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

        21.
        200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23.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potential and difficulties of reflective teaching through keeping teaching journals. The focus of reflection was also examined. Six primary English teachers wrote teaching journals throughout one semester. And they were interviewed regarding keeping teaching journals at the end of the semester. Then the contents of teachers’ journal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analysis of teachers’ journals shows that their reflection included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their decision making process on the use of learning activities, the problems of learner differences in English ability, the effects of learning activities, the structure of lessons, their role as a fully charged English teacher, the use of classroom English, and the concern abou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talk. The data analysis also reveals that the teachers considered journal writing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and improve their teaching, thus being a mean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n English teacher. However, the lack of time and not being familiar with keeping teaching journals were perceived difficulties in keeping teaching journals. Further, it was pointed out that the follow-up activities such as collaboration and discussion with other teachers or teacher educators were needed for journal writing to be a more beneficial tool fo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6,300원
        24.
        2004.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nticipation of starting a new online journal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we conducted a review of existing journals,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ies-online-only and online +print. The 30 journals in the review were analyzed with respect t frequency of publication; their content emphases, goals, and audiences; policies on subscription and copyright,· and technical functions, such as search and discussion. We were looking for the features that made the online journals distinctive from the others, which were based in the print paradigm. The aspects that yielde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ubscription policy, redistribution policy, and search function. The online-only journals were more liberal in their subscription and redistribution policies, but the online + print journals had more extensive search capabilities. In addition, we identified gaps in the topical coverage of the existing journals, in the areas of educational technology management, educational systems design/reform, policy issues, and cultural issues.
        4,000원
        25.
        200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
        26.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국 연구자들이 미국에서 발간되는 학술지에 발표하는 독도관련 연구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깊이가 있거나 이론이 정연하지는 않는 것 같다. 이들의 연구는 독도의 영유권 다툼을 다루거나 국제해양법상 일반적인 섬의 지위를 다루면서 독도를 연구하고 있다. 즉, 독도가 해양법상 어떠한 해양관할수역을 갖는지, 혹은 해양경계획정에서 어떠한 효과를 갖는지가 연구의 대상이다. 독도 영유권과 관련하여서는 한국의 주장을 지지하는 학자와 일본의 주장을 지지하는 학자로 나누어지는데, 이들은 대체로 한국과 일본의 정부 입장이나 학자들의 연구를 바탕으로 논거를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로스쿨 학생들과 같은 연구자들은 심도있는 분석을 하지 않고 선행 연구자들의 주장을 그대로 답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들이 대체로 한국에 유리한 주장을 하고 있는 것은 나름대로 위안거리라고 하겠다. 한편 독도의 해양법상 지위는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데, 대체로 배타적 경제수역이나 대륙붕을 갖지 못하는 바위섬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또한 일본과의 해양경계획정에서 아무런 효과도 갖지 못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외국 연구자들은 독도 영유권 문제를 연구함에 있어 대체로 영어로 된 인터넷 자료를 많이 인용하며 연구하고 있는데, 특이한 점은 일본 주장을 지지하는 연구자는 일본 정부의 주장을 인용하고 있음에 반하여 한국의 입장을 지지하는 연구자는 개인이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인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우리의 주장을 영문으로 소개하는 사이트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되고, 또한 한글로 발표된 독도 관련 연구결과물을 외국어로 소개하는 작업도 활발하게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27.
        2018.10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평가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유아교육기관 평가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경향 검토 및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7년-2017년까지의 유아교육기관 평가 관련 학위논문 및 학술지 총 302편의 시기와 주제, 연구방법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평가 관련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2010년 이후부터 점차적으로 감소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주제별 분석에서는 ‘기관평가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기관평가 사후관리’ 관련 연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관련 연구는 혼합대상 보다는 단일대상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유치원에 비해 어린이집 대상 연구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연구유형에서는 양적연구 중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고, 자료수집방법에서는 질문지법을 사용한 논문이 가장 큰 비율을 보였다. 질적연구는 면담법을 사용한 소수 연구가 이루어졌고, 문헌연구 및 양적·질적 혼합연구방법 또한 매우 낮게 나타났다. 끝으로, 자료 분석 방법은 양적분석, 질적분석, 문헌분석, 양적·질적 혼합분석 순의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후속연구들에서 좀 더 포괄적이고 다양한 각도에서의 유아교육기관 평가연구의 동향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28.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researchers to know the standards of research ethics violation and eliminate the researchers’ anxiety for the possible cases in violation of research ethics through the notification on the web site with online paper submission system for over the last year. We have made an effort and achieved the most exemplary and leading position in the academic journals, however, not satisfied with this, we will endeavor to strengthen i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Plagiarism and overlapping publications are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research ethic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submitted articles making use of paper similarity test programs such as copy killer, KCI test, etc. Editorial board and reviewers should present clear evidences and notify contributors on research ethics violation after close review the contributors’ article content. Results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submitted articles which were verified as research ethics violation, and categorized them into 7 cases. Conclusions – With analyzing the verified 7 cases from KODISA journals, this research will examine closely the verification system and regulations in the current academic research ethics. Afterwards, this research will seek for solution to the problems and make an effort to get improvement for them.
        2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에서는 웨슬리의 저널의 중요성을 제기하면서, 저널의 자료, 즉 일 기(Diary)의 특징과 그 연관성, 저널의 문학특징, 저널의 출판 시기와 주요 내용과 사건, 그리고 저널을 통하여 유추할 수 있는 웨슬리의 생각과 사상 더 나아가 18세기 영국의 부흥운동에서 그의 활동을 정리하였다. 이를 위 해, 단순히 신학적인 주제를 따라 추적하는 방법이 아니라, 시간 흐름과 경 과를 의식하는 역사적 방법을 이용하여, 문학적·사회적 정황을 비교하고, 더 나아가 대중문화사의 시각에서 그의 저널을 읽을 것을 제안하려고 한다. 이제까지 한국 신학계에서 웨슬리 저널의 출판 동기와 기록 방법에 대 한 질문이 없을 만큼 웨슬리 연구가 신학주제 중심으로 치우쳐 있었으며, 그 만큼 지성적이고 합리적인 웨슬리 찾기에 기울어져 있었다. 이 글은 웨 슬리의 보다 인간적이고 자연적인 모습을 추적하여, 더 입체적인 웨슬리 복원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 글 결론적으로 웨슬리의 저널에서 다음의 사항이 발견됨을 지적한다. 첫째, 그의 신학이 평생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그렇게 도달한 것이 바로 “그리스도인의 완전,” 즉 성결을 목표로 하는 신학이었다. 둘째, 저널을 통 해 메소디스트 부흥의 현장을 생생하게 목격할 수 있다. 셋째, 웨슬리는 저널을 위해 현상학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넷째, 웨슬리 저널을 통해 18 세기 영국의 대중사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저널을 통하여 결국 웨슬리 는 메소디스트 신도회가 타락한 세상에 대한 대안공동체라는 것을 보이려 고 하였다.
        30.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centers on ‘rural landscape’ in terms of subjects and subject-words among journals that are registered or would be registered in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from 1995 up to 2014 to group 109 theses by subject that include planning, projects, residents’ participation, that are f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o that research trends by journal, change in subjects by year and change in detailed subjects may be analyzed. Its detailed outcome is as follows. First, current situations of carrying theses by academic society shows that a total of 23 societies have conducted research, among which, International Society for Rural Plan In Korea has contributed 57 theses followed by Korean Science of Landscape Architecture with 10 theses and Korean Rural Society with 8 theses. Among them, Korean Rural Society is the only one continually contributing theses up until now, positioning itself at the center of rural landscape research. Second, a look into years shows that there was meager researches made; 6 from 1995 ~ 1999, 9 from 2000 to 2004 while there was a leap up to 55 from 2005 to 2009. There was a decrease down to 39 theses from 2010 to 2014 but research activities went on.
        31.
        2015.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유아 및 초·중등 발명 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도’,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방법’, ‘관련 교과’ 등의 5개 항목으로 관련 논문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로 보면 1992년에서 2004년까지의 연구는 12편에 불과했으나, 2005년에서 2009년까지는 61편, 2010년에서 2014년까지는 138편의 연구가 이루어지는 등 점차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둘째, 연구 주제별로 보면 ‘교수 방법 및 모형 구안’(76편), ‘현황 조사’(50편), ‘교수 방법 및 모형 효과 검증’(38편), ‘경향 및 변인 관계 분석’(36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별로 보면 ‘문헌’(91편), ‘학생’(83편), ‘교사’(47편), ‘전문가’(43편), ‘예비교사’(13편), ‘학부모’(4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방법별로 보면 ‘양적 연구’(91편), ‘혼합 연구’(53편), ‘문헌 연구’(47편), ‘질적 연구’(20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련 교과별로 분석한 결과 ‘실과’(24편), ‘기술’(23편), ‘과학’(7편)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추후의 유아 및 초·중등 발명 교육 연구에서는 이미 개발된 교수 방법이나 모형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 교사나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발명 교육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향후의 연구에서는 좀 더 타당한 표집 방법이나 실험 설계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교과에서 발명 관련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32.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일제 강점기 지리산유람록에 나타난 儒者들의 의식과 특징 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제 강점기 ‘지리산 기행문학’에는 전통적 지식인인 유자의 한문 유람록과 근대적 교육의 수혜자인 학생과 지식인의 한글 기행문이 병존한다. 그리고 양자 사이에는 한문 문집과 한글 신문이라는 언어와 매체의 이질성만큼이나 상이한 인식론적 편차가 존재한다. 성리학적 유람 문화의 전통 속에서 쓰인 한문 유람록과 근대적 담론의 영향을 받은 한글 기행문이 상호 변별될 수밖에 없다. 그렇지만 ‘비동시성의 동시성’으로 규정할 수 있을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특수성에, 분과 학문별 연구 대상의 배타성 등이 작용하면서 이 시기 기행문학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은 시도조차 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제 강점기 지리산유람록에 대한 한문학 분야의 심층적인 연구와 지리산 기행문학에 대한 문학사적인 접근을 기대하면서, 일제 강점기 지리산유람록에 나타난 의미와 특징 등을 試論的으로 논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시대적 특수성에 주목하여, 지리산 기행문학에 ‘전근대’와 ‘근대’가 교차·공존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근대적 관광 인프라와 정보를 바탕으로 형성된 ‘근대적 유람로’와, 근대적 위생관념의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는 선교사 휴양촌에 투영된 유자들의 자정과 은일 의식 등을 통해 ‘비동시성’의 교차 양상을, 그리고 공동체적 관념상과 원근법적 시각상, 성리학적 이념과 수양관을 바탕으로 한 천인합일 의식과 자연을 대상화하는 주체중심주의적 사유 등에 대한 고찰을 통해 ‘비동시성’의 공존 양상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일제 강점기의 지리산유람록에는 산을 매개로 한 求道의식과 尊賢정신, 그리고 성리학적 수양과 성찰적 태도가 면면히 계승되고 있으며, 더불어 민초들을 긍휼히 여기는 애민의식과 비판의식이 도저하게 관류하고 있음을 논구하였다. 그렇지만 근대 문명의 확산과 그 혜택으로 인해 이상향에 대한 동경과, 儒仙 의식과 仙趣 경향은 현저히 약화되어 수사적 차원에서 그치고 있다는 점 또한 규명하였다. 본 논문은 동일한 시간에 상이한 ‘역사적 시간’을 살고 있는 두 주체들 간의 인식론적 편차를 명징하게 드러냄으로써 한문 유람록과 한글 기행문의 공시적 차별성을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영향관계와 통시적 (불)연속성을 문학사적으로 탐문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33.
        2010.03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일차적인 목표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의사소통 능력이란 말하기와 듣기, 읽기와 쓰기까지 포함하기에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다. 하지만 최근 한국어 교육에서 읽기와 쓰기의 연구는 짧고, 구체적인 쓰기 교육에 대한 방안도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유창성의 흐름에 따라 학습자들이 말하기보다 쓰기 실력은 그 아래 단계에 머무는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그 해결책의 하나로 문법지식을 활용한 일기쓰기를 제안하고자한다. 일기는 학습자들의 경험을 토대로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게 해 주면서 말하기를 확대시키는 도구가 되기도 한다. 또한 문법지식을 활용한 일기쓰기 연습을 통해 오류를 최소화하고 다음 단계로 나아갔을 때 정확하고 안정된 표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직접 학습자들에게 실험을 통해서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34.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경지에 파종된 종자의 발아율, 나아가 유묘출현율을 증가시키는 것은 대단히 어렵기 때문에 파종전 종자처리를 통하여 이를 조절하고자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왔다. 그러나 Phytochrome의 광가역적 반응이 종자의 발아를 조절하기 때문에 포장에서 파종 종자가 처하게 되는 빛조건을 고려한 종자처리 방법이 설정되어야만 한다. 실내시험에서 이용될 빛조건과 관련된 포장에 유입되는 햇빛은 토양의 6~9 mm까지는 투과하나, 토양속으로 투과된 빛은 햇빛의 조성과는 달리 6~9 mm까지는 적색광에 비하여 초적색광이 많으며, 그 이상의 깊이에서는 빛이 없는 암조건에 처한다.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이러한 깊이는 종자의 크기별 복토를 고려할 경우 종자크기가 2 mm 이하인 종은 백열등으로, 2~3 mm는 백열등 또는 암상태로, 3 mm 이상은 암상태로 발아시험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를 기준으로 2003년 말까지 국내 학회지에 수록된 파종전 약용작물 종자에 인위적 처리를 가한 문헌을 분석한 결과 종자크기에 관계없이 종자 발아기작과 관련된 발아시험의 빛조건이 적합, 부적합 또는 판단이 불가능한 비율이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종자크기별로 분석할 경우 파종전 인위적 종자처리에 관한 시험은 종자크기가 2 mm 이하인 종에 집중되었으며, 이러한 소립종자에서 처리 후의 발아시험은 22%가 적절한 빛조건에서 수행되었던 반면, 55%는 부적절한 빛조건에서 수행되어 졌다. 그러나 종자크기 가 2 mm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대립종자들에서 처리종자의 발아시험은 60% 이상이 적절한 빛조건에서 수행된 것과는 커다란 차이가 있었다. 약용작물은 2 mm 이하인 소립종자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입묘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파종전 종자처리를 설정할 경우 처리종자의 발아시험은 발아기작과 관련된 빛조건이 포장조건과 다를 수 있는 빈도가 높아 실내에서 도출된 시험결과가 포장에서 재현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국내학회지에 수록된 시험결과를 영농현장에 이용할 경우 소립종자일수록 학회지에 기록된 시험결과가 포장에서 유묘출현율로 연결될 수 있는 확률이 낮기 때문에 보고된 처리기슬 이용시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