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4

        21.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the most notable architectural aphorisms in modern period must be undeniably Louis Sullivan's, 'Form Follows Function.' The aphorism has been not only an important source of new aesthetic but also an formal principle of machine age. Other most famous source in order to justify modern aesthetic was the short essay by an cynical critic, Adolf Loos(1870-1933), 'Ornament and Crime' of 1908. Apart from what the essay asserted it is also famous for the influence of Sullivan's architectural notion during Loos' States staying. For Architectural historians of the early 20th century this connection is so useful to create a legacy of modern architecture. The historians seemed to believe that Loos understanded Sullivan's aphorism on which the historians wanted to focused. When we however look into two buildings designed and built in the period of publishing both aphorism and essay there must be a big fissure between the buildings and the historians interpretations. With this view point this study aims at showing the true meanings of Sullivan's aphorism and Loos' essay and also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e machine age's aesthetic and theirs.
        4,800원
        23.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화훼장식에서 대나무의 다양한 활용을 위 해 2001년부터 2006년까지 월간잡지 플레르(Fleur)와 국제꽃장식대회의 대나무 작품 108개를 토대로 조사하 였다. 대나무의 사용부위에 따른 사용빈도와 작업형태, 조형형태, 그리고 작품 안에서 대나무의 배열 기법을 분석하였다. 대나무의 사용부위는 줄기가 전체 작품에 서 90%를 차지하였다. 줄기가 사용된 97작품 중에서 국제 꽃 장식 대회는 매년 4월에 열리는 특성으로 대 회에 나온 20작품을 제외한 월간 잡지 ‘플레르(Fleur)’ 의 77작품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월별 대나무가 쓰인 작품의 수는 새해의 시작인 1~2월과 한여름인 7~8월 이 가장 많았다. 줄기를 사용한 97작품에서 줄기가 사 용된 형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가공하지 않고 자연그 대로 사용한 작품이 63%로 나타났다. 작품 속에서 대 나무의 배열 기법은 수직 병렬형이 48%로 가장 많았 다. 기타는 수직, 수평, 사선에 포함되지 않는 원형의 작품들을 분류한 것이다. 대나무가 쓰인 작품의 작업유 형은 테이블장식을 포함한 50% 이상이 공간장식의 형 태를 나타내었다. 대나무가 소재로 쓰인 작품의 조형 형태는 장식적 형태가 64%, 그래픽적 형태가 30%, 선형적 형태가 4%로 나타났다.
        4,000원
        24.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나무를 이용하여 화훼장식품을 개발하고 그 작품을 전시하였다. 대나무의 길고 굵은 가지를 교차시켜 현대적 디자인을 하고 그 사이에 식물을 고정시켜 작 품성을 높였다. 대나무 선단부의 긴 가지와 잎을 밀집 시켜 숲을 만들고 그 속에 안정감 있는 분화류를 배 치하였다. 대나무를 세로로 잘라 기둥을 만들고 그 선 단부에 대나무 용기를 부착시켜 식물을 심었다. 대나무 기둥의 움직임에 의한 리듬감을 표현하였다. 대나무의 잔가지들을 서로 엮어 면을 만들고 그 면에 식물을 매 달아 벽장식 작품을 구성하였다.
        4,000원
        25.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훼장식품 제작 시 플로랄 폼은 쉽게 썩지 않기 때문에 감상기간 이후 심각한 환경문제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플로랄 폼을 사용하지 않고 화훼 고유의 부분별 특성을 살려 여러 가지 효과적인 꽃의 고정형태를 디자인하였다. 화훼장 식의 표현기법 연구를 위해 가지, 줄기, 잎, 열매, 꽃, 뿌리 등 식물소재 고유의 형태적, 재료적인 특성을 파 악하였다. 이를 통해 화훼의 각 부분이 가진 다양한 조형적 특성을 활용하여 꽃을 고정시키는 여러 가지 기법으로 작품 제작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인공적 인 부자재인 플로랄 폼 대신 꽃의 각 부분의 특성을 살려 여러 가지 기법을 제안하였다. 화훼장식의 미적 측면뿐만 아니라 제작 후 발생하는 환경문제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화훼장식에서의 활용 매체를 다양화할 수 있었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자 연소재를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디자인할 수 있으므로 화훼장식 저변 확대에도 기여할 수 있다. 앞으로 우리 주변의 작은 소품에서부터 공간장식으로까지 그 활용범 위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화훼 고유의 특 성을 살린 표현 기법의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자연친화적인 개념의 화훼장식이 확대되어야 한다.
        4,000원
        2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훼장식에서 프레임 디자인 작품의 교육과 적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체계 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서울, 부 산, 대구, 경기, 광주에 장식된 프레임 디자인 작품 120개를 대상으로 동사적 표현기법의 적용실태와 기법 간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25개 이상의 작품(20.8%)에 사용된 기법에는 세우기(44.2%), 연결하기(42.5%), 둘 러싸기(28.3%), 묶기(27.5%), 덧씌우기(20.8%), 엮기 (20.8%), 교차시키기(20.8%), 조립하기(20.8%)가 있었 다. 작품 당 사용된 동사적 표현기법의 수는 42.5%의 작품에서는 5-7개가, 31.7%의 작품에서는 2-4개가, 23.3% 작품에서는 8-10개가, 2.5% 작품에서는 11-13 개가 사용되었다. 작품에 적용된 기법 중 빈도수가 높 은 세우기, 연결하기, 교차시키기, 묶기, 덧씌우기, 감 싸기는 서로 간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프레 임 디자인을 이용한 작품 제작이나 교육 등을 위해서 는 이들 기법들을 우선적으로 익혀야 될 것으로 생각 된다.
        4,000원
        28.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troducing International Style, P. Johnson and H. R. Hitchcock gave three standards to be the Modern, volume and surface, regularity, and exclusion of applied decoration. In spite of the negation of stylistic, formal approach in the Modernist Manifestoes, one usually have understood Modernity in Architecture with its formal character, especially with no ornament and flat, abstract, white surface. Modernism as a new paradigm in architecture have emphasized that there is no representation of anything outside and only present architecture in itself. They said that Modernism only cared about the language of Architecture without figural reference. So apparently there is no way to prove to its Modernity with formal condition. Modernity is in Spirit and contents. But actually we understand well its existence by visual communication This study deals with this difficult situation how Modernity represents itself without visual media and asks the question how simultaneously it presents its thingness and materiality In order to analyse contradictory situation between representation and presentation in Modern Architecture we need to survey the historical process of changing position of ornaments and its meaning in time. With the crisis of representation the role of ornament have seriously changed and divided. It caused the two situation in pre-Modern Architecture. Firstly, Architecture tend to be a high art and formal expression became important much more. The Use of Ornament became a kind of fashion to show the power, class, money. Secondly, Ornament lost its cultural weight and the structure and material aspect became the central in architecture. Rational Structuralism would be the essential character in Modern Architecture. Here the theory of G. Semper and A. Loos on cladding(dressing) and Ornament can help its problems and limits. In the situation without conventional ornament Modernists need to present modernity with new media that only show the thing itself and by that it does not represent any thing else as like the value, idea outside buildings. They believed that only it concerned esthetics and morality in architecture. But in reality it referred to art and machines as like ships, aircraft, and cars. By excluding Ornament and showing the process of clearing, abstract, flat, white surface 'represent' Modernity by the indirect way referring the concept of transparency, reason, sanitation, tectonics, etc. An Ideology and myth intervened architectural discourse to make the doxa about the representation in Architecture. Surface must be a different kind of media and message that can communicate in different way with compared to conventional Ornament. Decorated Shed by R. Venturi and Post-Functionalism by P. Eisenman, that are the most famous post-modern discourse, shows well difficult and contradictory condi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concerning representation and form, meaning and form.
        5,500원
        32.
        200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38.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40.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color design of Korean and Japanese wooden architecture.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monness and difference of color decorati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Buddhist 'Danchung' in the modern ages. In carrying this study into execution, I examined the architectur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and analysed the elements, techniques and principles of color desig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1. 'Danchung' was originated from the practical functions in Chinese wooden architecture, and developed to embody sensuous beauty in Buddhist temple. The techniques and principles of color design and color tone of Korean and japanese Danchung had been similar in the ancient ages. But little by little they have differed in its function and color tone. So they are very different in modern times. 2. The dominant colors of Korean Danchung are red and green as 'Sang-nok Ha-dan(上綠下丹)', but Japanese's is only red as 'Bak-gan Juk-sun(白間赤線)' 3. Korean Danchung expresses and accentuates the important structural elements in three dimensions, on the other hand japanese Danchung takes two dimensional decoration on the unstructural elements 4. When seen in general, in Korean Danchung colors and their light and shade are simple and patternized. In the meantime, Japanese Danchung has many configurational expressions in general and is closed to paintings or picture.
        4,5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