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

        21.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investigated seed germination of Rheum undulatum L. depends on storage temperature (-20, 5℃ and room temperature), germination temperature (5, 15, 25 and 40℃) and a soaking treatment (no soaking, 2 days and 4 days).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from the germination rate of R. undulatum L. in storage temperature conditions for 8 weeks. The highest of germination rate occurred over 80 percentage at 25℃. When R. undulatum L. was soaked with tap water for four days, the average values of germination velocity and germination day were represented of 1.7 ea/day and 1.68 days. These results may help our understanding of variations in germination characteristics for R. undulatum L. seeds treated under various germination conditions.
        22.
        200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자귀나무의 종자의 주요발아촉진법인 열탕처리에 있어 구체적인 처리시간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각각 0.5, 1.0, 2.0, 3.0, 5.0, 10.0분 동안 열탕처리된 종자와 무처리 종자, 24시간 침지종자의 발아특성 및 수분흡수특성을 비교한 결과, 발아율의 경우 열탕처리시 그 효과가 현저하였으며, 특히, 2.0분에서 그 효과가 가장 뛰어나 적정처리시간으로 판단되었다(p〈0.01). 그러나 평균발아일수는 무처리구와 처리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02). 즉, 시간별 열탕처리는 자귀나무 종자의 발아소요일수 단축에는 효과가 없었다. 발아속도 및 발아균일지수는 발아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흡수특성 중 수분흡수율과 수분흡수속도상수는 무처리구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발아특성과 수분흡수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발아특성 중 평균발아일수를 제외한 모든 특성이 수분흡수율 및 수분흡수속도상수 (24시간 침지)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r=0.854~0.931, p〈0.01). 그러나 초기수분흡수속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한편, 발아특성들 간에는 평균 발아일수를 제외하고 모두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으며(p〈0.01), 수분흡수특성들 간에는 수분흡수율과 수분흡수속도상수만이 상관성을 나타내었다(r=0.9508, p〈0.01).
        24.
        199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황칠나무의 자생지인 전남 완도지방에서 황칠나무의 재배시 종자의 발아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황칠나무의 열매는 핵과로서 자방의 길이가 7.8~10.7mm였으며, 자방폭은 6.9~9.0mm의 타원형이었다. 자방은 5실로 구분되어 있었고, 1실에는 각각 1개의 종자가 형성되었다. 따라서 자방 1개에는 5개의 종자가 들어있으며, 5개의 종자중의 1개종자는 배유가 형성되지 않은 무배유 종자로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황칠나무의 종자는 길이가 6.3~7.4mm였으며, 종자폭은 2.0~2.9mm이었고, 종자의 100립중은 1.43~1.80g이었다. 황칠나무 종자의 발아율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채종 즉시 가을파종은 40℃온탕에 90분~120분간 침지한 후 파종을 하면 종자의 발아율이 향상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종자 저장후 봄파종은 10℃의 온도에 60일~90일정도 저장한 후 파종하면 발아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26.
        197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방사선조사시 열처리의 효과를 알기 위하여 수도종자에 방사선조사시 열전후처리를 행하였던바M1 세대의 생물학적인 반응 및 M2 세대의 변이율에 대해 몇가지 결과를 얻었다. 1. 방사선선량 20kR에서 열전처리는 방사선단독조사에 비해 생물학적인 장해를 적게하고 변이율을 증가시켰다. 2. 방사선단독조사 및 조사전열처리에 비해 heat shocking으로서 열후처리하는 것은 변이율을 증가시켰다. 3. 열전처리에 의해 M1 세대의 장해가 적고 변이율이증가되는 가장 효과적인 열처리온도 및 시간은 60℃ 에서 30분간이었다. 4. 열처리는 방사선단독조사에 비해 mutation spectrum을 달리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