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

        25.
        2000.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0.5%C-25.0%Cr-1.0%Si(합금1), 0.5%C-5.0%Cr-1.0%Si(합금2) 및 2.0%C-5.0%Cr-1.0%Si(합금3)의 3종류 크롬백주철에 있어서 기지조직 및 탄화물에 분푀도는 Cr 및 Si의 거동을 연구하였다. 15kg 용량의 고주파 유도용해로에 선철, 고철, Fe-Cr, Fe-Si 등을 장입시켜 용해시킨후 슬래그를 제거시키고 1550˚C에서 펩 주형에 주입시킨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SEM으로 응고조직을 관찰하였으며 EPMA분석을 통하여 Cr 및 Si 의 분포거동을 관찰하였다. 합금1의 경우 초정으로 δ페라이트가 정출후 δ페라이트와 용액의 입계에서 δ페라이트와 M7C3탄화물이 공정으로 정출하였으며 합금2의 경우 용액에서 초정으로 거의 δ페라이트가 정출된 수 극히 일부분만이 δ페라이트와 M7C3탄화물의 공정으로 정출하였다. 반면 합금 3의 경우 오스테나이트가 초정으로 정출된 후 오스테나이트와 M3C탄화물이 공정으로 정출하였다. Cr은 주로 M7C3 및 M3C탄화물에 , 그리고 Si는 기지조직에 선택적으로 분배되었으며 Cr의 기지조직에 대한 분배계수는 0.56-0.68, 그리고 Si는 1.12-1.28의 범위에 걸쳐있었다. 또한 Cr의 기지조직에 대한 분배계수는 C 함량이 2.0%일때가 0.5%의 경우보다 낮았으며 M7C3탄화물내의 Cr 함량은 Cr함량이 25.0% 일때가 5.0%의 경우보다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나타내었다.
        3,000원
        26.
        1999.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coloy 800H, KSA (Kaeri Superalloy)-6, Inconel 600 및 Hastelloy C-276 합금의 용융염에서의 부식거동을 650~850˚C 온도범위에서 조사하였다. LiCl-Li2O혼합용융염에서의 부식은 Li2O에 의한 염기성 용해 기구에 의해 진행되며, 부식속도가 LiCl에서보다 훨씬 빠르게 나타났다. 혼합용융염 LiCl-Li2O에서는 Ni기 합금의 부식속도가 Fe기 합금보다 빠르고, Mo와 W의 함량이 높은 Hastelloy C-276이 가장 빠른 부식속도를 나타내었다. 용융염 LiCl에서는 LiCrO2의 단일 부식층이 형성되고, LiCl-Li2O 혼합용융염에서는 산화물과 Ni의 2상구조의 다공성 부식층이 형성되었다.
        4,000원
        27.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ynthesis of and NiSi has been investigated by mechanical alloying (MA) of Ni-27.9at%Si, Ni-33.3at%Si and Ni-50.0at%Si powder mixtures. As-received and premilled elemental powders were subjected to MA. The as-received Ni powder was spherical and the mean particle size 48.8m, whereas the premilled Ni powder was flaky and the mean particle diameter and thickness were found to be 125 and 5m, respectively. The mean surface area of the premilled Mi powder particle was 3.5 times as large as that of the as-received Ni powder particle. The as-received Si powder was was 10.0m. Self-propagating high-temperature synthesis (SHS) reaction, followed by a slow reaction (a solid state diffusion), was observed to produce each Ni silicide during MA of the as-received elemental powders. In other word , the reactants and product coexisted for a long period of MA of time. Only SHS reaction was, however, observed to produce each Ni silicide during MA of the premilled elemental powders, indicating that each Ni sillicide formed rather abruptly at a short period of MA time. The mechanisms and reaction rates for the formation of the Ni silicides appeared to be influenced by the elemental powder particle size and shape as well as the heat of formation of the products longrightarrow-43.1kJ/mol.at., -47.6kJ/mol.at.).
        4,000원
        28.
        1998.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원계 AI-합금의 용융산화에 의한 AI2O3 복합재료의 형성속도와 미세구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AI-1Mg-3Si-3Zn 합금과 AI-1Mg-3Si-5Zn합금에 Cu, Ni 각각을 1% 무게비로 첨가하였다. 각 오원계 합금은 1373K, 1473K에서 최대 20시간 동안 산화시켰으며, 산화속도는 무게증가 측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산화층의거시적 형상과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AI-1Mg-3Si-5Zn-1Cu 합금이 가장 우수한 산화거동을 보였으나, 산화층이 불균일하였다. 합금위에 SiO2를 도포하였더니 산화속도가 증진되었으며, 균일하고 조직이 친밀한 산화층이 얻어졌다.
        4,000원
        29.
        1997.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I-Mg-합금의 용융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AlO2O3-복합재료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합금원소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AI-1Mg 합금과 AI-3Mg 합금을 기본으로하여 Si, Zn, Sn, Cu, Ni, Ca, Ce를 1, 3, 5 %를 무게비로 첨가하였다. 각 합금을 1473K에서 20시간 유지하여 산화시킨 후 산화층의 거시적 형상과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각 미세구조의 상분율을 상분석기로 측정하였다. 산화층의 최첨단면은 SEM과 EDX로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Cu나 Ni를 첨가한 합금으로부터 성장한 산화층의 미세구조가 가장 치밀하였다. Zn이 포함된 합금으로부터 성장한 산화층 최첨단 성장면에는 ZnO가 관찰되었다. Zn이 포함되지 않은 다른 합금의 성장 전면에는 항상 MgAi2O4상이 관찰되었다.
        4,000원
        30.
        1997.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용융산화에 의한 AI2O3복합재료의 형성에 미치는 합금원소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AI-Mg-3Si 합금이 가장 우수한 산화거동을 보였다. 우수한 3원계로 선정된 AI-1Mg-3Si합금에 제 4원소 Sn, Cu, Ni, Zn을 양을 달리하여 각각 첨가하여 산화거동을 살펴보았다. 1273K, 1373K, 1473K, 에서 20시간 각각 산화실험을 한 결과, 1473K에서는 모든 합금계가 우수했으나 1373K, 1273K에서는 산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4,000원
        31.
        199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ffects of Mn and Co additions up to 0.6 and 2.0 wt% respectively and the amount of cold-rolled reduction on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EC) of powder rolled Fe-Ni Invar strips were investigated. The compacted strips were sintered, homogenized and cold-rolled to the final thickness of 0.8 mm, 0.65 mm and 0.4 mm. All the strips reached full density except the case of 0.8 mm sample which has a very few porosities. The interstitials which are well known to increase TEC were minimized to the level of 10 rpm C,5 and N,0 by the processing. TEC was found to decrease by increasing the cold reduction. The Mn content had little effect on the TEC. But in Fe-Ni-Co system, TEC decreased with Co content up to 0.4 wt% and then increased, yielding the minimum value of at 0.4 wt% Co. This value is much lower than that of commercial Invar product. Such effect of Co is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the maxiumum spontaneous- magnetostriction effect.
        4,000원
        32.
        1995.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공정 Al-18wt%Si합금의 초정 Si입자의 미세화에 미치는 첨가원소의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초정 Si입자의 크기는 P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세해졌으며 적정 P량은 40ppm이었다. 최적주입온도는 AlCuP, CuP 경우 각각 750˚C, 800˚C이었으며 미세화 처리 후 10분 이상 경과되어도 초정 Si입자의 크기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WDS분석 결과 초정 Si내에 AIP가 핵생성 site로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33.
        1994.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합금원소(Cr, V, Si. Mo, Nb)가 첨가된 TiAi 금속간화합물의 고온 산화거동을 대기중의 900~1100˚C에서 관찰하였다. 산화반응물은 XRD, SEM, WDX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등온 산화에 있어서 Cr과 V이 각각 첨가된 시편은 무게증가가 많았으나, Si, Mo, Vb가 각각 첨가된 시편은 상대적으로 무게증가각 적었아. 그리고, Cr과 V이 각각 첨가된 시편의 산화속도는 TiAi의 그것보다 항상 크게 나타났으며, Si, Mo, Vb가 각각 첨가된 시편의 산화속도는 TiAi의 그것보다 향상되지 않고, Si, Mo또는 Nb 첨가는 내산화성을 향상시킨다. Si, Mo, Nb이 각각 첨가된 TiAI합금표면에 형성된 산화물은 보호막 역할을 함으로 산소와 합금원소의 확산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Nb는 산화의 초기단계에서는 AI2O3를 형성하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AI2O3층과 조밀한 Tio2+AI2O3 혼합층이 형성되었다. Nb가 첨가된 합금의 백금 marker 실험결과에 따르면, 산소가 주로 합금내부로 확산하여 합금표면에서 산화물을 형성하였다. 900˚C에서의 열반복주기(thermal cyclic)산화실험 결과, 다른 합금원소와 비교해 볼 때 Cr또는 Nb첨가가 금속기지와 산화층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4,3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