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21.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최근 증가하고 있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교육기회와 적응 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정책적 제언을 시도하기 위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주로 한국인과 재혼한 결혼 이주 여성이 동반 입국한 출신국 소생 자녀인 중도입국 청소년에 초점을 맞추었다. 결혼 이주 여성 중 재혼 여성의 비율에 따라 중도입국 청소년의 규모가 달라질 것으로 보고 관련 통계 자료를 통해 그 규모를 추정해 보았으며 선행 조사 자료를 통해 중등 학령기나 그 이상의 청소년인 경우 학교 교육기회로부터 배제되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면담 자료를 통해 이들의 가정 환경이나 교육적인 면에서의 취약성을 드러냈다. 아울러 학교나 대안학교 진입 경로를 파악해 보았으며, 이들의 학교 적응의 어려움을 한국어와 학습 언어 습득, 또래관계에서의 보이지 않는 경계, 교사의 지지망 역할 부족으로 구분하여 드러내 보았다. 끝으로 교육기회 획득과 적응 실태를 단서로 교육기회의 보장과 적응을 위하여 학교 제도의 개선, 이들을 위한 지원 정책 등을 다각적으로 제안하였다.
        22.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가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서울시 초등, 중학생 1004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온라인게임 사용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온라인 게임을 통한 성취는 자기효능감,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효능감은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와 학교적응의 관계, 그리고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온라인게임에 대한 과몰입의 부정적 영향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이 연구는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게임을 통한 성취가 그들의 학교적응과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24.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자주 바뀌는 입시제도와 급격하게 변화하는 신체적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인식하에 신체활동 참여유무와 형태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서울소재에 속해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640명의 자료를 SPSS/win program V.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t-검증(t-test),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3-way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신체활동참여 유무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참가집단이 비 참가 집단에 비해 신체적 자기개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학교생활적응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참여 형태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인 체지방과 자신감은 운동시간에서, 외모와 근력은 운동기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적응인 교사적응은 운동 빈도, 운동 시간에서, 환경적응과 친구적응 그리고 생활적응은 운동시간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신체활동 참여가 신체적 자기개념과 학교생활적응의 지각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학생들을 스포츠센터에서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참여가 아니라도 시간이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교내‧외 신체활동을 30분 이상 참여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