Daphne odora showed clear zones of 28.0 ㎜ (45 minutes ethanolic extraction), 20.5 ㎜ (45 minutes crude methanolic extraction) and 19.7 ㎜ (45 minutes methanolic extraction), respectively. Thu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extracts of evergreen woody species have therapeutic potential against Athlete’s foot, and suggest that in order to extract adequate amounts of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plant sources, ideal extraction condition has to be considered.
        24.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Two major forest medicinal resources, Korean angelica (Angelica gigas Nakai) and Cnidii rhizoma (Cnidium officnale Makino) were used as medicinal herbs for long times and in these day consumed as cosmetic materials. For keep pace with a mass demand and supply, pesticides were should be sprayed for control of pests and plant diseases. However, the social concerns on well-balanced life, pesticides safety, and continuous and stable production of clean non-timber products were increased with the times. Therefore, environmental-friendly cultivation was increased before decade. This study performed for selection of effective control agents to hyphal growth of leaf spot and anthracnose in two medicinal resources. Methods and Results : The antifungal effects of eugneol, pine needle E.O, and 7 natural product extracts (Sophora root, green tea, neem, eucalyptus, grapefruit seed, derris, and 36% rosin) were evaluated against two plant pathogens (Phoma sp., and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fter re-loading of each 20 ㎕ natural product extracts to the PDA plate which loaded two spore dilution (106 spores/㎖) 100 ㎕, the hyphal growth control effects to pathogens were confirmed. Among 9 control agents, eugenol and pine needle E.O were the most effective, and then Sophora root, green tea, and neem. However, 4 agents (eucalyptus, 36% rosin, grapefruit seed, and derris) were not effective. Conclusion : It confirmed that possibility as a control agents of eugenol and pine needle E.O to leaf spot (Phoma sp.) of Korean angelica and anthracnos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of Cnidii rhizoma, respectively. We will be developed as commercial products safe in the forest lands
        26.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Allergy is a common disease caused by type I hypersensitivity reaction of the immune system. Unfortunately, there is no proper treatment for allergy. Therefore, the discovery of therapeutic drugs for allergy is essential. In this study, the crude extracts of 56 plant parts were screened for anti-allergy effects in RBL-2H3 cells. Methods and Results : IgE-sensitized RBL-2H3 cells were individually treated with 56 extracts of medicinal herbs at the final concentration of 20 ㎍/㎖ and stimulated with the antigen DNP-BSA. β-Hexosaminidase release, interleukin-4 (IL-4) secretion, and cell viability in the sample treated cells were measured. Among the tested samples, extracts from the root of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aerial part of Acer triflorum Kom., and leaf of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β-hexosaminidase release. The aerial par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and seed of Panax ginseng C.A.Mey. showed suppressive activities on IL-4 secretion. All of the extracts were not cytotoxic at the tested concentration. Conclusion : From the result, six extracts including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root) and Acer triflorum Kom. (aerial part) inhibited both β-hexosaminidase release and IL-4 secretion in IgE-sensitized RBL-2H3 cells. The use of these extracts for developing anti-allergy materials is suggested.
        27.
        2014.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가진 천연물을 활용해 합성보존료를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국내 자생 식물 중 135종을 대상으로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이중 항산화 활성이 10%대로 낮게 나타난 식물 8종에 대해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식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0.41~94.84%로 다양하였으며, 가장 효과가 좋은 식물은 꽃향유와 우엉으로 각각 94.84, 80.55%를 나타내었다. 우엉은 잎의 경우 26.87, 뿌리 19.29%의 활성을 나타내 동일 식물이라도 추출부위에 따라 활성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선이질풀과 비쭈기나무는 각각 그람양성균인 B. subtilis, 그람음성균인 E. coli 및 Candida속인 C. albicans에 대해 2.2~10.8 mm 수준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각 식물에 대한 다양한 추출법을 적용하여 기능성을 확인하고 이들 항산화성 물질에 대한 추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8.
        2014.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화장품은 일반인이 장기간 연용하는 제품으로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중요하다. 화장품에 의한접촉피부염은 자극성 물질이 피부에 접촉 후 침투하여 유발하는 염증반응으로 활성화된 면역세포에서 염증을 매개하는 다양한 인자를 분비함으로써 시작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산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RAW264.7 대식세포에서 염증 관련 인자에 대한 영향을 통해 항염증 활성을 스크리닝 하였다. 51종의 국산 생약 추출물 중 측백, 측백엽(초), 향부자, 형개, 동과자, 산약, 산약(초), 상지, 송절, 택사의 에탄올 추출물 10종이 lipopolysaccharide(LPS)에 의해 유도된 세포독성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염증 관련 인자인 Nitric oxide (NO),interleukin (IL)-1β,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α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생약 추출물은 인체피부에서도 자극을 유발하지 않음을 인체 첩포시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따라서, 항염증활성이 확인된 10종 국산 생약 추출물은 피부 자극을 예방할 수 있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29.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석탄가스화복합발전(IGCC)에서 생성되는 합성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가스터빈 연소전에 포집하는 기술은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중 연소 전 포집기술로 분류되는데, 연소전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은 크게 습식흡수제를 이용하여 포집하는 습식기술과 건식흡수체를 이용하여 포집하는 건식기술로 분류된다. 습식흡수제를 이용한 흡수법은 기존의 화학, 가스정제 등의 고압 공정에서 황화수소 또는 이산화탄소 제거를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물리흡수제로 분류되는 DMPEG를 흡수제로 사용하는 Selexol 공정, MeOH을 흡수제로 사용하는 Rectisol 공정, NMP를 사용하는 Purisol 공정이 있으며 Sulfolane과 아민흡수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Sulfinol공정의 물리-화학 혼합흡수제 및 aMDEA로 대표되는 화학흡수제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물리흡수제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흡수는 고압에 의한 물리적 포집으로 화학적 결합을 하는 화학흡수제와는 구별되며 화학흡수제는 압력의 영향보다는 흡수제의 반응기에 의한 흡수제-이산화탄소의 화학적 결합이 주를 이루고 물리-화학 혼합흡수제의 경우에는 물리흡수제와 화학흡수제의 장점을 결합하여 공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상기 5개 흡수제를 이용한 공정은 고압의 산성가스 처리 공정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공정이지만 IGCC에 적용되어 상용화 된 사례는 아직 없으며, 네덜란드의 Buggenum IGCC에서 향후 Magnum IGCC의 Full-scale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해 DMPEG 흡수제를 사용한 Selexol 공정을 사용하여 IGCC적용을 위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그 외에는 스페인의 Puertolano IGCC에서 연구를 위한 목적으로 aMDEA공정을 설치하여 이산화탄소 포집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IGCC와 유사한 고압의 흡수 및 감압탈거공정을 모사하여 자체적으로 고안한 이산화탄소 고압 스크리닝 평가장치를 활용한 상기 5개 흡수제의 고압에서의 흡수성능 및 감압탈거를 통한 탈거성능에 대해 흡수제간 상대적으로 비교/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압력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결합하는 물리흡수제의 흡수성능은 0℃ 이하의 저온영역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감압탈거시 타 흡수제군에 비해 우수한 탈거성능을 나타내었다. 이산화탄소와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화학흡수제의 경우에는 상온영역에서는 물리흡수제에 비해 흡수성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으나 감압탈거시 화학적 결합에 의해 탈거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물리-화학 혼합흡수제는 전체적으로 화학흡수제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의 목표는 고유흡수제를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흡수제의 빠른 스크리닝으로 현재 한전 고유흡수제 개발을 위한 흡수제 스크리닝 실험을 지속적으로 수행 중에 있으며, 일부 고유흡수제 후보군의 스크리닝 결과 기존 상용흡수제에 비해 우수한 흡수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30.
        2013.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60년대와 70년대의 녹색혁명은 전통적인 육종의 성과이지만, 최근의 육종기술은 유용유전자의 유전자형을 활용한 분자표지 마커를 활용하고 있다. 목적 형질을 갖고 있는 계통을 선발하는 MAS(Marker assisted selection) 마커는 많은 육종가들에 의해 활용되고 있지만, 유전자의 SNP(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을 활용한 MAB(Marker assisted backcross) 마커는 거의 활용되고 있지 않다. SNP 마커는 단 하나의 염기서열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어, 유전적으로 매우 가까운 계통들도 구분할 수 있으며, 자동화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다. 솔젠트(주)에서는 내수 및 종자수출에서 차지하는 산업적 비중이 가장 큰 채소작물 중 고추 병저항성 관련 유전자를 활용한 multiplex 고추병 진단 제품을 개발했다. 이 제품에는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 담배 etch 바이러스(TEV),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 토바모바이러스(TMV), 세균성점무늬병(BS), Chilli venial mottle virus(ChiVMV), 고추역병에 관련된 저항성 유전자의 SNP을 활용해 개발했으며, 본 제품을 활용해 고추 육종가들이 쉽고 간편하게 육종 소재에 적용해 신품종 육종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31.
        2005.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식과 관련하여 산화스트레스 (Oxidant stress)는 그 발병요인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산물과 한약재를 이용하여 항산화 물질을 찾고자 하였으며, 시간과 비용의 단축을 위하여 HTS인 throughput screening)을 이용을 하였다. 항산화 실험과 관련하여서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FRAP(ferric ion reducing antioxidant power), HO(h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