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3

        2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gricultural cooperation of Central Asian countries selected as the 3rd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iority countries based on the New Northern Policy. This study classified the types of agricultural cooperation by country and established cooperation strategies based on SDG2 in the Voluntary National Review (VNR) of ODA priority countries in Central Asia. First, 'Aid first'-Tajikistan, Kyrgyzstan should attempt to exp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through ODA and agricultural technology cooperation. Second, 'Economic cooperation'- Ukraine, Uzbekistan should be carried out to promote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and investmen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attempt agricultural minilateral triangular cooperation centered on Uzbekistan for effective development.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strategies and approaches for agricultural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entral Asia's ODA priority countries for the future.
        4,000원
        22.
        202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order to cultivate manpower for the growth of future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dustry-academic-linked curriculum and a cross-curriculum beyond the existing tradi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theory acquired through the mixed curriculum of existing and industry-academic-linked curriculum, a curriculum that can analyze and solve the problems of resource circulation supply chain companies is developed to cultivate manpower suitable for future industries. The industry-academia-linked subject mixed project curriculum was designed asa basic theory, exploration, and problem-solving subject. The basic theory-related subject models and evaluates the current problems of resource circulation compani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pply chain in consideration of the supply chain necessary for the manufacturing process related to resource circulation. The search-related subject explores and evaluates field problems (difficulty technology) of companies related to resource circulation. Problem-solving-related subjects solve problems by applying methodologies to field problems of companies related to resource circulation. This curriculum was developed to model and solve problems through a complex perspective by developing an industry-academic-linked project curriculum and cross-subject development with other schools to solve complex field problems that need to be considered for the growth of future industries related to resource circulation. Throug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project subjects and cross-curriculars, we expect development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and supply chains for resource circulation by fostering talents suitable for the acceptance of companies.
        23.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로나19라는 전 지구적 위기 발생 이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관 련 논의에 새로운 접근이 요구되었다. 특히 재원 발굴, 정책 효과성 문제 해결을 위한 개발 파트너십 확대 필요성이 논의되면서 인적·물적 자원,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주요 행위자로 대두되었지만 SDGs 이행 과정에서 기업의 역할에 대한 학문적 논의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개발 파트너십 의 개념과 등장 배경, 기업이 주목받는 원인을 소개하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국제개발협력 관점에서 분석하여 개발파트너십 확대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밝히고자 하였다. 주주 중심론, 이해관계자 중심론, 기업 시민론적 관점을 통합한 이론적 분석틀을 토대로 기업의 ESG와 SDGs의 연계를 제안하여 개발파트너십 확대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기업이 개발 파트너십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는 SDGs 이행참여 를 통한 ESG 성과 향상이 ESG 투자 확대를 유발한다는 주주 중심론,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를 창출한다는 이해관계자 중심론, 기업의 ESG 목 표와 SDGs의 연계가 국제규범과의 정합도를 향상시킨다는 기업시민론적 논의를 통합하여 기업에게 제공할 유인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8,900원
        24.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main purpose of the Bilateral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 is to obtain the prior consent of suppliers in the case of peaceful use of items covered by the agreement, application of IAEA safeguards, reprocessing, enrichment or transfer to a third country. Reports on inventory changes and status for mutually transferred obligated items should be exchanged annually. According to the Agreement, items subject to bilateral agreement information must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prior to direct or indirect transfer of controlled items. And the importing country proceeds with prior confirmation. After that, upon receipt of the target item, shipment notification and shipment confirmation are made, and an annual report on the target item is made. Such as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annual reporting and management of obligated items are made centered on institutions that use a lot of nuclear materials. But there are cases of delays in the agreement work due to the implementation, and discrepancies in data are occurring in the process of checking inventory details of obligated items. In addition, it was difficult to check the inventory of items subject to the agreement and the status of Export and Import status online, making it impossible for managers to monitor all aspects of bilateral agreements. Currently, there is generated to inconsistent in information between the annual report and the international transfer report in terms of Export and Import control. To solve these problems, KAERI is aim of promoting transparency in the international nuclear power sector and enhancing national reliability. And It is planning to establish an Export and Import management system for items subject to bilateral. In order to ensure the accuracy, it is going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methods such as new registration for new institutions when exporting and Importing items. This has the ultimate purpose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agreement items through the systemization of the database of agreement items and the managemen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agreement based on the sincere and timely implementation of the agreement.
        25.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der the bilateral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s (NCA) and its administrative arrangement (AA), Korea annually exchanges the inventory of subject items (including nuclear materials (NM), non-nuclear materials, equipment, and related information) with US, Canada and Australia. Also, the government performs export control procedures such as notification or prior consent during importing and exporting of relevant items. It makes NCA a means of realizing the nuclear non-proliferation regime. However, it raises difficulties in management because the entity that uses and treats those items are end-user, not the authorities of AA, the government agency of each country. Accordingly,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effectiveness of item management at the national level,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 for the individual company that has the NCA ite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any. In this study, significant companies are classified into more than three types, and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items subject to the agreement is analyzed. Each company’s item management status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its role (position) within the entire nuclear fuel cycle, the type of facility, its possessed items, the main form of national trade, and the frequency of domestic movement. Those differences lead to diversity in the management systems currently owned by each company. For example, from the perspective of nuclear materials, institutions requiring bulk management have systematically organized their management system and obligation code program compared to the ‘item institutions’ that can track batch history for all facility inventory changes. Although Domestic law imposes only the duty of origin management on NMs, fuel manufacturers or research institutes have established their standard obligation codes to manage multiple obligations. The non-nuclear materials and equipment can be easily tracked and controlled by individual items. However, the management of NCA items is a complicated task involving various processes, from importing goods to using, storing, managing inventory change, selling to others, or fulfilling the obligations of AA when exporting. In particular, when the movement of items within a company or international trade occurs frequently, or when the end-users are diverse, the management difficulties increase. So a system that can accurately convey and track items subject to the AA is needed. In addition, since various entities are related, it is necessary to improve understanding of NCA items to increase the system’s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The comparison result and requirement for system improvement based on the review above will be reflected in the history management system for items subject to NCA under development.
        26.
        2022.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Korea-Africa Food and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KAFACI) has been cooperating with AfricaRice since 2014 for the eradication of hunger and poverty in Africa through sustainable agriculture and its industrialization. At first, rice breeding activities for staple food production started with KAFACI member countries by sharing high-yielding Tongil-type rice breeding lines and varieties. The Africa Rice Development Partnership project entitled “Enhancement of high-yielding rice germplasm and breeding capacity of rice producing countries in Africa” is implemented for the period from 2016 to 2025 with three phases. The actual rice breeding activities have been conducted by applying anther culture haploid breeding technology in the laboratory and field of AfricaRice Saint-Louis center. The 1,547 elite lines selected through participatory variety selection were distributed to 21 national breeders of KAFACI member countries. These lines derived from the 1,181 cross combination and 34,616 breeding lines on Korea and AfricaRice germplasm crossed. Among them 11 new Tongil-type rice varieties have been selected and registered in the national variety catalogue of Senegal, Mali, Rwanda, Malawi, and Tanzania.
        27.
        2022.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과제는 아시아지역 AFACI(Asian Food & Agriculture Cooperation Initiative) 회원 13개국을 대상으로 토마토 또는 고추 품종육성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AFACI 회원국 별 채소 육종 및 종자 생산, 가공, 유통 기술 수준 차이가 크다.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의 회원국에서는 자가 종자 생산이 어려워 필 요 종자의 70~80%를 다른 나라에서 수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AFACI 회원국들의 자가 종자 생산기술 향상을 통한 자체 종자 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회원국들의 요 청을 받아 고추 또는 토마토 작목의 품종육성 기술지원을 수행하였다. 회원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재래종 자원들의 수집, 평가 및 선발과 세계채소센터에서 육성한 자원들을 공급받아 육종 재료로 활용하였다. 본 과제는 2019년 1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1단계 과정을 통해 회원국별로 다양한 성과들을 창출하고 있다. 효율적인 기술지원을 위해 세계채소센터 전문가들을 활용하여 육종 기술과 재료 들을 공급하였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확보된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한 우수 고 정종 품종 등록과 일대잡종 품종육성 기술을 지원할 계획이다. 육성된 품종들은 국가별 품종 등록 절차에 따라 품종보호출원 및 농가 보급을 추진할 계획이다. 1 단계에서는 코로나 19로 인한 대면 교육이 불가능하여 국내 종자회사들과의 소통 이 어려웠다. 하지만 2단계에서는 대면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국내 채소 종자 업 체와 회원국의 연구원들 간의 소통을 확대하여 국내 종자 기업들의 해외 진출에 도 기여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28.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시점 이후 한·EU간 외교안보협력전망을 다양한 이슈를 바탕으로 도출하는데 있다. 우선 미·중 갈등의 맥락에서 볼 때 EU가 미국과 대부분의 협력을 함께하고 중국과의 체제적 경쟁자 구도가 지속 될 것으로 전망된다. EU는 한국과의 안보협력 가능성은 어 느정도 존재할 것으로 간주 된다. EU와 미국의 인도·태평양지역의 전략 적 접근의 중첩사례를 관찰한 결과 환경과 신(新)안보 분야의 협력이 강 화 될 것으로 전망한다. 브렉시트 이후 EU와 영국은 새로운 관계를 구 축하기 위한 초기단계에 진입했다. EU는 한국과 기존에 가지고 있던 협 력의 틀을 그대로 활용할 가능성이 크고 영국과 같은 경우 미국과 협력 해 한국과 새로운 외교안보 협력을 본격화 할 것으로 전망된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 한국과 EU는 군사협력 보다는 국제사회의 일원 으로서의 제재에 동참하는 수준의 협력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향 후 양자간 외교·안보 협력은 사안과 양국간 처해있는 상황에 근거해 유 동적으로 변화할 확률이 높다.
        6,100원
        29.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글은 EU가 문화교류를 통해 추구하는 함의를 이해함으로써 포스 트 코로나(COVID-19) 이후, 한국과 유럽연합(EU)과 효과적인 문화교류 와 협력 방향을 찾고자 한다. EU 대외관계에서의 문화는 국제사회에서 우위에 있는 자산이자 소통의 수단, 경제적 효과를 유인하는 매개체로 인식된다. 2021-2027 Creative Europe에 근거하면 EU는 코로나 위기를 회복하고 사회를 재건하기 위해 초국가적 교류 확대와 디지털 문화협 력에 역점을 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국이 EU와의 교류를 실리 적이고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다음 이슈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예술가와 예술작품의 자유로운 이동성을 위한 제도 개선 문제이다. 최 근 국제문화교류는 단순히 작품의 유통을 넘어 예술가 이동, 현지 커뮤 니티와의 관계를 통한 지속성을 추진하는 경향을 보인다. 창작·제작· 유통·소비와 같은 일련의 작업이 동시적으로 발생하므로 이동성의 제 약을 넘어서는 다양한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동제작이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실질적 지원 확대와 시청각 영역에서 디지털 문화협력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EU의 제약과 조건이 협력의 장벽이 되기도 하나 코로나 이후 EU의 적극적인 지원정책이 예 상되므로 디지털 생태계에서의 협업 프레임워크를 마련해 나가야 한다. 이렇듯, 문화협업을 위한 일련의 환경조성은 유럽과의 연대를 강화하는 효과적인 접근으로 작동할 것이다.
        7,800원
        30.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럽 그린 딜 정책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경기침체 회복을 위한 중요 열 쇠이자, 유럽의 새로운 성장 전략으로 묘사된다. 그린 딜 정책의 실효성을 제 고하기 위해 경쟁정책도 예외가 아니다. 2021년 오스트리아는 유럽회원국 가운 데 처음으로 카르텔 금지 예외 규정에 지속가능한 환경적 측면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오스트리아의 환경친화적인 경쟁정책은 유럽 그린 딜 정책과 맞물려 지속가능한 환경 협정에 대한 유럽 경쟁법 집행의 나침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포스트 코로나 시대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의 관점에서 EU 회 원국이나 우리나라 기업들이 서로 협력하여 환경적 가치를 지닌 시장 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그러한 행위의 경쟁법상 판단을 둘러 싼 우리나라와 EU의 경쟁당국 간의 협력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점 에서 양 경쟁당국의 경쟁정책 간 충돌을 예방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 시장경 제의 조화 속에서 환경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오스트리아의 경쟁정책 과 같이 우리나라도 지속가능한 경쟁정책의 지평을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6,600원
        31.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orth Korea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lated to environmental agreements. It has proposed various environmental policies internally since the Kim Jong-un regime. In particular, it emphasizes activities related to climate change respons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the conservation of ecosystems including forests and wetlands. In this study, a new security cooperation plan was proposed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limate crisis and environmental regime as a starting point. To this end, trends and recent activities for climate-environment coopera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analyzed. In addition, North Korea’s conditions for coop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technology demand, and the projected future environment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dealt with. Ultimately, through advice of experts, we were able to discover cooperation agendas by sector and propose short-term and long-term environmental cooperation strategies for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m. In this study, conditions and directions for cooperation in fields of climate technology, biological resources, air/weather, water environment, biodiversity, renewable energy, bioenergy, and so on were considered comprehensively. Among 21 cooperation agendas discovered in this study, energy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areas. Renewable energy,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al and meteorological information stood out as agendas that could be cooperated in the short term. As representative initiatives, joint promotion of ‘renewable energy’ that could contribute to North Korea’s energy demand and carbon neutrality and ‘forest cooperation’ that could be recognized as a source of disaster reduction and greenhouse gas sinks were suggested.
        4,800원
        32.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변화를 유발하고 있는 미-중 전략경쟁 속에서 미국과는 전통적 안보 관계를, 중국과는 중국의 경제적 부상과 함께 상당한 수준의 경제적 상호의존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한국과 유럽 연합이 경제안보 영역에서 공동 대응을 통해 협력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중 전략 경쟁의 심화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 한 2차 세계대전 이후 형성되어온 자유주의 국제경제질서를 흔들고 있 다. 그동안 세계화로 인한 상호의존의 확대를 통해 세계경제의 성장을 견인해온 글로벌 공급망은 역으로 상호의존성으로 인한 취약성을 무기로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국가 안보의 위협요인으로 등장하며 경제안보 논의의 중심에 서고 있다. 이렇게 경제안보의 범위는 글로벌 공급망 (supply-chain) 불안, 디지털·기술혁신 분야의 무한 경쟁 등 다양한 영 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유럽연합은 개방된 전략적 자율성 개념을 통해 안보와 방위를 넘어서는 무역과 산업, 디지털화, 기후변화, 보건 등의 의 제를 우선순위로 설정하며 포괄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과의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7,700원
        33.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EU는 무역협상에서 신통상이슈 및 비무역의제(NTA)를 통한 규범 확산을 주도해 왔다. 무역협상에서 선진국이 관세 등 무역 이외의 이슈인 NTA를 포함시키는 일은 오랜 기간 논란의 대상이었다. 이는 무역과 직접 적으로 연관이 없는 사회규범과 법·제도가 무역협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타당한 가에 관한 논쟁이다. 이를테면 협상대상국의 노동법, 환경규제, 외 국인직접투자에 대한 규칙, 국영기업 운영 현황이나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비무역 이슈들이 무역협상 라운드에 포함되어 왔 다. 본 논문은 무역협상에서의 신통상이슈 및 NTA 확산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필자는 EU가 추진해 온 NTA 확산 현황을 조 사하고, 규범 영역에서 NTA가 어떻게 이슈 범위를 확장하고 있는가를 분 석하였다. 그 동안 EU는 NTA를 역내 시장을 보호하고, 다양한 이해관계 를 조정하는 도구로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삼차원게임이론에 관한 신진연 구에서도 NTA확산이 EU의 통상협상 전략이자 방향성임을 확인할 수 있 었다. 개발도상국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NTA가 무역협상에서 빠질 수 없는 요소로 등장하였다면, NTA의 확산 과정과 정당화하는 규범 형성 (norm creation)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6,700원
        34.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purpose, corporate readiness, and acceptance of changes that may occur in the course of expert guidance on the performance of smart factory. For this study, 129 questionnaires obtained from SMEs participating in the Smart Meister support project were used, and SPSS 18.0 and the AMOS 18.0 program were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for empirical analysis of the hypotheses test. It was found that the company's business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readiness statu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cceptance and cooperation of changes that occurred during the consulting process. In addition, the acceptance and cooperation of changes within the compan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with the Meister support project and the financial performance.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Meister support project need to clarify their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and make stable corporate readiness in advance. In addition, based on the CEO’s support, it is necessary to have a motivational program and to build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actively accept innovation.
        4,000원
        35.
        2022.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의 탄소중립 문제는 시일을 미룰 수 있는 문제도 아니며, 북한 과의 협력 없이 우리 단독으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문제도 아니다. 북 한의 기후변화대응 능력 강화를 지원하고 한반도 탄소중립을 위한 대응 체계를 마련하는 것은 남북 모두에게 직접적 이익이 있을 뿐 아니라 다 른 분야로의 교류와 협력이 연계, 확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중장 기적으로는 통일비용을 감소하고 한반도의 평화에도 기여하게 될 것이 다. 새 정부 출범에도 남북관계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는 상황에서 대화의 계기를 마련하고,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교류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환경협력이 사실상 유일한 이슈일 수 있다.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문제는 북한 역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해 왔으며 여러 국제기후협약 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는 점에서 더욱 긍정적이다. 2021년 시행된 파리협정이라는 국제환경협력 패러다임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 해서라도 지금부터라도 한반도 탄소중립을 위한 남북공동대응체계 구축 이라는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고,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남북 그린데탕트 구현’을 제도화하려는 노력이 절실할 것이다.
        7,800원
        36.
        202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벤처기업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내부 역량 구축에는 자원과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공동연구, 네트워킹 등 외부와의 협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 는 벤처기업의 산학협력 경험이 조직학습역량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자 하였다.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정부 R&D 투자가 벤처기업과 대학의 협력을 촉진함 으로써 조직학습역량을 강화하고 혁신성과를 창출하는 메커니즘을 실증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벤처기업의 산학협력 경험은 조직학습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은 대학과의 협력 및 자원 활용을 통해 내부 역량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실증분석 한 것이다. 둘째, 벤처기업의 조직학습역량은 혁신성과에 유의한 영향 을 미쳤다. 조직학습역량이 높은 조직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공유하는 문화를 가지 게 됨으로써 기업의 혁신성과 창출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벤처기업 창업자의 배태조직(incubator organization)에 따른 산학협력과 조직학습역량을 분 석한 결과 중소(벤처)기업 및 개인 경험 기반의 창업 그룹이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조직학습 역량과 혁신성과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벤처)기업과 개인 기반의 창업자는 대기업, 대학 및 연구소 창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기술역량을 보 유한 대학과 협력함으로써 기업의 조직학습역량 강화에 도움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는 벤처기업의 R&D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대학과 협력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할 것이다. 물론 벤처기업과 대학에 나눠주기식 지원이 혁신성과를 저해하고 있다는 비 판도 존재하지만 정부 투자는 기술 축적, 고급인력 양성, 혁신 네트워크 강화 등 무형자원 확 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기에 정부는 벤처기업의 성장을 위한 투자 전략성 강화를 위 해 정부의 권한을 적절하게 활용해야 할 것이다.
        7,000원
        37.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ROK conducts several export procedures, communications in connection with transfers; exchange of information on export plan, shipments, and receipt of nuclear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bilateral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s (NCA) and Administrative Arrangements (AA) signed with US, Canada, and Australia. Also, the inventory amount of items subject to NCA has reported annually. This study reviewed the export procedures and management methods for spent nuclear fuel subject to NCA. The re-transfer procedures start with obtaining consent from the original exporting country. It is impossible to retransfer nuclear material without consent, whether long-term or individual case-bycase. If the material has multiple obligations, prior consent from all of those countries is requi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foreign obligated materials correctly. In general, nuclear fuel is subject to multiple obligations of all countries through which the materials have passed during the front-end fuel cycle. Then the new obligations are imposed on those irradiated materials or their by-products after ‘used-in’ or ‘produced through the use of ’ equipment subject to NCA. For example, fuel assemblies manufactured under CANDU fuel fabrication equipment subject to ROK-Canada NCA or burned in nuclear reactors where US equipment is installed have obligations based on Canada or US agreements. In order to impose obligation to irradiated materials,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applied as stipulated in each Agreement. According to the AA between US and ROK, nuclear materials used in the equipment transferred under the Agreement and produced through them are differently controlled. After the cycle in the reactor with US-made equipment, uranium in the irradiated fuel is considered a material used in the equipment. So it would be appropriate to apply obligation proportionality according to its origin, regardless the US-made equipment. Meanwhile, the obligation under US NCA is given to the entire amount of produced plutonium in the irradiated fuel. Although the contribution to the production of fuel is to be discussed case-by-case basis in the case of Canadian obligation, applying a similar method is proper. Since the fuel is burned in the form of bundles or assemblies, it is impossible to separate the spent fuel into uranium and plutonium physically. However, as discussed above, to clarify the rights and obligations pursuant to Agreement and ensure accuracy in inventory management, the obligation codes should be imposed on irradiated fuel as not a single item but separated individual substance of materials. Moreover, when an obligation swap occurs for the irradiated fuel, its movement and combustion history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confusion in confirming multiple obligations and implementing export procedure.
        38.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April 2015,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igned a new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 (NCA). Subsequently, in April 2016, the Nuclear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NSSC) of the ROK and the Department of Energy (DOE) of the US signed the Administrative Agreement (AA) under the new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 Accordingly, when Korea imports items subject to the Korea-US agreement, it is required to determine the inventory of imported agreement items and notify the United States of the inventory amount every year. In addition, when re-exporting an agreement item to a third country, prior consent of the original exporting country (USA) must be obtained. Nuclear companies that import items subject to the Korea-US Atomic Energy Cooperation Agreement must report their inventory to the government every year, but the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managing the inventory are not clearly stipulated in the national law. This makes it difficult for the government to verify the adequacy of the report submitted by nuclear companies, adding to the administrative burden on both the government and the companies. Accordingly, it is required for the government to establish and operate a system for history management system for import and export items subject to the agreement so that related information can be recorded and managed at each stage, such as first import of items to Korea, generation, disposal, and exports to third countries. This system provides history management functions such as initial import information record for items imported through import/export procedures according to administrative agreements, change of owned company due to domestic movement, deletion of inventory due to loss/disposal, deletion of inventory due to export or addition of inventory due to derived materials. Through this system, operators can easily manage agreement items, and the government can obtain reliable information on agreement items in close to real-time. In addition, when this system applies to exports of items subject to the agreement, the number of items subject to the agreement exported by Korea can be provided first so that the importing country can more quickly check the items subject to the agreement.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control of the items subject to the agreement and reducing concerns over nuclear proliferation.
        39.
        202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Nuclear Safety Act defines items defined in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s with each country as internationally regulated materials and requires that import and export procedures be implemented according to each agreement. In particular, the US, Canada, and Australia, which are major nuclear power suppliers, describe detailed procedures related to imports and exports in administrative agreements attached to the agreement.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import and export procedures of agreed items in the three major countries and proposes procedures and precautions that nuclear companies should follow for smooth import and export. The import/export procedure, according to the annexed administrative agreement, is divided mainly into Direct-transfer, Indirect-transfer, and Re-transfer. Direct transfer refers to direct import and export between countries that have signed an agreement. The four-step process of prior notice, written confirmation, shipment notice, and receipt confirmation is commonly required for direct transfer. However, in the case of Canada, if the previously related information is the same, the shipping notification and receipt confirmation procedure may be omitted. Australia only defines items included in the notification without a separate form in the administrative agreement. Indirect transfer means transferring items originating from the other two countries that signed the agreement through a third country. All three countries stipulate that item transferred by indirect transfer are also subject to the agreement, and Canada stipulates separate advance notifications and shipping notifications for indirect transfer. Australia manages indirect transfers by including information from third countries in the exchange-related inform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US does not have a specific procedure for indirect transfer, but it is presumed that it was omitted because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time of shipment when the US exports through a third country. Re-transfer is a procedure to obtain consent from the original exporting country in advance when exporting items held in Korea to a third country. There are two types of consent based on re-transfer, the long-term consent method, and the individual case-by-case method. Long-term consent is a method of long-term consent for re-transfer to an agreed-upon country by agreeing in advance on a list of countries where re-transfer is possible. In the long term, the procedure will be reflected in domestic laws in detail and managed through an IT-based management system so that operators can smoothly implement such complex import and export procedures.
        40.
        202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은 2021년 10월 페루의 수도 리마에 한-페루 디지털정부 협력센터를 설립함으로써 한국형 디지털정부의 경험을 전수하게됨과 동시에 페루와의 심도깊은 디지털 협력 체계를 구축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대(對)페루 디지털정부 협력을 추동하는 요인을 제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 대외 원조의 결정 요인에 대한 기존의 문헌들은 공여국의 경제적 이익에 크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이전의 연구들은 정치적 관점에서 페루와 한국의 디지털 정부 협력을 설명하기 위한 적절한 분석 체계를 제공하지 못했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제관계학의 분석 수준(levels of analysis) 분석 틀을 활용함으로써 양국 간의 디지털 협력을 이끈 주요 정치적 동인을 검토한다. 본고는 국제적인 차원에서 한국을 디지털 정부 협력의 가장 좋은 파트너로 여기는 페루의 인식과 디지털 분야의 리더로서의 위상을 공고화함으로써 연성권력을 제고하는데 대한 한국의 적극적 관심이 교차점을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국내적으로는 디지털정부 추진 및 ODA 중점협력국의 전략적 선정 등 디지털정부와 관련된 국내의 정치사회적 동학을 양국간 디지털정부 협력을 이끈 주요 관련 요소로 간주할 수 있다.
        8,3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