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

        22.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deal with the background of emergence of the missional church, to analyse changing cultural context in Korea, to suggest indicators of the missional church, and to delineate the essence, leadership and ministry, and structure of the missional church. In conclusion, it simply evaluates the Korean church based on the practical discourse of the missional church and suggest a future outlook of the Korean church. The emergence of the missional church(or the missional ecclesiology) orginated from Lesslie Newbigin's mission work and his mission theology. It has been expanded to the movement, so-called “the Gospel and Our Culture conversation” in the early 1980s in England. The missional challenge Lesslie Newbigin faced was the missional response in between the gospel and western worldview. Influences of the movement has spread by American missiologists as it formed a “network” in the mid 1980s in north America. In the early 1990s north American churches had been loosing social credibility due to the influences of materialism and secularism. In this situation “Gospel and Our Culture Network” became spreading its influences on the church and society by producing books and articles which contained missional insights and analyses of the north American church and American culture. The church's reaction to changing cultural context can be shown in three modes: (1) relevancy; (2) resistance; and (3) adaptation. But these approaches distort the essence of the gospel and cannot properly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context. So we need a new approach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se approaches. This must be a missional church that is grounded on the Bible and sensitively responds rapid culture change, and is created and led by the Holy Spirit. The missional church that firmly responds to a changing cultural context is a forming and reforming church as being called by the triune God and sent to the world. That is, the church must be both confessional and missional. The missional church reveals the triune God in the encounter between the gospel and culture. The very reason that the missional church exists in the world is not because of human purpose or hope, but the result of creating and redeeming work of God in the world. Therefore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triune God(Missio Dei ) who calls the church, sends it to the world, and renews it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is a long journey that A key of the formation of a missional community is missional leadership. The essence of the church, being the church, determines the ministry and structure of the church. The missional leadership is incarnational(servant leadership) and apostolic leadership. The holistic leadership that mobilizes believers to various ministries is closely related to the doctrine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and is a leadership form which equips believers to be ministers. The five leadership roles, apostle, prophet, evangelist, pastor, and teacher, which are shown in the book of Ephesian, are decisive factors determinating on the church's ministry. These concepts of Christian ministry claims a paradigm shift from clergy-centered hierarchical leadership to divine gift-centered lay leadership. In order to verify the fact that the church is missionary in essence, the church must rediscover the gospel. A church trying to restoring the gospel can find crucified and risen Jesus Christ, and firmly realizes the meaning of Christian discipleship in carrying out the great commission, and is empowered to live out the gospel in every sphere of its life.
        7,700원
        24.
        202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논문의 목적은 20세기 북미의 아나뱁티스트 연구사를 정리하는 것이며, 특히 교회론을 중심으로 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북미 아나뱁티즘 연구는 20세기 초반에 중요한 계기를 맞이하는데, 해럴드 벤더(Harold S. Bender)의 등장으로 벤더학파(Bender School)라고 하는 학자 그룹을 형성하게 되었고, 그 결과 그동안에 많은 오해로부터 고통받아왔던 아나뱁티스트의 신학과 신 앙이 주류 종교개혁자들의 그것들과 본질적인 차이가 없음을 주장하게 된다. 이를 시작으로 세기 중반부터는 아나뱁티즘의 역사와 신학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들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아나뱁티스트의 교회론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 기 시작한다. 아나뱁티스트 교회론의 연구에서는 프랭클린 리텔(Franklin H Littell)의 연구를 필두로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20세기 아나뱁티스트의 연구가 특정 인물과 신학에 치중된 측면이 있으며 교회론 연구에서도 치리에 관한 연구에 치중되어왔음을 지적하며 보다 다양한 인물 과 주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25.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변혁기마다 여성들은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누구보다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가장 앞장서서 창조적인 사역의 길을 개척하고 여성공동체를 형성하여 교회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성장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교회가 안정화되면, 여성들만의 특수성을 가졌던 여성공동체는 전체공동체에 흡수 혹은 통합됨으로써 여성들이 다시 소외되는 역사를 반복하였다. 본 글은 여성공동체가 ‘창의적 사역 개척 – 여성공동체 형성 – 통합위원회로 변화 – 여성의 특수성 약화’라는 역사의 순환을 반복했기 때문에 교회 안에서 여성의 참여가 안정되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이 현상은 오늘날 교회에서 여성, 청년, 장애인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세계교회협의회 역시 마찬가지였다. 20세기 초 교회론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입지가 약화 되는 상황에서, 여성 에큐메니칼 선구자들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공동의 성찰과 에큐메니칼 대화를 통해 여성운동과 에큐메니칼 운동을 동시에 전개 하면서 세계교회협의회의 형성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였다. 그 결과, 교회에서 여성의 활동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평신도 신학을 정립하여 20세 교회론의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 대표적인 지도자는 사라 차코, 캐슬린 블리스, 마들렌 바롯, 그리고 수잔 드 디트리히가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평가는 미미하다. 그 이유는 이들 역시 여성위원회를 평신도분과로 변경하여 남성과 여성이 함께 하는 통합공동체를 기대했으나, 다시 부서가 남성 위주의 조직으로 변경되어 오히려 여성의 입지가 축소되고, 여성 사역의 토대마저 다시 잃어버리는 결과를 초래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여성의 권위가 신장된 공동체라고 하더라도 여성위원회의 존립은 매우 중요하다. 본 글은 세계교회협의회 임시위원회(1938)부터 에반스톤 중앙위원회 (1955)에 이르기까지 여성위원회의 활동에 대한 에큐메니컬 운동을 연대순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에는 세계교회협의회 집행위원회 또는 중앙위원회의 회의록, 세계교회협의회 문서보관소 및 세계 YWCA 문서보관소에 있는 자료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글의 결론으로 교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완전하고 동등한 참여를 위해서는, 여성공동체는 전체 공동체의 일치를 보호하고, 전체공동체는 여성 공동체의 특수성을 배려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교회에서 여성과 남성의 성숙한 관계 형성과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사역 참여는 진정한 교회 개혁의 가시적인 표현이며 다가오는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새로운 기독교 문화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26.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17세기 후반 잉글랜드의 성직자로서 런던에서 설교자로 활동했고, 말년에 이르러 1691년부터 1694년까지 캔터베리 대주교(Archbishop of Canterbury)를 지냈던 존 틸럿슨 (John Tillotson, 1630-1694)의 교회론을 살펴본다. 17세기 후반 잉글랜드 국교회가 처했던 복잡한 상황으로 인해, 당시 국교회 성직자들에게 교회론은 중요한 문제였다. 그들은 개신교 비국교도(Protestant Dissenters)와 로마 가톨릭교도가 국교회에 편입되기를 거부하는 상황에서, 국교회의 특별한 지위 – 잉글랜드 내에서의 유일한 합법적 교회 - 를 옹호해야 했다. 일반적으로, 국교회 성직자들이 사용한 교회론적 논리는 개신교, 에라스투스주의(Erastianism), 주교제주의(Episcopalianism)에 기초한 것이었다. 틸럿슨은 개신교와 에라투스주의의 논리를 사용한 반면, 주교제주의는 옹호하지 않았다. 하지만 틸럿슨의 교회론에는 위에서 언급한 일반적인 논리들을 뛰어넘는 면이 있었다. 틸럿슨은 자비(charity)의 덕목을 교회론의 중심에 놓았다. 그는 잉글랜드 국교회를 로마 가톨릭교회와 비국교도의 회합, 양자로부터 구분짓는 특징이 국교회가 가진 자비의 덕목에 있다고 보았다. 틸럿슨에 의하면, 교리적 오류가 로마 가톨릭교회의 문제이긴 했지만 가톨릭의 가장 큰 문제는 자신들이 이단으로 생각하는 비(非)가톨릭 기독교도를 이단으로 간주하여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었다. 또한 틸럿슨은 국교회 편입을 거부하는 개신교 비국교도의 태도에 대해서 자비가 결핍된 행동이라고 비난했다. 틸럿슨의 교회론적 목표는 자비에 기초를 둔 국가적 기독교 공동체를 세우는 것이었다. 그는 진정으로 예수를 따르는 자들이라면 서로 사랑하고 하나를 이루라는 예수의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근거로 틸럿슨은 잉글랜드의 모든 기독교도가 국교회로 들어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학자들은 틸럿슨을 잉글랜드 국교회의 광교파 성직자들(Latitudinarians)의 대표적인 인물로 간주해 왔다. 기존 연구에서 광교파의 주요한 특성으로 여겨지는 것은 이들이 신앙에서 이성의 역할을 매우 중시했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광교파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틸럿슨이 발전시킨, 자비를 중심에 둔 교회론을 새롭게 제시하고자 한다. 틸럿슨의 광교파 동료들은 교회에 대한 그의 의견에 동의했을 가능성이 크다. 그들 역시 편협한 태도와 폭력은 비기독교적이라고 생각했고, 기독교의 핵심 가치로서 관용과 자비의 중요성을 강조했기 때문이다. 자비를 기독교 신앙과 교회론의 중심에 둔 틸럿슨의 태도로부터, 우리는 많은 분열을 경험한 한국 교회의 영적 갱신을 위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2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한국 장로교 여성 가운데 최초로 목사안수를 받은 최덕지 (1901-1956)가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굴복하여 무너진 한국교회를 회복 하기 위해 해방 직후에 전개한 교회재건 운동을 살펴보고, 그의 교회론에 대한 신학적 해석을 시도한다. 그의 교회론에 대한 교회사가들의 평가는 지금까지 대체로 매우 부정적 이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의 교회론을 ‘극단적 분리주의’ 혹은 ‘극단적 분파주의’ 혹은 ‘도나투스주의’라고 평가한다. 하지만 이들의 평가는 최덕 지의 재건운동에 대한 자세한 분석과 교회론에 대한 깊은 신학적 해석에 기초한 것이 아니다. 본고는 이런 연구의 공백을 메꾸기 위한 하나의 시도 이다. 최덕지의 교회론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그의 교회재건 운동을 해방 직후의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에 위치시키고 ‘도나투스파 교회론’을 해석학 적 도구로 사용하여 그의 설교를 분석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최덕지의 교회론을 ‘극단적 분리주의, 혹은 분파주의’ 혹은 ‘도나투스주의’라고 단순하게 말하기는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하지만 동시에 그의 재건운동과 재건교회 설립은 그가 의도하지 않았던 교회의 분열을 낳았고, 그의 교회 론에 도나투스주의와 매우 유사한 성격-장점과 한계 두 측면 모두에 있어 서-이 많은 것도 부인할 수 없음을 확인했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최덕지의 교회재건 운동은 교회의 거룩성 회복을 위 해서는 큰 공헌을 하였으나, 교회의 일치 유지를 위한 노력은 부족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시 역사적 상황에서 교회의 거룩성 회복이야말 로 보다 중요한 시대적 과제였던 점을 감안하면, 그의 공헌이 한계보다 훨 씬 높이 평가되어야 한다. 최덕지의 교회론이 지금 주님의 몸을 수없이 많은 조각으로 찢어놓고 만신창이로 만든 한국교회에 주는 교훈은 실로 무겁다. 참된 교회의 회복 을 위해서는 ‘일치를 해치지 않는 거룩성’과 ‘거룩성을 해치지 않는 일치’ 를 동시에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연구가 최덕지의 교회재건 운동에 대한 재평가를 위해 그리고 오늘 한국교회의 분열된 현실의 뿌리 이해와 일치의 길 모색 그리고 더 나아가 통일 이후 북한교회가 직면하게 될 해방직후와 유사한 배교자 치리 문제를 예견하고 미리 준비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28.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ultimate goal of the Heidelberg Catechism(1563) is to secure religious reformation in Pfalz by clarifying the foundation of reformation and teaching people the direction of reformation. This study aims to manifest that the ecclesiology of the Heidelberg Catechism tries to present a clear vision of the true Church in the perspective of the reformed tradition while a hot controversy concerning the Lord Supper continued in Pfalz. For this purpose, the historical and the theological backgrounds of the Heidelberg Catechism are examined in the first place, and then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s of the ecclesiological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Catechism is analysed. This investigation shows that prudent and cautious presentations about the Church in the prefatorial questions and answers in the Catechism result from the Heidelberg reformers’ endeavor to minimize the theological controversy between the Gnesio-Lutheran and the Reformed circles concerning the Lord Supper. In the following questions and answers, however, the Heidelberg Catechism deals with the three external marks of the true church such as doctrine, sacraments, and discipline. This shows that this Catechism does not fail to pursue its ultimate goal to establish and secure religious reformation in Pfalz. Therefore, it is right to evaluate that the Heidelberg Catechism was the result of the magistrates and theologians in Pfalz who proclaim and foster their vision of reformation. For the Heidelberg reformers’ who made the Catechism, it is the true Church that stands on the true doctrine of salvation, administers the right sacraments according to the Word, and carries out sincere discipline in the church.
        29.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s John Wesley’s ecclesiology (or his understanding of church, ministry, and sacraments) in the Christian tradition. John Wesley, the founder of Methodism, was a man of tradition. He inherited his rich legacy from various traditions, and the traditions were instrumental in shaping his ecclesiology. The major traditions on which he drew include primitivism, Anglicanism, Puritanism, and Pietism. He also, though not heavily, drew on the mystics of the Roman Catholicism and indirectly on the reformers. Primitive Christianity offered Wesley an ideal of the church and a model for his personal religious life and Methodist movement. The medieval mysticism, with its stress on inward religion and selfdiscipline, was influential upon Wesley, and its influence lasted throughout his life. Although there is no evidence of medieval Catholicism’s direct influence upon Wesley’s ecclesiology, the character of Wesley’s United Societies is akin to that of Tertiaries of medieval Catholicism in that they were both designed to be auxiliary to the parent body. Wesley drew certain themes such as sanctification and discipline from the reformers indirectly through the Anglican and Puritan traditions. The Anglican tradition was the initial influence upon and a lasting contribution to Wesley’s ecclesiology. Particularly the early Wesley was attached to the High-Church Anglican churchmanship and was enthusiastic to share in its sacramental life and to induce others to do the same. His High-Church Anglicanism, however, clashed with the evangelical conversion of 1738, and later was overshadowed by the combined influence of Puritanism and Pietism. From the Puritans Wesley drew an image of the Christian disciplined life and the instructions in its practice. Puritanism was also a main contributor to Wesley’s unorthodox churchmanship after he became a field preacher in 1739. From the Pietists Wesley learn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and training of laity and was impressed by their discipline and enthusiasm for mission. The particular influence of the Pietists was most prominent in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Methodist Church organization. Pietism also permanently influenced Wesley’s soteriology, in relation to which he established the character and validity of his ecclesiology. In a sense, Wesley’s ecclesiology was an amalgam of the multiple traditions that he inherited and sought to appropriate in a creative eclecticism. Investigating the historical sources which assisted Wesley in shaping his ecclesiology, this study examines Wesley’s doctrine of church as a whole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salvation, since soteriology took the central place in his understanding of church. Wesley, with his highly developed sense of mission, shaped and developed his evangelical, functional understanding of church, responding to the spiritual needs of the people he sought to serve.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