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

        1.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교회에서 선교적 교회 담론이 논의된 지 20여 년이 지났다. 그동안 많은 학자를 통해서 선교적 교회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질적 연구를 통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한국에서 25개 선교적 교회 모델을 선정하고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연구함으로써 한국형 선교적 교회의 유형과 특징을 발견하였 다. 25개 선교적 교회 모델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선교적 마을공동체 유형’은 선교적 삶과 관련된 마을 목회에 초점을 맞춘다. 둘째, ‘선교적 공공교회 유형’은 하나님 나라를 실천하고 공공성 회복을 위해 보냄을 받은 교회로서의 사역을 실천한다. 셋째, ‘선교적 제자도- 문화 유형’은 교차문화적, 성육신적 제자도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한다. 마지막으로, ‘선교적 대안공동체 유형’은 공동체성을 강조한다. 연구자 들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8개 범주화 키워드들을 발견하였다: (1) 작은 것부터 시작, (2) 선교적 접촉점(제3의 공간), (3) 통전적 자본, (4) 경청(녹아듦), (5) 하나님의 나라, (6) 공공성과 공공신학, (7) 제자도, (8) 대안적. 이 범주들을 기초로 한국형 선교적 교회의 특징을 문장화한다.
        8,600원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Yb2O3 and calcium aluminosilicate (CAS) glass as sintering additives on the sintering behavior of AlN. The AlN specimens are sintered at temperatures between 1700oC and 1900oC for 2 h in a nitrogen atmosphere. When the Yb2O3 content is low (within 3 wt.%), an isolated shape of secondary phase is observed at the AlN grain boundary. In contrast, when 3 wt.% Yb2O3 and 1 wt.% CAS glass are added, a continuous secondary phase is formed at the AlN grain boundary. The thermal conductivity decreases when the CAS glass is added, but the sintering density does not decrease. In particular, when 10 wt.% Yb2O3 and 1 wt.% CAS glass are added to AlN, the flexural strength is the highest, at 463 MPa.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changes in the microstructure of the secondary phase of AlN.
        4,000원
        3.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웨슬리의 신학과 사역에 나타나는 목회적 특성을 네 가지로 분석하고, 다시 그것들을 ‘선교적 교회 성장’(missional church growth)의 개념으로 발전시키는 데 있다. 웨슬리의 신학과 사역에는 시대적, 문화적 환경을 초월하는 원리들이 있었기 때문에 그의 실천과 사역이 지속 가능한 부흥 운동으로 이어질 수 있었다. 이 점을 전제하고 보면 그의 실천과 사역을 관통하는 핵심적인 특성은 크게 네 가지 곧 (1) 교회의 본질에 기초한 목회적 실천, (2) 교회의 유기적 조직과 내적 역동성, (3) 성령의 강한 임재와 현존의 체험, (4) 실용주의적 방법론으로 정리된다. 이것들은 목회적 또는 교회성장 학적 관점에서 선교적 교회 성장의 원리로 구성하면 네 가지 곧 (1) 선교적 교회론, (2) 유기적이고 역동적인 조직, (3) 성령의 역사와 뜨거운 영성, (4) 효율적 방법론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큰 틀에서 보면 이 원리들은 선교적 교회론과 교회성장학의 유익한 점들을 서로 결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7,000원
        4.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조지 헌터가 말하는 사도적 교회의 의미와 내용이 무엇인지 해명하고 헌터 자신이 사도적 사역의 대표적인 사례로 지적한 존 웨슬리의 사역이 실제로 헌터가 말하는 사도적 교회의 특징들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헌터는 불신자들을 향한 복음 전도에 강한 소명의식을 느끼고 기존의 종교적 제도와 관습을 뛰어넘어 불신자들의 문화에 성육신하는 방식으로 다양하게 선교하는 교회를 사도적 교회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10가지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 10가지 특징은 다시 좀 더 큰 4개의 범주 곧 말씀과 기도, 불신자들에 대한 사랑과 복음 전도, 소그룹 중심의 사역과 목회적 돌봄, 평신도 사역의 활성화로 재구성할 수 있다. 이런 지표에 따라 존 웨슬리의 사역을 분석해 보았을 때 그의 사역은 대체로 이 10가지 특성을 모두 반영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웨슬리의 사역은 헌터가 말한 사도적 사역의 전형 중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6,100원
        5.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미시오 릴레이트’(MissioRelate)에 기초한 스콧 보렌 (M. Scott Boren)의 선교적 소그룹 이론을 살펴보고 그 이론에 비추어 18세기에 활동했던 존 웨슬리(John Wesley)의 소그룹 사역을 분석, 평가하고자 한다. 보렌은 구성원들의 동기와 목적에 따라 소그룹의 유형을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한다. 그중에서 ‘개인적 개선’과 ‘생활방식의 조정’은 정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개인적인 유익을 위해 소그룹에 참여하는 것들이며, ‘관계의 수정’과 ‘선교적 재창조’는 유기체적 공동체 의 역동성을 기반으로 한다. 그런데 속회와 반회로 대표되는 웨슬리의 소그룹은 보렌의 네 가지 유형 중에서 ‘개인적 개선’과 ‘생활방식의 조정’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반면에 웨슬리의 소그룹은 서로 성결의 은혜를 나누고 섬김으로써 세속적인 집단들과 뚜렷하게 다른 삶의 모습을 보이는 역동적인 공동체였다는 점에서 ‘관계의 수정’에 해당한 다. 또한 가난한 자들과 고통당하는 자들을 도와주었던 그의 사역에는 ‘선교적 재창조’의 특징이 있다. 그러나 그 노력이 소그룹을 통해서가 아니라 사역 전반에 걸쳐서 이루어졌다는 점은 약점으로 평가된다.
        7,000원
        6.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공동체성이 상실된 오늘의 교회 현실을 분석하고 교회의 본질을 추구하는 선교적 교회가 어떤 공동체를 지향하며 어떻게 그리스 도 안에서 공동체적 삶을 체험하고 누릴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 근대주의와 자본주의의 영향 아래에 있는 교회 는 점차 공동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그러나 선교적 교회는 근본적으로 공동체를 중시하며, 구성원들이 공동체성을 경험한 만큼 선교적일 수 있다.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공동체를 규정하는 대표적인 요소로 일반적 으로는 동질성, 정서적 유대관계, 지역성을 꼽는다. 반면에 신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공동체는 제도적인 차원 곧 신앙, 성례전, 직무의 차원에 서 이해되기도 하고 집단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삶의 차원에서 이해되기 도 한다. 진정한 신앙공동체를 이루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하지만 한국교회의 현실에서는 내적인 삶의 요소가 더 중요하다. 필자는 선교적 교회의 공동체성 함양을 위해서 몇 가지 현실적인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첫째는 신앙의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는 구성원들이 신앙에 기초한 동일한 가치와 비전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설교와 제자훈련 등 다양한 수단을 통해서 신앙의 공동체성에 관해서 분명하게 가르쳐야 한다. 둘째로는 선교적 교회의 정체성을 뚜렷하게 드러내는 실천적 과정을 통해서 공동체를 육성하는 것이다. 교회 조직 안에서 이루어지 는 다양한 신앙의 과정들 곧 세례, 성만찬, 예배, 훈련, 교제, 증언 등은 새로운 삶의 방식에 대한 이런 공동의 인식 아래에서만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셋째로 필자는 신자들 사이의 공동체성을 함양하기 위한 코이노니 아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1) 선교적 공동체 안에서 신자들은 서로를 진정한 형제자매로 생각해야 한다. (2) 식탁 교제, 상호 견책과 용서는 하나님의 가족공동체 안에서 구체적으로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방법이 된다. (3) 공허한 말보다는 서로를 돌보고 섬기는 실제적인 봉사가 요구된다. (4) 교회 안에 상호부조를 실천하는 구체적인 구조가 마련되 어야 한다.
        8,300원
        7.
        2016.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나님께서 직접 인간의 육신을 입고 이 세상에 오셔서 메시아적 사명을 감당하신 성육신 사건은 신자들을 위한 구원론의 근거가 되면서 동시에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이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를 가르치는 사역론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그것은 모든 왜곡된 삶의 태도와 사역을 비판하고 진정한 삶과 사역의 원리를 제시한다. 본 논문은 선교적 교회의 실천원리로서 성육신의 신학적 의미를 탐구한 뒤에 상황화의 관점에서 성육신적 사역의 구체적인 실천원리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성육신은 기독교 역사에서 일반적으로 구원론의 근거로 인식되었 다.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 사건을 신학적으로 제대로 이해하 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선교적 관점에서 읽어야 한다. 예수의 성육신 은 인간의 삶의 현실 안으로 뚫고 들어오시는 하나님의 현존을 뜻한다. 다시 말해서 성육신은 근본적으로 문화적 경계를 넘어 상대방의 삶의 세계로 들어가는 선교를 뜻한다. 따라서 그리스도의 성육신은 선교의 내용과 이유와 방법을 알려준다. 더 나아가 성육신은 선교의 방법론적 모델이 되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 선교하는 그리스도인 또는 교회의 존재론적 성품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가르쳐 주기도 한다. 성육신적 사역은 구체적으로 상황화의 과정을 통해서 구현된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칼 바르트(Karl Barth)가 그의 『교회교의학』 (Church Dogmatics)에서 제시한 세 가지 통찰 곧 이해, 연대, 책임적 행동의 개념을 통해서 선교적 상황화의 원리들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성육신의 정신을 가지고 자신이 선택한 대상에게 복음을 들고 가려는 그리스도인들과 교회는 가장 먼저 그들을 이해해야 한다. 누군가 또는 어떤 사람들을 이해한다는 것은 일차적으로 그들이 처한 삶의 환경과 조건을 이해한다는 것을 뜻한다. 두 번째로, 성육신적 사역에 참여하는 그리스도인과 교회에게 필요한 것은 복음을 들어야 할 사람들과의 연대다. 이런 연대는 먼저 일정한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과 함께 거주하며 죄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들의 문화를 수용하는 용기에 의해 가능하다. 세 번째로, 성육신적 사역의 마지막 과정은 책임적 행동이다. 이 책임은 세상의 실존과 현실 앞에서 하나님이 원하시는 “세상의 미래”(what is to become of it)에 대한 책임,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진정한 통치가 실현될 수 있도록 세상을 “갱신”(renewal)해 야 할 책임을 말한다.
        8,400원
        8.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선교적 교회에 관한 논의와 실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선교적 교회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평신도들의 정체성과 역할은 충분히 연구되지 않고 있다. 선교적 교회의 평신도들은 자신의 사도적 정체성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웃과 지역사회, 직장을 포함하는 일상적 삶에서 하나님의 선교적 백성으로서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한국교회 평신도들의 신앙의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살펴보고, 신학적인 관점에서 사도직의 의미를 탐구하고, 실천적으로 평신도 사도직이 어떻게 현장에서 전개되는지를 논하였다. 한국교회에서 평신도들은 수동적이고 단순히 예배당 중심적인 신앙생활에 익숙하며, 선교적 사명의식이 빈약한 편이다. 이런 문제의 근원에는 성직주의와 성속 이원론이라는 왜곡된 신학적 관념이 있다. 이 두 가지 신학적 관념은 평신도들로 하여금 사도직이 오직 목회자들에 게만 부여된 것일 뿐 자신들과는 무관하다고 생각하게 만든다.성경적으로 열두 사도와 기타 사도들의 사역을 살펴볼 때, 사도직 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증거하는 사명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그러나 보편적 사도직의 관점에서 사도직은 근본적으로 어떤 직위나 인물에게 주어진 것이 아니라 교회에 속한 모든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진 것으로 이해된다. 반면에 은사로서의 사도는, 그것이 희생과 모험을 필요로 하는 일이든지 일상적 삶에서의 복음증거를 뜻하든지 간에, 일반적으로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보내심을 받은 사람들을 가리킨다. 사도적 교회는 이런 사도직의 의미를 깨닫고 하나님의 선교적 백성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공동체를 말한다. 마지막으로, 평신도 사도직을 올바로 세우기 위해서는 하나님의 선교적 부르심이 단지 목회자들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평신도들 에게도 동일하게 해당된다는 사고방식이 필요하다. 그들의 사도직은 일상적 생활로부터 사도적 사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8,700원
        9.
        2015.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서구와 한국에서 선교적 교회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미셔널’(missional, 선교적)이라는 용어에 대한 개념적 이해가 사용자들의 신학적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미셔널’이 드러나는 다양한 양상들을 강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다른 관점들과의 균형이나 조화 없이 편협하게 또는 축소주의적으로 이해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점에서 본 논문은 선교적 교회(the missional church)에 관한 논의가 최근에 서구와 한국에서 점차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선교적’이 라는 용어를 지나치게 축소주의적으로 해석하는 입장들을 비판하고 그 용어를 통전적인 관점에서 이해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미셔널’에 대한 편협한 또는 축소주의적 이해는 크게 두 가지 갈래로 구분될 수 있는데, 하나는 전통적인 선교 이해의 한계와 잇닿아 있고, 다른 하나는 아이러니하게도 최근에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선교적 교회론의 불균형성과 맞물려 있다. 먼저 전통적인 선교 이해의 축소주의적 문제는 선교를 지리적으로 이해하는 방식, 선교를 행사 또는 사업적으로 이해하는 방식, 선교를 복음전도에 국한해서 이해하는 방식, 선교를 교회 중심적으로 이해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미셔널’을 사회참여적 관점에서만 이해하는 태도도 축소주의적 문제를 드러낼 수 있다. 그것은 선교적 교회의 활동을 지나치게 사회봉사와 사회참여에 맞춰 강조함으로써 개인의 회심을 무시하는 문제, 그리스도 인의 현존만을 강조함으로써 구두복음전도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문제, 하나님의 창조활동을 강조함으로써 하나님의 구속활동을 희석시키는 문제, 소형교회의 기능성을 강조함으로써 대형교회의 역할을 무시하는 불균형과 부조화의 문제로 나타날 수 있다. 이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미셔널’의 통전적 이해는 단순한 양 극단의 물리적 통합을 넘어 선교적 교회의 본질로부터 그것을 이해하 는 태도를 필요로 한다. 교회는 건물이나 조직이나 사업이 아니며 세상 안에서 하나님의 선교적 관심과 계획을 수행하는 하나님의 백성의 모임과 흩어짐이기 때문에 ‘미셔널’은 단순히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방식으로 선택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것은 하나님의 창조와 구속 의 현장인 세상이 복합적인 만큼 상황에 따라서 매우 복합적인 양상을 띤다. 또한 ‘미셔널’은 일회적인 행사나 프로그램을 넘어서 복합적인 삶의 세계에서 과정적이며 성육신에 의한 실천에서 그것의 진정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9,000원
        10.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선교적 관점에서 한국의 미래세대를 위한 목회갱신 방안을 다룬다. 한국교회는 현재 여러 가지 쇠퇴의 증상들을 겪고 있지만 미래세대의 감소와 교회 부적응 현상은 한국교회의 미래마저 불투명하게 만들고 있다. 필자는 이 현상의 저변에 기성세대와 미래세 대의 문화적 충돌이 깔려 있다고 본다. 기성세대는 주로 한국전쟁과 전후 곧 60년대부터 80년대에 이르는 경제적 근대화시기에 젊은 시절 을 보냈던 사람들로서 물질 중심적 사고와 양적 사고, 억압된 일방통행 식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익숙해 있는 반면, 미래세대는 90년대 이후에 젊은 시절을 보낸 사람들로서 부모 세대가 이루어 놓은 물적 토대 위에서 자유롭고 풍요로운 삶을 누리며 사는 데 익숙하고, 탈중심화되 고 다원화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선호한다. 이런 미래세대의 생활양식 과 의식은 기성세대에 의해 주도되는 교회의 모든 조직체계와 활동을 불신하거나 혐오하며, 이런 이유로 교회를 떠나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필자는 이런 현상과 문제점을 극복하고 미래세대를 교회 안으로 끌어들이고 더 나아가 교회의 미래 주인공이 될 수 있도록 만드는 목회적 방안으로 아홉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교회학교를 교회로 생각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지식 위주의 교육에서 전인적 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 셋째, 미래세대를 수동적인 학습자가 아니라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학습자로 만들어야 한다. 넷째, 교회에 맡기는 교육에서 가정과 교회가 함께 하는 교육 체계가 정립되어야 한다. 다섯째, 구경하는 예배에서 체험하는 예배로 바뀌어야 한다. 여섯째, 이벤트 위주의 교육에서 진정한 제자훈련이 이루어지는 교육으로 전환 해야 한다. 일곱째, 개인주의 신앙에서부터 공동체를 형성하고 그 안에서 성장하는 교육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여덟째, 거쳐 가는 사역자가 아니라 지속적으로 사역을 감당할 수 있는 전문적인 사역자를 양성해야 한다. 아홉째, 획일성이 아니라 다양성이 구현된 목회나 교회 모델을 추구해야 한다.
        8,000원
        11.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선교적 교회의 구조와 실천을 통합적 관점에서 다룬다. 선교적 교회는 모이는 교회와 흩어지는 교회의 두 양상이 상보적인 관계 안에서 균형을 이룰 때 제대로 작동된다. 모이는 교회는 공동체 내에서 이루어지는 네 가지 주요 활동들 곧 예배, 성례전, 교육, 친교는 선교적 교회의 내적 역동성을 확보해주는 중요한 개념이다. 또한 선교적 교회가 진정한 ‘선교적’ 교회가 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조직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 두 가지 양상을 모두 필요로 한다. 선교적 교회가 행하는 조직적 선교는 주로 프로그램과 사업 또는 행사 형태로 진행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동원성과 효율성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선교의 차원을 형성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교회는 조직적 차원의 선교에 주력하면서 일상생활과 사회적 세계 안에서 개인적으로 행하는 선교적 차원을 무시했다는 점이 지적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개인적 차원의 선교는 각 개인이 자신의 삶의 세계에서 선교사로서의 의식을 가지고 살아가는 것을 말하는데, 한국교회에 가장 부족한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다. 선교적 교회의 실천은 구체적으로 존재와 행위와 말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 원리는 집단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 모두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세 가지 요소들은 온전한 선교를 위해 모두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존재에 의해 선교는 선교적 공동체가 세속적인 공동체들과 구별된 가치관과 삶의 방식을 가지고 살아간다는 사실에 근거한다. 행위와 말에 의한 선교는 존재에 의한 선교로부터 나오며, 그것들은 하나님의 선교적 백성이 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8,400원
        12.
        2014.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기독교 신앙이 사사화되고 공적 영역에서 기독교 진리의 우위성이 상실된 현실에서 교회의 선교적 본질에 초점을 맞춘 선교적 교회론의 등장은 기존의 기독교 세계에 큰 도전이 되고 있다. 선교적 교회론은 근본적으로 교회의 본질로부터 사역을 이해하고 조직을 구축하려는 논리적 순서를 중요하게 여긴다. 본 논문은 선교적 교회의 관점에서 교회론의 여섯 가지 주요 주제를 다룬다. (1) 교회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주권적 선교 안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교회는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소유이며 하나님의 구원 계획을 성취하기 위해 존재한다. (2) 성서에 제시된 에클레시아의 관점에서 볼 때 교회는 하나님께로부터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의 공동체를 가리키기 때문에 결코 건물, 제도, 조직 구조, 성직자, 모델, 프로그램과 동일시될 수 없다. 교회는 근본적으로 하나님의 선교적 백성 곧 부르심을 받고 보내심을 받은 ‘사람들’ 자체를 가리킨다. (3) 선교적 교회는 모이는 교회일 뿐만 아니라 흩어지는 교회로서 공동체에 속한 구성원들의 삶의 현장에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신자들은 모이는 공간을 떠나 자신의 삶의 현장으로 흩어져 하나님의 통치를 증언하는 선교적 백성으로 살아간다. (4) 선교적 교회는 지역교회로서 자신들이 처한 지역 사회에서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고유한 삶의 양식을 창조해 나간다. (5) 선교적 교회는 거룩성을 지닌 공동체이지만 세상으로부터 분리된 공동체가 아니라 오히려 성육신의 원리를 따라 세상 안으로 들어가 하나님 나라의 진리와 능력을 드러내고 세상 문화를 변혁할 대안 공동체로 살아간다. (6) 유기체적 공동체로서 선교적 교회는 생명을 간직하고 향유하며 나눠주는 사역을 한다. 이 사역은 분립과 후원에 의한 교회개척을 중요하게 여긴다.
        6,600원
        13.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to grasp the understandings behind the work of Donald A. McGavran, who left a significant mark on evangelical mission in the 20th century since his birth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o criticize his thoughts of mission. He began his missionary works when after the colonial era, evangelical missions were contracted by the ecumenical camp emphasizing social service and social action. From the biblical perspective, he stressed the importance of evangelism, church planting, and the church as a significant means to realize God’s mission. In his missiology, mission involves communicating the Gospel to unbelievers, persuading them to accept Jesus Christ as their Lord and Savior, and helping them become responsible members of the church and grow into more mature Christians. Although somewhat criticized, his two terms, discipling and perfecting, represent his thought of mission. The concept of church growth around conversion also supports his beliefs. Despite his great exploits, however, his understanding of mission was controversial in some ways. Theologically, his attitude was very determined and conservative. For this reason, many arguments and criticisms were arisen around his ideas. He stressed evangelism, church planting, and church-centric mission, whereas he had a negative attitude towards social service and social action, which were supported by the ecumenical camp. From the perspective of wholistic mission, it is natural that his thoughts be criticized in that he seems to lean towards one side. In other words, he lost his sense of balance. If possible,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McGavran’s thoughts arose from concrete mission fields. His opinions were brought up to argue against the distorted ways of mission that spread in those days.
        8,900원
        14.
        201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arly Korean church had experienced rapid growth and revival. What caused this phenomenon? What are its driving forces? Though so far there have been many papers on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there are almost none which deals with it from the perspective of church planting.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evaluate the Nevius Plan as a church planting theory that enabled the early Korean church to grow rapidly. As a result of this study, I found that the Nevius Plan as a church planting method has some strengths and weaknesses.The Nevius Plan is positive in that it enhances greatly the spontaneity of believers on the basis of Three-self Principle─self-support, self-governance, and self-propaganda. However, it is not an absolute principle that can unconditionally be applied in every condition. In addition, it is wrong to place the responsibility of evangelism and church planting on only native people. Such interpretation is a distortion of the Nevius Plan. This would be demonstrated by the supportive argument that when considering Adams Evangelistic Fund, the Nevius Plan did not collide with strategic fund supports. When the Nevius Plan based on Three-self Principle was introduced to missionaries in Korea, it was indigenized into a church planting method focused on self-support and self-propaganda. As a church planting theory, it regarded the church as an organic community full of vitality and pursued establishing indigenous churches in their own culture. Three-self Principle functioned as a concrete method for church planting. However, it should not be recognized as an end in itself or an absolute theory, rather it should be applied appropriately in a certain circumstance in which local churches existed. In his writing, John Nevius also agrees that supporting fund should be invested to several ministries such as school, and to hire paid workers in case of need. Therefore, to believe that the Nevius Plan insists on leaving the responsibility of evangelism and church planting to native people without any outer fund, is a distorted interpretation. As the Nevius Plan was applied all over the country, Adams Evangelistic Fund, which had a marked effect on church planting ministry in Taegu area, demonstrates how the Nevius Plan as a indigenous church planting theory could be harmonized with fund support. Three-self Principle is the important foundation for indigenous church planting. The Nevius Plan makes church planting not a humanistic enterprise but a dynamic work led by the Holy Spirit. On the other hand, if funds in the strategic church planting support workers devoted to the Three-self spirit, it will heighten the intensity of effect more than the case of when everything is left to only native people will. It is of course that beneficiaries’ sense of independence is necessary in this case.
        9,000원
        15.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is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missional church growth, which should be a new paradigm of church growth, in order to renew the Korean church in which distorted concepts of church growth are widespread. In this paper, I define missional church growth as the growth of missional church, which expands its social influence of the Gospel by becoming the witnessing church culturally appropriate in its local community and the world, in terms of not only inner dynamics through worship, education, and fellowship but also the praxis of evangelism, church planting, incarnational ministry, and public discipleship, ultimately the increase of responsible church members who came to the Christ. Prior to explaining the frame and basic concepts of missional church growth, I conducted two studies: firstly, I inquired into the theological theories of church growth and among them tried to find critical clues connecting to the missional church growth; and secondly, from a cultural view point, attempted to elucidate both the fact that some main concepts of traditional church growth theories were affected by modern values, and the postmodern culture is challenging Christian churches today to prepare a new paradigm of church growth. Basically, the missional church growth aims to accomplish the Lord’s Great Commission(Mt. 28:1920), which includes both evangelical mandate and cultural mandate. Thus, it is harmoniously toward enhancing both conversion growth and the social influence of the Gospel. It is also related to the endeavor to realize the apostolicity inherent in local churches, the missionary nature of the church. Its accomplishment would be through enhancing inner dynamics based on worship, education, and fellowship, and activating its missionary praxis toward the world. The missionary praxis includes four main works: evangelism, church planting, incarnational ministry, and public discipleship. Therefore, it could be mentioned that the missional church growth is carried out through the balanced perspective and practices in terms of the Gospel and culture. Finally, the missional church growth should be practiced in an orderly process. The nature, ministry, and structure of the church, three aspects in the life of the missional church, must be in regular sequence. Their order must not be changed: its ministry must come out of its nature and its structure must be built to fulfil its ministry effectively. When neglecting this orderly sequence, the church would be programdirected and losing its missionary nature, which consequently produces distorted church growth.
        8,000원
        16.
        201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ern and describe the different church planting models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The historical range of this study is from 1885, when the first Protestant missionaries entered Korea, to 1945, when the Japanese colonial rule ended. The Korean Protestant Christians were enthused in evangelizing and establishing churches during political turbulence. They showed seven different models of church planting, even if they did not recognize them back then as we do today through strategic dimensions. During this period, many churches were established by spontaneous evangelism. Since 1903, revivals became a strong catalyst for church planting, stimulating the evangelistic activities of believers. These models revealed the significance o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the evangelistic passion of believers in church planting. Furthermore,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used strategic methods to counteract the randomness of spontaneous evangelism. The Holiness Evangelical Church especially focused on dispatching professional evangelists to strategic locations. This method was much useful to some groups despite its difference from the Nevius Plan which emphasized not paying workers' salaries. Many Korean churches were planted by seminary students and largescale evangelism. Some models of church planting by the Korean Church, such as church planting by holistic ministries and hiving off through revivals, can be evaluated as exemplary models in the present. Through holistic methods, some medical missionaries established new churches in their infirmary where they looked after poor patients. This brings to our attention how important incarnational ministry is in local community missions. Many new churches were planted due to revivals resulting in the mother church exceeding maximum capacity. This model is missional in that it rejects egoistic growth of individual churches and values God’s mission.
        6,700원
        17.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ntention of this thesis is to explain the concept of missional church planting and explore its theological foundations. The concept is designed to draw out effective practices for church planting based on the proposition that the church is intrinsically missional. In my opinion, the biggest problem of the Korean church’s church planting ministries is the lack of theological reflection. The Korean church has focused only on techniques and methods of church planting, most of them being reckless. However, such reckless methods have stopped working since the 1990s when the Korean church began to stagnate and lose its social influence.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new paradigms that are better suited to the spread of postmodern culture in the Korean society. Church planting is a core ministry in evangelizing to the world according to God’s will. However, it could be an obstacle to God’s mission if it falls into ecclesiastical expansionism without the right missiological perspective. In order to construct the concept of missional church planting, I suggest five key thoughts: (1) creative ministries beyond mere church planting, (2) recognizing the missional essence of the church, (3) orienting towards the fulfillment of the Great Commission, (4) adjusting to the cultural environment, (5) growing dynamically and reproducing daughter churches. I also suggest the concepts of both the organic church and the missional church for constructing the ecclesiology of missional church planting. On one hand, an organic church based on the biblical concept of ‘the body of Christ’ secures healthy growth from its organic life and inner dynamics; as a natural result, it emphasizes planting new churches. The church as an organism has a duty of reproducing other churches; such a duty is divided into hiving off and supporting. On the other hand, a missional church is founded on the fact that mother churches as well as newly planted churches have an apostolic mandate toward the world. Furthermore, the concept of missional churches plays a role of a rudder, explaining what a church should be, what it should do, and how it should organize itself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its apostolate.
        6,700원
        19.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Orlando E. Costas' wholistic concept of church growth in order to build a new paradigm of church growth for the future of the Korean Church. His concept was a result of critical reflection for traditional theories of church growth centering around Donald A. McGavran. Whereas he accepts some positive views of those traditional theories, Costas also criticizes some negative contents. Costas' understanding of the church is based on images of the church portrayed in the New Testament. He sees the church as organism, community, and social institution. In his view, the two objectives of the church's call are worship and mission. He understands church growth from a perspective of wholistic mission: while church growth is a natural and imperative result of the wholistic mission of the church, it cannot be an end in itself and is nothing but a sign, a provisional and penultimate goal of God's mission. From a viewpoint of wholistic concept, church growth has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simply evaluated by some external aspects. The growth of a church should be critically evaluated on the theologically right basis. In this point, qualities and dimensions of growth present some useful insights for overcoming distorted thoughts of church growth and establishing its healthy model. On the one hand, he speaks of spirituality, incarnation, and faithfulness as qualities of growth, which are controlling variables; on the other hand, he speaks of numerical growth, organic growth, conceptual growth, and incarnational growth as dimensions of growth. The church growth movement that started from Donald A. McGavran has had a great effect on the development and the growth of church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Korean Church. However, according to changes of the times and their cultural environments, new paradigms of church growth are demanded. In particular, such demand is urgent in the Korean society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culture are becoming stronger more and more. In this context, Costas' wholistic concept of growth offers a valuable frame of thought for a new paradigm of the Korean Church's growth. However, his theories must not cease by simply suggesting some theological principles but must be developed into a practical tool for analyzing and evaluating churches in the field.
        6,400원
        20.
        2006.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recent European telecommunication base transceiver stations(BTS), a membrane laminated air filter is reported to replace a heat exchanger in order to cool internal digital units of BTS. The concept of using the air filter is for the direct ambient cooling (DAC) of BTS without heat loss generally found in the heat exchanger type BTS. In the present study, a performance evaluatio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with dust loading and the particl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air filter for the DAC of BTS. Finally, the long term operation lifetime of the air filter for BTS was suggested with a given fan rotation speed.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