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3

        21.
        200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3.
        199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developed a new device, Plate-to-CCD Convertor (PCC), to conveniently digitize photographic plates in a relatively short time without losing any plate information (Oh et al. 1995). Using this device we have performed surface photometry of 12 early type galaxies. We determined relative orientations and scales to analyze PCC images. We also determined an ellipticity, position angle of the major axis, and a4 a4 of each galaxy to quantify the distribution of surface brightness. We checked the performance and limitation of this device by comparing the PCC images with those digitized by the ST microdensitometer and those obtained with CCD observations.
        6,300원
        26.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7.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GKRS)의 높은 정밀도와 정확성은 치료 성공을 위한 기본 요건이다. 방사선의 급격한 감소와 함께 정교한 방사선 전달 및 선량 기울기가 임상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므로 방사선량 측정 및 기하학적 정확성을 보장하고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위험 요인을 줄이기 위해서는 전용 정도관리(QA)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적인 검증 프로그램 가변 타원체 모형화기술(Variable Ellipsoid Modeling Technique: VEMT)을 적용해서 감마나이프 치료계획 시스템 렉셀 감마플랜의 알고리즘에 사용된 단일 샷 선량 분포의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감마나이프 퍼펙션(PFX)에 장착한 직경 160 mm의 구형 ABC 팬텀에 조사한 단일 샷의 선량 분포를 평가했다. 단일 샷의 조사는 ABC 팬텀의 중심으로 향하게 하여 x, y 및 z 축을 따라 4, 8 및 16 mm 크기의 시준기 배치가 고려되었다.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에서 사용되는 감마나이프 퍼펙션 치료계획 시스템은 렉셀 감마플랜(LGP) 버전 10.1.1이 사용되었다. VEMT의 검증을 통해서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의 정확성은 배가 될 것이다. 그래서 VEMT 검증 후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토대로 임상 적용이 최종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환자의 머리가 직경 160mm의 구형으로 시뮬레이션된 조건에서 50% 등선량 높이 수준의 너비, 즉 최대반값폭(FWHM)이 검토되었다. VEMT를 통해 예측된 x, y, z 축의 선량 분포에 관한 모든 데이터는 4 mm 및 8 mm 시준기 배치에 대해 z 축을 따라 최대반값폭과 반그늘(PENUMBRA)의 약간의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사양 내(등선량 50%에서 1 mm 이내)에서 LGP의 선량 분포와 훌륭하게 일치했다. 최대반값폭의 최대 불일치는 모든 시준기 배치에서 2.3% 미만이었다. 반그늘의 최대 불일치는 z 축을 따라 8 mm 시준기에 대해서 0.07 mm로 주어졌다. VEMT와 LGP로 얻은 선량 분포에서 최대반값폭과 반그늘의 차이는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에서 임상적 유의성을 부여하기에는 너무 작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전 세계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에 관련된 의학물리학자를 위한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우리는 LGP의 결과물에 대한 독립적인 검증방법 VEMT를 포함하는 정기 예방정비 프로그램을 통해 결정된 모든 시준기 배치에 대한 선량 분포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 환자에게 임상적으로 완벽한 치료를 보장할 수 있다. 그래서 VEMT의 활용은 시스템을 안전하게 검증하고 운영할 수 있는 정도관리의 한 부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28.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5년에 CB02214-131(IT232701)을 모본으로, 청당(IT232723)을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를 실시하였고, CB05372-235 개체를 선발하여 “청양 15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다. 청양, 예산, 진도 등 3지역에서 2009~2011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성을 검정한 결과 중생종, 내병충성, 대과, 지표성분 고함유, 다수성으로 인정되어 신품종으로 “청한(靑瀚, Cheonghan)으로 명명하였다. 구기자 신품종 “청한”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잎은 타원형으로 농녹색이고 대비품종인 「청운」에 비하여 크다. 수형은 직립형이고, 열매는 타원형이면서 백과중이 26.4g로서 열매가 컸다. 중생종이며, 적심에 의하여 분지가 적게 발생되었다. 병해충 저항성은 무방제 상태인 노지포장에서 자연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는데, 탄저병 이병과율과 혹응애 발생률은 대비품종인 「청운」에 비하여 강하였다. 주요 지표성분인 베타인 함량은 「청한」이 0.81%로서 대비품종인 「청운」에 비하여 다소 높았고, 당도는 16.0°Brix로 높았고, 산도는 비슷하였다. 건과수량은 대비품종에 비하여 생산력 검정시험에서 19%, 지역적응시험에서 17% 증수되었다. 주요 용도는 약용과 식용으로 모두 이용이 가능하였다. 수분수 품종은 개화기와 열매크기가 비슷하고 두 품종의 혼식에 의하여 결실률이 높은 품종으로 선정하였는데, 신품종 「청한」의 수분수로 「호광」이 적합하였다. 또한 열매가 크고 열과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적기에 수확하고, 건조 온도 준수할 필요가 있다.
        29.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의 흡수 기능을 갖는 유기 계열과 반사 기능을 갖는 무기계로 구분된다. 이들은 SPF 지수로 평가되는데 in-vivo 실험은 높은 비용과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어 in-vitro 평가가 연구에 많이 이용된다. 하지만 in-vitro 평가로 사용되는 SPF 평가 장치는 재현성이 매우 낮아 값에 대한 신뢰가 매우 어렵다. 또한,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한 분석은 재현성은 높지만 투과/흡수/반사의 구분된 결과를 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elipsometer는 높은 재현성과 투과/흡수/반사의 구분된 결과, 다양한 각도에서의 평가의 장점이 있어 자외선 차단제 평가에 매우 유용하다. 이를 위해 상업용 자외선 차단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여 elipsometer를 이용한 방법의 타당성을 알아보았다.
        30.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등가타원을 이용하여 호우사상의 공간분포를 정량화 하는 문제를 살펴보았다. 주어진 호우사상의 등가 타원을 매 시간별 한계강우강도에 따라 추정하고, 이 등가타원의 개수와 규모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계강우강도 별로 평균 등가타원을 결정하고, 이 평균 등가타원이 주어진 호우사상을 대표할 수 있는지 판단하기 위해 평균 등가타원의 장축과 단축, 그리고 회전각에 대한 신뢰구간을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한계강우강도가 커짐에 따라 등가타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