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

        21.
        2007.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is no universally agreed classification of human error, nor is there one in prospect. Thus, a taxonomy is usually made for a specific purpose. To seek the types of human errors in the environment of man-machine interface under the railway industry, we develop a cognitiv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incorporating the human's mental states. Using the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ypes of human errors about the railway workers. Thus, a survey is conducted for railway safety personnel-locomotive engineers, station employees, and train commanders- in Korean railway company. Through the survey that is designed to investigate four types of human errors from the Questionnaires composed of thirty Questions, we analyze the types of human errors related to railway safety according to affiliated offices, operation shifts, age, and working years. Finally, from the insights of the results some guidelines for the railway safety management are presented.
        4,000원
        22.
        200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may be several factors influencing the safety performance of railway safety personnel. These include huma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ates, physical conditions about working environment, and workers' stress and fatigue etc. Some researches indicate that human personality is close connection with human error. This study focuses on the workers' personality which is one of psychological traits of railway safety personnel. Thus, we survey and analyze it for railway safety personnel-locomotive engineers, station employees, and train commanders-in Korean railway company. Through the survey that is designed to investigate eight safety personality factors from the questionnaires composed of seventy eight questions, we study the workers' personality factors related to railway safety according to affiliated offices, operations, age, and working years. Finally, after categorizing survey results into sixty six patterns, we explain an example to show a corresponding worker to the pattern result.
        4,500원
        23.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thesis is to develop a management plan and checklist by analyzing the prevention of accidents in advance by presenting the management plan for the major causes of railway accide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recent 5 years, we have analyzed the cases of railway accident, presented the management plan for the accident, and made a practical safety checklist focusing on the main measures according to the management plan. Results - The analysis of the cases of near-railway accidents suggests more concrete and practical safety management measures because the similar accidents are continuously occurring due to formal safety management. Conclusions - It is more valuable to apply to the adjacent construction of the railway line by creating a detailed checklist based on cases rather than the existing checklist. This study is written only as a human factor. For future real - time safety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precisely cause analysis and safety equipment as a big data - based safety control system for more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24.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t analyzed the construction cost of reinforcement in the railway bridge abutment, changing friction angle which is important factor in the railway bridge abutment design. In this study, As the friction angle was increasing, the member force that acts on bridge abutment footing decreases. The standard of main reinforcement size used in railway bridge decreased by depending on friction angle. 1. 서
        25.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진이 발생할 경우 장대레일교량에 있어 레일과 상판 간의 종방향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 해 석모델에 여러 하중조합과 함께 지진하중을 적용함으로써 대상 철도교량 레일에서의 축방향 부가응력과 레일-상판 간 상대변위의 변화를 산 출하였다. 해석 결과, 본 연구 대상 철도교량의 경우 철도시설공단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준응답스펙트럼을 적용할 때 레일부가응력은 대부분 의 하중조합에 대해 허용기준 내의 값을 보이고 있는 반면, 레일-상판 상대변위는 공단에서 제시하는 허용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레일-상판 상대변위가 레일부가응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허용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아울러 고베 대 지진과 같은 큰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면 레일부가응력과 레일-상판 상대변위는 허용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내진 대비 가 필요하다.
        26.
        201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15년도 개통을 위하여 호남고속철도 건설사업 건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노선은 차세대 고속열차의 HEMU-430X가 세계 최초로 주행하게 된다. 한편, 인근에 위치한 석회석 광산이 지속적인 발파작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더욱이 향후 연결통로 개설을 통하여 이 노선의 하부를 관통할 예정이다. 이 경우에 광산 발파로 인한 고속철도의 안정성과 열차주행으로 인한 광산 안정성 모두 검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광산 발파진동계측을 통하여 진동추정식을 작성하였으며, 광산발파로 인한 철도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계측결과 분석에 의한 계측관리기준으로 0.5 kine(cm/sec)을 설정하여, 광산 발파진동을 제어하고자 하였으며, 발파진동의 제어를 통하여 고속열차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광산의 발파패턴을 제안하였다. 또한, 고속열차 주행에 따른 진동이 광산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여 광산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27.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레일의 간격을 유지하고 레일에서 전달되는 열차하중을 도상으로 분포하는 역할을 위해 사용되는 철도침목으로는 목침목이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목재 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콘크리트 등 점차 새로운 재료로 대체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장 오랜 기간 사용되어온 목침목의 현황과 전망을 분석하고 대체재로 부상하고 있는 콘크리트, 플라스틱 등 다른 재료에 기반한 침목들의 장단점과 연구 개발 현황 및 미래 침목 시장을 예측하였다. 특히 침목과 관련한 세계시장 동향과 지역적 특수성을 감안한 각 권역별 특성을 기반으로 국내 시장 동향 및 향후 전망을 예측하였으며,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합성침목과 관련하여 국내 침목기술의 현황도 분석하였다.
        28.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일본에서 발생한 철도사고 사례를 중심으로, 안전기준의 개선에 의한 사고와 안전규정 준수에 의한 사고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안전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새로운 유형의 사고가 발생하는데 작용하는 예를 살펴봄으로써 위험요인의 진화 과정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운행 장애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안전기준의 개선에 의한 사고는 설계적 측면에서 2단계 설계 개념을 도입하여 안전기준을 강화하였지만 사후에 다른 부분에서 새로운 위험성 발견된 경우였으며, 안전규정 준수에 의한 사고는 매뉴얼대로 사고에 대응하였으나 오히려 사고의 피해가 커진 경우와 규정대로 운행하였으나 철도 차량의 기술 발달로 인해 신종 사고가 발생한 경우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설계개념을 도입하여 안전설계 기준을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기준을 초과하는 재난 및 사고가 발생할지라도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안전의식에 대한 교육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고는 아무리 노력을 기울여도 사고를 유발하는 위험 요인이 진화하기 때문에 새로운 위험성으로 작용하기도 하며,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상식이 오히려 위험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사고는 언제나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의식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교육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임의의 사고가 발생하여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훈련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는 철도기술 발전에 의해 시스템이 개선되면서 생기는 새로운 위험성이 많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결과가 철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내재된 위험요소를 미리 파악하는 데 기초연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30.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곡선 승강장에 직선형태의 전동차량을 운행해야 하는 물리적 구조의 한계로 인하여 승강장 연단과 전동차 사이에 발이 빠져 발생하는 승강장 연단 실족 사상 사고는 어린이와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을 비롯한 교통약자의 도시철도 이용에 큰 위험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최근 도시철도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의 간격을 방지하는 안전발판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관련 특허 및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서울시에서는 3호선 경찰병원역의 시범설치를 비롯하여 곡선 승강장에 대한 전면적인 설치를 계획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철도 승강장 연단 간격 발생 원인과 건축분야의 승강장 설계 기준인 도시철도 건설 규칙 및 도시철도 정거장 및 환승·편의 시설 보완 설계 지침 대해 고찰 한다. 또한 연단 실족 사상사고 분석을 통해 승강장 안전발판의 필요성과 승강장 설치형 안전발판에 대해 연구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운행 중 발생하는 사상 사고의 경우 많은 경제적 손실과 더불어 인명의 피해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승강장 안전사고를 저감하고 동종의 사고에 대한 재발 방지를 위한 개선 방안으로 곡선 승강장에서의 승강장 연단 실족 사상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발판에 대한 기준의 제시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며 향후 안전발판에 대한 연구가 지속된다면 도시 교통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도시철도에서의 안전성 확보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31.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철도교량은 일정한 축 간격을 가진 열차가 주행함으로써 구조물과의 상호작용으로 공진의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열차가 고속으로 주행함에 따라 고유진동수를 포함한 동특성, 처짐, 가속도 등의 동적물리량에 대한 안정성 검증이 필연적이다. 도로교에 비해 철도교량에서는 열차 운행 특성상 교량에 작용하는 활하중에 의한 동적거동 및 변형형상이 복잡하고 연구나 검토가 미비한 현실로 인하여 아치교가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간장 51m의 중로아치교와 경간장 77m의 하로아치교를 대상으로 동특성을 분석하고 KTX열차, 화물열차, EMU(고속전동차), HEMU-400X(차세대 고속열차)주행 시의 동적안정성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직처짐, 가속도, 면틀림 등이 모든 경우에서 기준치를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유사 철도교량 설계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32.
        201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철도터널내 화재시 터널내 구조체의 내화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시간-온도곡선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현재 국내에서는 철도터널건설과 터널의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터널연장이 길어짐에 따라 터널 내 화재사고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철도터널의 화재빈도수는 적지만 화재시 인명과 교통차단으로 인한 사회적 피해는 막대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철도터널 화재에 대한 적합한 시간-온도 곡선을 규정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의 통행량, 차량 종류 등을 고려한 열방출율을 기초로 외국에서 제시된 시간-온도 곡선을 검토해 보았으며 국재 실정에 가장 적합한 설계화재 모델을 제시하였다. 탄화수소(HC)시간-온도 곡선이 국내 철도터널의 설계화재모델로 가장 적합하였으며, 탄화수소 시간-온도곡선에 의한 철도터널 구조체의 온도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통하여 콘크리트터널 구조체의 구조성능을 검토하였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