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1

        21.
        199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폭시 수지 계의 경화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고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합성 pheny1 glycidy1 ether(PGE)-acetamide(AcAm)를 diglycidy1 ether of bispenol A(DGEBA)/4,4'-methylene dianiline(MDA)계에 도입하였다. PGE와 AcAm을 2:1의 몰비로 혼합한 후 180˚C에서 1시간 반응시켜서 PGE-AcAm을 합성하였다. 5phr의 PGE-AcAm이 첨가되었을 때 인장강도가 15% 개선되었으며, 그 이후로는 PGE-AcAm을 합성하였다. 5phr의 PGE-AcAm이 첨가되었을 때 인장강도가 15% 개선되었으며, 그 이후로는 PGE-AcAm의 함량에 관계없이 거의 비슷한 값을 나타내었다. 반면에유리전이 온도(Tg)와 충격강도는 PGE-AcAm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파단면은 PGE-AcAm이 첨가됨으로써 더 복잡한 형상을 나타내었다.
        3,000원
        22.
        1997.05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반응성 첨가제로 사용된 HQ-PGE가 DGEBA/MDA계의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충격강도와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HQ-PGE의 함량이 25phr일 때 충격 강도는 첨가되지 않았을 때보다 40% 증가하고, 인장강도도 약간 증가하였다. 이것은 HQ-PGE가 합성될 때 생성된 수산기가 자촉매 반응을 하면서 에폭시 수지의 미반응된 에폭시기와 반응한 결과로 사료된다. Young's modulus와 신장율은 HQ-PGE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3,000원
        23.
        1997.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DGEBA)/4,4'-methylene dianiline(MDA)/phenyl glycidyl ether(PGE)-acetamide(AcAm)/carboxyl-terminated acrylonitrile butadiene copolymer(CTBN) 계의 열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열중량 분석법(TG)을 사용하였다. 활성화 에너지를 구하기 위해 Freeman & Carrol, kissinger, Flynn & Wall 식을 사용하였다. Freeman & Wall 식을 이용하여 구한 활성화 에너지는 112.9 kJ/mol, Kissinger 식에 의한 값은 151.5kJ/mol 이었으며, Flynn & Wall식에 의해 구한 값은 168.3 kJ/mol 이었다.
        4,000원
        24.
        199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 (DGEBA)/4, 4' -methylene dianiline(MDA)에 hydroquinonepheny1 glycidy1 ether(HQ-PGE)를 첨가한 계의 경화반응 메카니즘 FT-IR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150˚C에서 경화반응이 일어날 경우 반응기간이 증가할 때 에폭시기와 히드록시기는 감소하였고, 에테르기는 증가하였다. 그리고, HQ-PGE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에폭시기의 소모량이 증가하였고, 유리 전이 온도가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HQ-PGE는 반응에 참여할 때 사슬 확장제와 반응 가속제로 작용함을 할 수 있었다.
        4,000원
        25.
        1995.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GEBA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MDA(4,4'-methylene dianiline)/SN(succinonitrile)계와 DGEBA/MDA/SN/HQ(hydroquinone)계의 경화반응 속도론을 Kissinger equation 및 Fractional life 법에 의해 85~150˚C에서 DSC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경화반응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반응속도는 증가하는 반면, 반응차수는 거의 일정하였다. 또한 촉매로 HQ를 첨가한 계가 첨가하지 않은 계보다 반응속도는 크게 증가했으며, 활성화 에너지 값은 약 20% 정도 감소하였다 또한, 경화반응 시작온도는 30˚C 정도 낮아졌다.
        4,000원
        26.
        1995.08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glycidyll ether of bisphenol A(DGEBA)/4, 4'-methylene dianiline(MDA)계에 반응성 첨가제 malononitrile(MN)을 첨가하면 내충격성은 크게 향상되나 반응속도는 감소하게 된다. 에폭시 수지의 경화반응은 에폭시기가 개환되어 생성되는 히드록시기가 촉매로 작용하는 자촉매 반응이며, 외부에서도입된 히드록시기도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GEBA/MDA/MN 계의경화 반응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히드록시기를 가진 촉매로서 hydroquinone(HQ)을 도입하였고 이들 계의경화특성 및 열적성질을 고찰하였다. HQ가 첨가됨으로 인해 활성화 에너지는 감속하고 속도상수는 증가하였으며, 발열곡선에서 반응 시작온도가 낮아졌다. 이 결과로부터 HQ가 반응 가속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000원
        27.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28.
        1993.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에폭시 수지를 개질하기 위하여 반응성 첨가제 Malononitrild(MN)을 Diglycidy1 ether fo vispenol A (CGEBA)/Methylene dianiline(MDA)계를 첨가하여 이 계의 경화 반응속도론과 경화반응메카니즘을 시차주사 열분석(DSC)과 적외선 흡수 분광법을 통해 관찰하였다. 경화반응속도론으로부터 MN으로 개질된 DGEBA/MDA는 완전히 경화를 이루기 위하여 80˚C로 부터 170˚C까지 30˚C간격으로 경화시킨 시료로 반응메카니즘을 고찰한 결과 PA(primary amine)-E(epoxide)그리고 E(epoxide)-OH(hydroxy1 group)반응 이외에 PA(primary amine)-CN(nitrile)과 CN(nitrile)-OH(hydroxy1 group)반응이 일어남을 알았다.
        4,000원
        29.
        1993.04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의 물성 중 담약성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반응성첨가제 succinonitrile(SN)을 Diglycidy1 ether of bisphenol A(DGEBA(-4,4'-methylene dianiline(MDA)계에 도입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리섬유 복합재료에 매트릭스로 사용될 경우에 있어서 파괴되는 거동을 미시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post debond friction 에너지가 파괴 거동을 주도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pull-out에너지 그리고 debonding 에너지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파괴 거동에 미치고 있는 중요한 요인은 섬유와 매트릭스 간의 경계면 전단 응력이 크게 좌우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 반응성 첨가제 SN은 전단응력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고찰되었다.
        4,000원
        30.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pton suppression 장치는 Compton 산란 반응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의 Compton continuum 부분을 억제함으로써 Compton continuum 영역 내에서의 감마선 피크들의 분석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표층토양 시료에서 검출된 인공 방사능인 137Cs과 자연 방사능인 40K핵종의 방사능 농도 값들에 대한 방사능 계수치가 백그라운드를 상회하는 측정값이 발생되거나, 불필요한 방해피크나 비해석 대상 피크에 대하여 검출된 표준선원의 방사능 농도 값들의 실측치에 대한 background를 비억제 스펙트럼(Compton Unsuppression)과 억제 스펙트럼(Compton suppression)을 적용시켜 측정 에너지에 대한 교정을 알고자 점선원인 137Cs을 거리별에 따라 측정하여, 몬테칼로 시뮬레이션과 비교 분석함으로서 효율적인 검출 능력을 얻고자 함이며, Compton 억제 인자를 보면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CSF 값이 클수록 더 많은 Compton suppression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고, 137Cs을 이용한 컴프턴 비억제 모드와 억제모드로 측정된 스펙트럼에서 컴프턴 연속에 의한 백그라운드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31.
        200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lumbo nucifera Gaertn.(family Nymphaeaceae) has been used for summer heat syndrome as home remedy in Japan, China and Korea. Although whole plant parts are edible, root is commonly consumed. It has been reported that rhizome extract showed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in spite of usefulness for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the effect of Nelumbo nucifera rhizome(NNR) on proliferation, migration and matrix degrading enzymes-matrix metalloproteinsases(MMPs), the expression of which degrades extracellular matrix(ECM) leading to metastasis, has not been fully elucidated. We examined the effect of hot water extract of NNR on th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secretion of MMP-2 and MMP-9 in rat smooth muscle cells(rSMC), epidermoid cancer cells(A431) and breast cancer cells(MDA-MB-231). The proliferation assay was carried out using MTT assay, the principle of which depends upon the conversion of MTT by mitochondrial dehydrogensases of viable cells to formazan crystals. The effect of NNR on migration of cells was examined using wound healing assay. Our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inhibition in th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expression of MMP-2 and MMP-9 in dose dependent fashion in all the cells used. Thus, we concluded that NNR could be used as traditional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wher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MMPs' expression plays a pathological role like in restenosis and metastasi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