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2

        21.
        2015.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rrently, many nations in the world make a strong effort to exploit the new and renewable energy. Tide and Tidal Current Energy are the constant and regular power sources with higher and more stable quality compared to other renewable sources. The present paper investigate the status of Tide and Tidal Current energy analyzing its latest technology and development.
        3,000원
        2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상수원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조류경보제는 남조류 발생 현황을 취 정수장 등 물관리 기관에 전파하여 대응조치를 유도하는 제도로 신속하고 정확한 남조류 계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조류경보제 발령 기준 대상 남조류인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 Oscillatoria 속의 군체 크기와 세포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회귀식을 도출하여 군체 크기로 세포수를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3년 8월부터 10월까지 남조류가 과다증식한 시기에 한강(팔당호), 낙동강(달성보, 창녕함안보) 및 금강(고복저수지)의 대표지점에서 남조류 시료를 채집하였으며, 조류경보제 발령 기준 대상 남조류 속의 종별 군체 크기와 세포수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여 종 및 속별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남조류의 속별 상관분석 결과는 사상형인 Anabaena와 Aphanizomenon의 r2값이 0.93 이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구형의 Microcystis는 0.76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냈다. 종 별 상관분석 결과 사상형 남조류 Anabaena crassa, Aphanizomenon flos-aquae, A. issatschenkoi, Oscillatoria curviceps, O. mougeotii는 r2값이 0.89~0.96의 범위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구형인 Microcystis aeruginosa, M. wessenbergii, M. viridis는 0.76~0.88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냈다. 다른 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Microcystis의 상관성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동일한 종, 동일한 크기의 군체라도 Microcystis strain에 따라 점액질 내의 세포 밀집 정도와 세포 크기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 결과 도출한 회귀식을 이용하여 군체 크기 측정값을 세포수로 환산하는 방법이 기존의 세포 계수법과 비교할 때 신속하고 간편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남조류 종별 더 정확한 회귀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료수 확보와 더불어 다른 종들에 대한 조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2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양만에서 야광충 Noctiluca scintillans의 개체군 동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수계지리학적 및 생리생태학적 특성을 2010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19 또는 20개 정점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야광충은 하계의 수온범위가 15˚C에서 22˚C로, 염분이 25.0 psu에서 30.0 psu 사이의 환경조건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이와 반대로, 그들의 개체군은 동계 4˚C의 낮은 수온 조건에서도 출현하였으나, 동계를 비롯하여 춘계, 추계에는 야광충의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27˚C 이상의 높은 수온과 12.0 psu 이하의 낮은 염분조건의 환경에서는 야광충 개체수의 사멸로 이어졌다. 야광충의 먹이원인 Chl.a 농도와는 동계, 춘계, 추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성립되었고, 하계 야광충의 높은 밀도가 관찰되었을 때에는 Chl.a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야광충의 포식압에 의한 영향으로 생각되며, 하계와 같이 야광충의 개체수밀도가 높았을 때에는 식물 플랑크톤(Chl.a)을 현저하게 포식하여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을 것이고, 나머지 계절의 양(+) 상관관계는 야광충의 개체수를 유지하는데 일정량 먹이원이 필요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4,600원
        2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 남서해 다도해역 주변의 조석·조류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다도협수로역, 섬과 육지사이 수로역, 섬 주변 개방해역 주변 4개 해역의 조석·조류 계산 결과를 비교하였다. 조류 최대유속은 다도협수로역에서 31.92 cm/s로 작았고, 섬주변 개방역에서 87.55 cm로 컸다. 조석잔차류는 협수로가 길고 수로 내 섬이 많은 해역에서 컸다. 조석에너지 분산과 조석진폭의 변동범위는 다도협수로역(392.6×107 erg/s, 99.0 cm)이 가장 크고 섬과 육지사이 수로역(125.7×107 erg/s, 11.6 cm), 섬 주변 개방역(23.1×107 erg/s, 8.1 cm) 순서로 작았다. 즉 다도해역 내 협수로와 수심의 급격한 변화가 조석에너지 분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800원
        26.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recent report has showed that potentially toxic benthic dinoflagellates obtained from macroalgae were observed in Jeju waters. These species have been reported to occur only in subtropical waters and are regarded as a producer of ciguatoxin in fishes. This finding of benthic dinoflagellates contributes to improve the monitoring surveillance for the safety of humans and marine food in Korea, which will extend to southern coastal regions. Furthermore, Cochlodinium red tide, which occurs annually each summer, will increase the distribution toward whole coastal waters in Korea because of the more northerly direction of isotherms in SST (Sea Surface Temperature) due to global warming. Consequent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enforce a monitoring programme against biotoxin assessment investing research abilities (i.e. manpower and funds) to better understand Korean marine ecosystem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3,000원
        27.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ay dispersion has been applied in Korean coasts since 1996 to minimize fisheries impact by Cochlodinium polykrikoides blooms. Understanding of spreading and sedimentation pattern of yellow clay in the sea after dispersion would be helpful for the counter measure of possible impact on marine environment and ecosystem by the clay. Tidal current movement and sedimentation of clay targeted on Obido island, Tongyong, Korea where clay had been frequently introduced to control red tide was calculated based on numerical model. The tidal current in the Obido channel showed northwestward flow during flood tide and southeastward flow during ebb tide with the highest water velocity of 15 cm/s, particularly, in the west mouth of the channel. Overall, the velocity of residual current in Obido channel with the highest value of 10 cm/s was higher than that between Obido and Mireukdo showing 1~3 cm/s of velocity with westward flow. Spreading and sedimentation of clay by the application of numerical model in the Obido channel was calcula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360 tons of clay had been introduced every day for 20 days in the area during red tide period in 2003. Clay particle spreaded toward westward in the channel and subsequently northward in the outside of the channel from the release point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hannel. It was calculated that 1.5 km2 in total nearby Obido area could be affected by the clay water with more than 1 mg/L of clay concentration within five tidal cycle after dispersion. The majority of the clay particle could be settled within 100 m from the release point with the sedimentation height of 10 mm. Also, it was calculated that the clay could show 0.2 mm of sedimentation height in the west and east mouth of Obido channel.
        4,500원
        28.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underst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eight dominant red tide species (Prorocentrum minimum, Heterocapsa triquetra, Scrippsiella trochoidea, Akashiwo sanguinea, Chattonella marina, Heterosigma akashiwo, Amphidinium carterae and Rhodomonas salina) in the Korean coastal water, the growth rates were examined in relation with the impacts of water temperature and bio-volume. Of these, P. minimum, C. marina, H. akashiwo, A. carterae and R. salina were eurythermal species with relatively high growth rates in a borad ranges (15 to 25􀆆C) of water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growth rate of H. triquetra, S. trochoidea and A. sanguinea were high in relatively mid temperature (optimum: 25􀆆C) condition. In particular, H. triquetra was well adapted in low temperature of 5 to 15􀆆C, implying that the species can survive and grows even at very low temperature. Based on results of our experiment, the growth characterestics of five eurythermal species and three mid temperature species may have dominated in Korean coastal water during summer season and fall season, respectively. Contrastively,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H. triquetra make a consistently dominant during the cold winter season. In addition, the growth rates of large bio- volume species were lower than those of small bio-volume species, indicates that growth of single cells of several flagellates might be depended on the cells sizes.
        4,000원
        29.
        201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obtain the effective sampling estuarine fauna by a passive net in the West Sea of Korea occurring strong tide, catch were collected by bag nets with various sampling trials off Ganghwa Island in November 2009. We compared the difference of community structures (on spring tide vs. neap tide, total sample vs. subsample and 4 nets vs. 1 net) with each species composition as a sampling unit by the Pearson chi-square test. Number of individual at the spring tide was more abundant than that at the neap tide (p<0.0001) although number of species at the spring tid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at at the neap tide (p=0.174). Both number of species (p=0.138) and number of individual (p=0.096)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otal sample and random subsample. Number of speci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ubsample by 1 net and the subsample by 4 nets (p=0.515), but number of individual was a little different on both samples (p=0.024). In conclusion, we suggest the subsample by 1 net at spring tide as the effective sampling estuarine fauna by a passive net in the West Sea occurring strong tide.
        4,000원
        3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equilibrium theory of tides by Newton, tide on the Earth is a phenomenon driven by differential gravity contributed both by the Sun and the Moon. Due to the direct link of the generic tidal effect to the oceanic tides, college students in the earth science education department are exposed to this theory through oceanography lectures as well as astronomy lectures. Common oceanography textbooks adopt a non-inertial reference frame fixed to the Earth in which the fictitious, centrifugal force appears. This has a potential risk to provide misconceptions among students in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followings: 1) this is how Newton originally derived the equilibrium theory of tides, and 2) the tide is a phenomenon appearing only in rotating systems. We show that in astronomy, a much simpler description, which employs the inertial frame, is generally used to explain tides and thus causes less confusion. We argue that the description used in astronomy is preferable both in the viewpoints of simplicity and ease of interpretation. Moreover, on a historical basis, an inertial frame was adopted by Newton in Principia to explain tides. Thus, the description used in astronomy is consistent with Newton's original approach. We also present various astrophysical tides which do not comply with the concept of centrifugal force in general. We therefore argue that the description used in oceanography should be compensated by that in astronomy, due to its complexity, historical inconsistency and limited applicability.
        4,200원
        31.
        200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undamental data on the catch fluctuation in the rectangular set net according to the tide ag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atches recorded from the year 1986 to 2004 in the coastal waters of Hamdeok, Jeju. Total catch by the rectangular set net had a deep connection with the tide age. In particular, during increasing tide, total catch were reduced gradually from the neap tide to the high tide. As it turned out, the slope of total catch declined by degree and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of 0.76.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decreasing tide, there was little sign of rise in total catch. In particular, large catch seemed to occur at the next tide to the neap tid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catch and the tide age, the level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hosen at p≤0.05 decreased in the order rabbitfish(-0.84) and horse mackerel(-0.71), while the significance of other dominant species were not selected.
        4,000원
        32.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난사고 선박의 구난환경 위험성 분석을 위한 극치조석 산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준항에서 관측된 해면변위에서 주요 4대분조(M2조, S2조, K1조, O1조)의 진폭과 극치조석의 진폭을 산정하고, 조석 공간분포의 균일성에 근거한 유추(inference)방법을 이용하여 둘 간의 상관관계를 수치모델로 계산된 주요 4대분조의 공간분포에 적용함으로써 극치조석의 공간분포를 산정하였다. 극치조석의 분포는 한국 남해를 대상으로 산정하였으며, 50년 주기와 100년 주기의 극치조석을 각각 산정하였다. 한국 남해의 50년 주기 극치조석 진폭은 70cm~260cm의 분포를 보였으며, 100년 주기 극치조석 진폭은 80cm~270cm의 분포를 보였다. 극치조류의 유속은 100년 주기의 경우 평균상태 조류 유속에 비하여 약 1.55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3.
        200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영재아들이 가지고 있는 조석에 관한 정신모형을 탐색하기 위하여 두 가지 상황에서의 개념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들을 구성하는 국면들을 분석하였다. 조석 현상에 관해 두 가지 상황으로 구성된 과제 수행을 실시한 후 그 응답 결과를 분석한 결과, 상당수의 학생들이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개념 유형을 나타내었다. 상황에 따른 개념 유형들을 구성하고 있는 국면을 분석한 결과, 내용-특정적 국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전략적 국면에서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두 가지 상황에서 나타나는 개념 유형들과 이들 유형을 구성하는 국면들을 조합하여 학생들의 조석에 관한 정신모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4가지 모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1) Tide model (2) Force model (3) Phase model (4) Hybrid model. Tide model은 과학적으로 옳은 모형이며, Force model과 Phase model은 옳지 않은 모형으로, 상황에 따른 개념유형은 서로 일치하나 조석현상을 각각 달과 태양의 합력과 달의 위상(모양)의 관계로만 이해하고 있는 경우이다. Hybrid model 혼합 모형으로 상황에 따라 나타나는 개념 유형이 서로 부합되지 않는 모형이다. 중학교 과학 영재아들은 조석 현상에 대해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 모형은 Tide model(45.0%) 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Hybrid model(30.0%), Force model(12.5%), Phase model(7.5%) 순으로 나타났다.
        4,000원
        34.
        200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our study understands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factors relating to the formation of the red tide, and monitors the red tide by satellite remote sensing. The meteorological factors have directly influenced on red tide formation. Thus, it was possible to predict and apply to red tide formation from statistical analyses on the realtionships between red tide formation and meteorological factors, and also to realize the near real time monitoring for red tide by satellite remote sensing.
        4,000원
        36.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carried out a study on thermohaline structure and phytoplankton com munity in the East China Sea during early summer in 2005. As a result of marine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community, three characteristics of water type were identified. The former
        4,000원
        37.
        200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항공사진과 지형측량 등 기존의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선정된 지역인 대부도 조간대 지역에서 침식연안의 퇴적학적 특징을 연구하기 위해 표층퇴적물 137개 및 1개의. 코아 퇴적물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조상대 지역은 만조와 폭풍 시에 파랑과 조석에 의해서 침식되어진 육상퇴적물과 조석에 의해서 유입되는 세립 퇴적물이 퇴적되어 불량한 분급, 양의 왜도, 다모드(다기원)형 입도분포가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주로 밑짐이동으로 운반되어 지고 있다. 반면, 상부조간대, 중부조간대, 하부조간대에서는 서해안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과 마찬가지로 외해로 갈수록 조립해지고 상대적으로 분급도가 양호하며 양의 왜도를 가지고 있다. 조석에 의한 승강작용에 의한 에너지 분산에 의해서 점이부유(graded suspension와 지속적 부유(uniform suspension)에 의해서 운반, 퇴적된다. 또한, 코아시료는 상향조립하고 분급도가 불량해지는데 이는 육상기원의 침식된 퇴적물이 유입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지역은 인위적 요인과 자연적 요인인 조석 만조 시에 태풍과 폭풍 그리고 장단기 해수면 상승에 의한 강한 파랑에 의한 자연적 침식된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안침식을 받고 있다. 그러므로 대조차 침식연안은 만조시에 해안의 지역적, 시간적, 수리학적 상태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조간대 지역은 전반적인 조간대 퇴적환경을 보인다.
        4,000원
        38.
        200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반도 동해에서 Topex/Poseidon위성 고도레이더로부터 관측된 해수면과 울릉도, 포항, 속초의 조위계에서 관측된 해수면을 비교하여 두 자료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위성에서 관측된 해수면자료의 객관성을 검증하였다. 1992년부터 1997년 사이에 관측된 T/P MGDR 관측자료로부터 해수면을 추출하기 위하여 대기보정 및 지구물리학적인 보정을 실시하였다. 조위계로부터 관측된 해수면과의 비교를 위해 조위관측소로부터 반경 약 55km내에 위치하는 관측값들을 평균하였다. 위성 해수면과 조위계 해수면을 비교한 결과 내해역에 위치한 포항 및 속초가 외해역에 위치한 울릉도에비해서 낮은 연관성을 보였다. 200일을 기준으로 저역통과필터를 처리했을 때 외해역에 위치한 울릉도는 상관값이 0.91로 매우 높은 유의성을 보였고, 내해역에 위치한 포항 및 속초는 각각 0.58 및 0.65로서 울릉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낮은 유의성을 보였다. 이러한 큰 차이는 M2, S2, K1 분조 등에 의한 조석변형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볼 수 있고, 이는 주로 T/P 자료처리에 사용된 조석모델의 오차로 볼 수 있고, 이를 저역통과필터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대체로 외해역의 경우는 60, 120, 180, 200일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처리함에 따라 상호 두 자료간의 유의성이 점차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내해역의 경우에는 거의 유의성이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39.
        2000.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escribes a simple prediction method of beach recession induced by storm surge. In order to evaluate the severest beach erosion, it is assumed that maximum beach recession occurs at the coming of storm surge overlapped with spring tide. Consequently, total surge lev디 becomes the sum of storm surge level and tidal range. Generally, storm surge level around Korea is small compared with tidal range. Therefore total surge can be expressed as the series of surges, which have same duration as tide. Through the case studies, the author Investigates correlation between tidal range, duration, wave condition, beach slope and beach recession.
        4,000원
        40.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998년 7월부터 9월까지 득량만 19개 정점 표층에서 수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와 동태 및 적조의 특징을 규명하였다. 조사기간 중 월별 평균 수온은 24.0~28.6℃, 염분은 25.0~28.6‰로 월별 및 정점간 변이가 컸다. 본 해역의 Chlorophyll-α의 농도는 7월과 8월에 평균 11.59mg/m3, 7.52mg/m3를 나타내어 일차생산이 높았으며,
        4,000원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