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7

        22.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tra-thin films of amphiphillic squarylium dye were prepared on the hydrophillic substrate by Langmuir-Blodgett(LB) technique. In this study, the photoelectric properties of a amphiphillic squarylium dye LB film was investigated. The visible light(λ = 684nm ) of xenon lamp was illuminated on the amphiphillic squarylium dye LB films and light absorptivity and photoconductivity were observed. The photoconductivity was nearly constant regardless of nominal layer number. The photoelectric properties of the amphiphillic squarylium dye LB films with bottom electrode showed better than that top electrode.
        4,000원
        23.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olyimide(PI) Langmuir-Blodgett(LB) ultra thin films were prepared by imidizing the PAAS LB films of PMDA and benzidine system with a thermal treatment at 250℃ for 30min, where the PAAS LB films were formed on substrates by using LB technique. The thicknesses of one layer of PAAS and PI LB film that deposited at the surface pressure of 27mN/m were 20.9 and 4A, respectively. At low electric field, ohmic conduction(I∝ V) was observed and the calculated electrical conductivity was about 4.23×10-15~9.81×10-15S/cm. The dielectric constant of LB film was about 7.0.
        4,000원
        24.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tra-thin films of organic charge transfer complex were prepared on a hydrophilic substrate by Langmuir-Blodgett(LB) technique. In this study, the photoelectric properties of a LB film consisting of (N-docosyl quinolinium)-TCNQ(1:2) complex was investigated. The visible light(λ : 700 nm) of xenon lamp was illuminated on the LB films and light absorptivity and photoconductivity were observed. The photocurrent increased linearly and was saturated at the light intensity of 23 μW/cm2.
        4,000원
        25.
        2000.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active DC magnetron sputtering 법으로 AISI 304 스테인레스강 기판 위에 TiN 극박막을 50nm∼700nm 두께로 증착한 후, 경화된 AISI 52100 강과 알루미나를 마모 상대재로 하여 박막의 미끄럼마모 시험을 상온 대기 중에서 행하고, 마모 상대재에 따른 TiN 극박막의 마찰과 마모 거동을 연구하였다. AISI 52100 강구를 마모 상대재로 한 경우, TiN 박막은 200g 이하의 마모 하중과 0.035m/sec의 낮은 미끄럼 속도 조건에서 500nm 내외의 극박으로도 마찰계수가 0.1 내외로 유지되는 우수한 내마모성을 보였다. 이같이 우수한 내마모성은 AISI 52100 강으로부터 천이된 Fe가 산화되어 TiN 박막 표면에 Fe 산화층을 형성한 때문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마모 상대재를 알루미나 볼로 한 경우에는 TiN 박막 위에 산화층이 형성되지 않고, 마모가 거의 되지 않는 알루미나 볼과 박막층 사이에 국부적 응력집중 등이 발생하여 시험된 전 조건 하에서 박막층의 박리 현상이 관찰되었고 높은 마찰계수가 측정되었다. 또한 기판의 평균 표면조도, Ra가 박막의 두께와 유사할 때 마찰계수가 급격히 상승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4,000원
        26.
        1999.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N-docosyl quinolinium)-TCNQ (1:2) 착물의 LB초박막을 제작하였다. LB막의 누적을 위한 최적조건을 구하기 위하여 subphase 온도, barrier 압축속도 및 분산량을 변화시키면서 표면압-면적(π-A) 등온선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전이비, UV-vis의 최대 흡광도, 정전용량 및 두께를 측정하여 LB막의 누적상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분자수준으로 잘 제어된 양호한 LB막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28.
        1998.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Ti 이중막을 급속열처리하여 형성한 CoSi2에 As+을 이온주입한 후, 500~1000˚C에서 drive-in 열처리하여 매우얇은 n+ p접합의 다이오드를 제작하고 I-V 특성을 측정하였다. 500˚C에서 280초 drive-in 열처리하였을 때, 50nm정도의 매우 얇은접합이 형성되었고, 누설전류가 매우 낮아 가장 우수한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Co 단일막을 사용한 다이오드에 비해 누설전류는 2order 이상 낮았으며, 이는 CoSi2Si의 계면이 균일하였기 때문이다.
        3,000원
        29.
        199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tra-thin films of hexyltriphenylphosphonium-TCNQ(1:1) complex were formed on various substrates by Langmuir-Blodgett technique, where hexyltriphenylphosphonium-TCNQ(1:1) complex was synthesized by attaching hexyltriphenylphosphonium group to TCNQ. The reaction product was identified with FT-IR, and UV-Vis absorption spectroscopies. The formation of ultra-thin films of hexyltriphenylphosphonium-TCNQ(1:1) complex was confirmed also by FT-IR, and UV/Vis absorption spectroscopies.
        4,000원
        30.
        199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olyamic acid alkylamine (N, N-dimethylhexadecylamine)(PAAS)염을 합성하여 그 합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PAAS염의 Langmuir막의 π-A 등온선 및 표면 전위 특성 등을 조사 하였다. Langmuir-Blodgett법에 의하여 PAAS염의 LB막을 여러종류의 기관에 누적하였으며 누적여부를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및 적외선 투과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PAAS LB막을 열처리에 의하여 이미드(imide)화시켜 폴리이미드 LB막을 제조하였으며 그 이미드화 여부를 자외선 및 적외선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4,000원
        31.
        199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ltra thin organic films, (3-docosyl benzimidazolium)-TCNQ(1:1)complex, were deposited onto ordinary microscope slide glass substrates with a Langmuir-Blodgett technique. II-A isotherms were studied to find optimum conditions of deposition by varying temperature. Anisotropic de electrical conductivities were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They are about 5.21×10-12S/cm along the direction of film surface, and (2.73~4.40)×10-16S/cm in the vertical direction.
        3,000원
        32.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CdCl2 buffer solution as subphase for LB films deposition, it was achieved successively to fabricate the Y-type mixed LB films of (N-eicosyl pyridinium)-TCNQ(1:2) complex and arachidic acid. By measure of U.V spectra and capacitance, deposition status was confirmed. Electrical conductivity was measured on a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LB films and in consequence of calculated was average 2.5 × 10-13 - 2 × 10-14 S/cm.
        3,000원
        34.
        198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docosyl pyridinium)-TCNQ(1:1) complex was synthesized by reacting N-docosyl pyridinium bromide and LiTCNQ. This complex was investigated and confirmed by elemental analysis. U.V, I.R spectra. A stability to the dispersion solvent, which is acetonitrile, dichloromethane, benzene, chloroform and acetonitrile-benzene (1:1, V/V) of (N-docosyl pyridinium)-TCNQ(1:1) complex was investigated by U. V spectrophotometer and was confirmed stabilized on acetonitrile, benzene and acetonitrile-benzene(1:1'V/V) for 7 hours. Using ultra pure water as subphase for L-B film deposition, the Y-type L-B film of (N-docosyl pyridinium)-TCNQ(1:1) complex was farbricated. The electrical conductivities on a perpendicular direction of the L-B film were measured to be 5×10-5~5×10-14S/cm according to the number of layer.
        4,000원
        35.
        201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제성장 및 물류증가로 인하여 장대교량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장지간을 가진 교량 건설을 위해서는 자중 감소가 필수적 이며, 이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초박층 포장재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 설계기준을 살펴보면, 이전 도로교설계기준(2010) 에서는 포장이 가지는 강성을 강바닥판에 고려하지 않아 보수적인 설계가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 개정된 설계기준인 도로교설계기준(2012, 한 계상태설계법)에서는 일정한 조건 하 포장이 가지는 강성을 강바닥판에 반영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하지만 초박층 교면포장이 강바닥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진행된 연구 또한 거동 특성 및 피로응력에 대한 연구로 한정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포장강성 의 반영/미반영, 교면 포장재료, 포장 두께 및 강바닥판 두께를 매개변수로 하여 이에 따른 강바닥판의 처짐과 전단응력의 변화 및 추세를 알아 보고 또한 이를 바탕으로 강바닥판에 초박층 교면포장 강성 적용의 효율성을 알아보았다.
        36.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se on Korean design code, previous design code had not considered the effect of pavement on the orthotropic steel deck, however recent design code(Limit State Design Method, 2012) allowed to consider the effect of pavement on the orthotropic steel deck, and efforts to apply the stiffness of pavement to the deck continue. Meanwhile, research on the effect of ultra thin bridge deck overlay on the orthotropic steel deck is inadequate, previous study was limited in about fatigue stress and performance between pavement layer and the orthotropic steel deck. In this study, according to changing of pavement layer stiffness application, pavement materials, pavement thickness and steel deck thickness, analysis of shear stress. In addition to base on this result, consider effectiveness of ultra-thin pavement stiffness application on the orthotropic steel deck.
        37.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국내에서 개발 중인 초박층 교면포장용 폴리설파이드 에폭시 폴리머 콘크리트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국내로의 적용 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되었다. 바인더와 폴리머 콘크리트의 배합실험을 통해 폴리머 콘크리트의 최적 배합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배합비율로 생산된 폴리머 콘크리트에 대하여 압축, 휨, 부착 강도 시험을 수행하여 강도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동결 융해 저항성 시험을 통해 폴리머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강도 시험 결과, 우수한 강도 성능과 휨 추종성을 나타내었고 미국콘크리트학회에서 제시하는 모든 강도 기준을 충족하였다. 또한 다양한 온도에서의 강도 시험에서도 기존의 재료에 비하여 개선된 성능을 나타내었다. 동결 융해 시험 및 동결 융해 과정을 거친 시편의 강도 시험 결과, 폴리머 콘크리트의 내구성에는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폴리머 콘크리트는 초박층 교면포장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 민감성도 개선되어 기존의 초박층 교면포장 재료에 비해 폭 넓은 적용성을 갖춘 것으로 판단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