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7

        21.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consider a two-machine re-entrant permutation flowshop scheduling problem with the objective of minimizing total flowtime, and suggest branch and bound algorithms for the scheduling problem. In this scheduling problem, each job must be p
        4,000원
        23.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엽절제 정도에 따른 넓은잎큰조롱의 수량 및 품질을 구명하여 재배법 확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주재배에 따른 경영비를 절감하고자 경엽절제 비율 10% 등 5처리를 두어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지주재배(관행)에 비하여 무지주재배에서 경엽생육이 저조하였으며, 무지주재배 간에는 경엽 절제비율이 적을수록 줄기길이는 길었으나, 줄기굵기와 분지수는 절제비율이 많을수록 굵거나, 많은 경향이었다. 나. 엽폭은 경엽 절제비율이 적을수록 넓은 경향이었으나, 엽록소 함량은 경엽 절제비율이 많을수록 많은 경향이었다. 다. 근 생육은 지주재배에서 양호하였으며, 무지주재배에서의 상품수량은 경엽무절제 559 kg/10a 대비 경엽 10~20% 절제에서 9~13% 증수되었다. 라. 지주재배에 따른 경영비를 절감하기 위한 무지주재배시 최적 경엽절제비율은 20%이었다.
        4,000원
        24.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considers the simultaneously firing model for the artillery operation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optimal fire sequence minimizing the final completion time of the firing missions of multiple artillery units for multiple target
        4,000원
        25.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단감 '부유'를 대상으로 과실 비대 및 착색 증진에 위한 결박 처리 시 가지 종류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고자 결과모지, 부주지 및 주지에 철사를 이용하여 결박 처리하였다. 철사 제거 직후 6주 동안 과실 직경과 과피색 a값은 무처리에 비해 결과모지 및 주지 결박처리에서 더 많이 증가하였지만 부주지 결박처리에서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박 처리 8주 후 수확된 과실을 처리하지 않은 과실과 비교하면, 과중은 모든 결박처리에서 더 무거웠는데 특히, 주지 결박처리에서는 월등히 무거웠다. 과고는 주지 결박처리에서만 더 높았고, 과경은 결과모지 및 주지 결박처리에서 더 길었다. 과실 당도는 결과모지 및 부주지 결박처리에서 다소 높거나 비슷하였으나, 주지 결박처리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과피색 a값은 결과모지 및 주지 결박처리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이와 반대로 과피색 b값은 낮게 나타남으로써 Chroma값은 결과모지 및 부주지 결박처리에서 높게 나타났다. 과피 내 라이코펜 및 베타카로틴 함량은 부주지 및 주지 결박처리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지만, 결과모지 결박처리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 엽록소 함량은 모든 결박 처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4,000원
        26.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ide-issue superscalar processors, it is essential to increase the width of instruction fetch and the issue rate. Removal of control hazard has been put forward as a significant new source of instruction-level parallelism for superscalar processors and the conditional branch prediction is an important technique for improving processor performance. Branch mispredictions, however, waste a large number of cycles, inhibit out-of-order execution, and waste electric power on mis-speculated instructions. Hence, the branch predictor with higher accuracy is necessary for good processor performance. In global-history-based predictors like gshare and GAg, many mispredictions come from commit update of the branch history. Some works on this subject have discussed the need for speculative update of the history and recovery mechanisms for branch mispredict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mechanism for recovering the branch history after a misprediction. The proposed mechanism adds an age_counter to the original predictor and doubles the size of the branch history register. The age_counter counts the number of outstanding branches and uses it to recover the branch history register. Simulation results on the SimpleScalar 3.0/PISA tool set and the SPECINT95 benchmarks show that gshare and GAg with the proposed recovery mechanism improved the average prediction accuracy by 2.14% and 9.21%,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IPC by 8.75% and 18.08%, respectively over the original predictor.
        5,200원
        27.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 inoculation position of Neoseiulus californicus for control of Tetranychus urticae on apple branch.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green house conditions. N. californicus was inoculated at different position (Top, Middle and Bottom) of apple branch with a 20:1 ratio (T. urticae:N. californicus). Overall, N. californicus significantly reduced T. urticae numbers in the treatment branches than in the control branch. At 10th day, the T. urticae population was most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treatment ‘Top’ in which N. californicus were inoculated on the leaf positioned in the top of a branch than in other treatments. At 20th day, most of T. urticae were exterminated in all treatment branches. The daily movement of N. californicus and T. urticae,and their coexistence on apple branch was monitored. Adult N. californicus disappeared from the branch as soon as T. urticae were exterminated in the treatment branches. The result indicates that N. californicus disperse downwards more than upwards in the tree, and the most effective inoculation position for N. californicus for control of T. urticae is the leaves positioned in the top of a branch.
        28.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a best-first branch and bound algorithm based upon the bottom-up approach for the unweighted unconstrained two-dimensional cutting problem is proposed to find the optimal solution to the problem. The algorithm uses simple and effective meth
        4,000원
        30.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search the effect of Cryptomeria japonica sawdust and branch on the Production of Fruiting body of Pleurotus eryngii. Quantity of fruit body was lower in 5.2things/ bottle but yield of fruit body was higher in 3.5things/ bottle about big fruit body than Douglas-fir sawdust medium on C. japonica sawdust medium, so yield of fruit body was more 45g than Duglas-fir sawdust medium. But in the C. japonica branch sawdust medium, both quantity of fruit body and yield of fruit body was remarkably lower 13.3things/bottle, 42.8g/bottle respectively than Duglas-fir sawdust medium.
        31.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로주변에 식재되어 있는 프라타너스(버즘나무)는 매년 늦겨울이나 이른 봄에 가지를 전정하는데, 이것은 대부분 땔감 등 활용가치가 적어 본 연구는 프라타너스의 전정가지를 톱밥으로 제조하여 느타리버섯의 새로운 배지재료로 활용가능성을 검토한 결과 배지재료별 균사생장량은 프라타너스톱밥+쌀겨(9 : 1)에서 30일간 배양할 때 12.8cm로 가장 많은 생장을 보였고, 프라타너스톱밥+쌀겨(6 : 4)를 제외한 기타배지들의 균사밀도는 높게 나타났다. 생육 전·후의 배지재료별 무기성분중에서 T-N, P2O5, K2O함량은 모든 배지에서 생육 후 감소 하는 경향이었다. 자실체의 무기성분은 프라타너스톱밥+쌀겨(9 : 1)에서 T-N, K2O, CaO, MgO함량은 다른 배지 보다 높았으나, P2O5함량은 미송톱밥+쌀겨(8:2)에서 0.92%로 가장 많은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균사배양일은 배지재료에 따라 26∼37일로 큰 차이를 보였고, 프라타너스톱밥+쌀겨(8:2)는 대조구인 미송톱밥+쌀겨(8:2)보다 유효경수, 대직경 및 대길이가 길어 병당(850cc) 88.6g으로 18%증수하였다.
        3,000원
        34.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육성 품종인 3년생 '홍로'와 도입 품종인 4년생 '갤럭시갈라' 사과를 대상으로 정아 고사 시 장과지 및 액아의 활용 가치를 알아보고자 결과지 길이 및 꽃눈 위치 따른 개화 및 과실 특성을 조사하였다. '홍로'와 '갤럭시갈라' 모두 개화시, 만개기 및 낙화기는 20 cm 이상 결과지에서 5 cm 미만과 10~15cm 결과지보다 다소 늦었다. 화총당 꽃수도 때 정도 적었다. 과중, 종자수, 당산비 등 대부분의 과실 특성은 5 cm 미만과 10~15cm 20 cm 이상 결과지보다 높았지만, 당도와 산 함량은 반대의 경향이었다. 20 cm 이상 결과지의 정아와 액아 간 대부분의 과실 특성은 액아에서 좋은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홍로' 사과의 종자수, '갤럭시갈라'의 Hunter a값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리고 두 품종 모두 과중과 종자 간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아 고사 시 장과지로 대체 활용할 수 있고 '갤럭시갈라'의 경우 액화아의 이용도 가능하였다.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