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8

        21.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mples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2016 and May 2017 at Sangju-si, Gyeongsangbuk- do, Jeju-do, and Uljin-gun, Gangwon-do. As a result, one genus and six species were newly recorded in Korea. The unrecorded indigenous genus was Borzia, and the six species were Anagnostidinema acutissimum, Komvophoron bourrellyi, Hydrocoleum stankovicii, Borzia trilocularis, Phormidium tinctorium and Pseudanabaena lohchoides. Phormidium tinctorium and Pseudanabaena lohchoides had been reported to inhabit freshwater, but in this study, these were found in brackish water. It had also been reported that B. trilocularis trichomes are composed of up to 8 cells, but in this study, a maximum of 10 cells was observed.
        4,000원
        2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urrently,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Macroheterocera with the inclusion of Bombycoidea have been reconstructed using molecular data, but generated several hypotheses on familial relationships within Bombycoidea and among-superfamilial relationships within Macroheterocera. Thus, in this study, mitogenome-based superfamilial relationships of Macroheterocera and familial relationships among macroheteroceran superfamily, Bombycoidea, were tested with different algorithms and partition schemes. Additionally, two unrecorded species of Bombycoidea (Saturnia jonasii and Kentrochrysalis streckeri) detected in Korea using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are presented.
        2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령도와 연평도의 곤충상 조사결과, 통나방과 (나비목: 뿔나방상과)의 11종이 서해안지역에서는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그 중 Coleophora adjunctella Hodgkinson, C. chenopodii Oku, 그리고 C. kurokoi Oku는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으로 이들 종 동정에 필요한 성충과 암컷 생식기 사진을 함께 기재한다.
        4,000원
        24.
        2013.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a faunistic survey for the family Coleophoridae (Lepidoptera: Gelechioidea) on Is. Yeonpyeong and Is. Baengnyeong in 2010 and 2006, respectively, eleven species of Coleophora were recognized. Among them, three species; Coleophora adjunctella Hodgkinson, C. chenopodii Oku, and C. kurokoi Oku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For the newly recorded species, taxonomical remarks and illustration of adults and genitalia are given.
        25.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난 1970년이래 헝가리자연사박물관의 북한지역 탐사를 통해 채집조사되어 보관된 표본을 대상으로 검경한 결과 북한산 잎말이나방과 12종이 추가로 분류 동정되어 보고한다. 이중 2종(Notocelia rosaecolana Doubleday, Rhopobota ustomaculana Curtis)은 북한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보고되는 북한미기록종이었다. 이외에 보고되는 10종은 주로 기존문헌에 목록에만 포함되어 있어 정확한 분포정보들이 없어왔던 종들로 금번연구를 통해 새로운 분포지가 기록되는 종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번에 보고되는 2종의 북한미기록종과 새롭게 채집지가 확인된 10종의 목록을 정리하여 보고하며 각 종별로 채집지기록, 국내외 분포 및 기주식믈정보 등을 제시하였다.
        4,000원
        26.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애기버섯벌레과(Ciidae, Leach)에 속한 애기버섯속(Cis Latreille)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속에 속한 Cis boleti (Scopoli, 1763); Cis seriatopilosus Motschulsky, 1861; Cis mikagensis Nobuchi & Wada, 1955; Cis jezoensis Nobuchi, 1960; Cis sasajii Kawanabe, 2001; Cis hieroglyphicus Reitter, 1877 등 6종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여 보고하였다. 또한 야외관찰과 실내사육을 통해 6종에 대한 숙주버섯을 처음으로 밝혀 보고 하였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산 애기버섯벌레속에 대한 분류학적 정보와 더불어 한국산 종들의 숙주버섯에 대한 생태적 정보를 제공하였다.
        4,000원
        27.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실시한 나방류 조사결과 포충나방과의 2종(Daulia afralis Walker, Herpetogramma cynaralis Walker)이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되었기에 보고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종의 외부형태 및 암수생식기의 특징을 검경하여 도해하고 간략히 재기재하였다. 또한 각 종별로 분류학적 정보 및 국내외 분포범위에 대하여 정리하여 보고한다.
        3,000원
        28.
        2011.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is located in Gwangneung forest, between Namyangju-si and Pocheon-si, in Gyeonggi province. In KNA, there are 15 specialized plant gardens. The woody plants of 1,863 species and the herbaceous plants of 1,481 species have been maintained in these gardens for 500 years. KNA have suitable environments for fungal growth. Despite floral diversity in there, the intensive researches on fungal flora have not been studied to date. Therefore, in order to get informations on fungal flora, regular field trips were made to this area and fresh fungal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re for 48 days from May in 2007 to November in 2010. Total 1,522 higher fungal specimens were collected in Gwangneung forest. All the collected specimen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in 8 classes, 19 orders, 69 families, 267 genera and 454 species, and deposited in the herbarium of Korea National Arboretum (KNA). Among the identified specimens, sixteenspecies were confirmed as new to Korea as follows: Cudoniella acicularis, Discina ancilis, Helvella costifera, Entoloma cephalotrichum, Entoloma lepidissimum, Mycena leptocephala, Naematoloma gracile, Sistotrema octosporum, Hydnellum peckii, Lachnellula calyciformis, Amanita cockeri f. roseotinctata, Micromphale foetidum, Mycena corynephora, Clitocybe lateritia, Physisporinus vitreus, and Datronia stereoides. Literature cited 1. 김현중, 한상국. 2008. 광릉의 버섯. 국립수목원. 420pp. 2. 今關六也, 本鄕次雄. 1987. 原色日本菌類圖鑑(I). 保育社. 325pp. 3. Breitenbach, J. and Kränzlin, Fred. 1984. Fungi of Switzerland: 1. Ascomycetes. Mykologia Luzern. 310pp. 4. Breitenbach, J. and Kränzlin, Fred. 1986. Fungi of Switzerland: 2. Non gilled fungi. Mykologia Luzern. 412pp. 5. Breitenbach, J. and Kränzlin, Fred. 1995. Fungi of Switzerland: 4. Agarics 2nd part. Mykologia Luzern. 368pp. 6. Singer, R. 1986.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 Koeltz Scientific Books. 7. Smith, A. H., Smith, H. V. and Weber N. S. 1979. How to know the gilled mushrooms. Wm. C. Brown Company Publishers. pp. 27, 263, 286-287.
        29.
        2011.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rom the soil samples collected at Seonginbong in Ulleung Island two unrecorded species of oribatid mite, Punctoribates hexagonus Berlese and Galumna cuneata Aoki were identified. Genus Punctoribates Berlese (1908) are rather small, dark brown, and ball-shaped as adults inhabiting mainly terrestrial ecosystem, but some species live in wet habitats and other mosses at the edge of lakes (Seniczak and Seniczak, 2008). The members of Galumnidae is one of the largest groups of oribatid mites with a world - wide distribution. They are ball-shaped, both the juvenile and adult stages. The sclerotized integument of adults are brown to black. Member of this family are fairly abundant in litter or upper layers of forest soils and commonly distributed in pasture soils of open habitats (Bayartogtokh and Weigmann, 2005).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ive random samples at 5cm depth consisting of one sample unit. The abundances of soil microarthropods collected from acari and collembola were consisted of 31% and 32%, respectively. We collected 11 species, 9 families of oribatid mite (Acari: Oribatida) from the research site.
        30.
        2010.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cutellonema. brevistyletum was collected at soil around the roots of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at Seongju, Gyeongbuk in Korea. Scutellonema brevistyletum resembles to S. sorghi in having large number of longitudinal lines (16-18 vs 16 in S. sorghi), but differs by the areolated at level of scutellum(not areolated in S. sorghi), shorter tail length(9.1-13.3㎛ vs 16.2-35.7㎛ in S. soghi) and not long intestinal overlap rectum. S. brevistyletum differs from S. unum in having shorter stylet (24.5-28㎛ vs 29-32㎛ in S. unum) and basal lip not having longitudinal striae.
        31.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easurements of Ditylenchus acutus is similar to Fortuner & Maggenti’s 1987 D. acutus (Khan, 1965) except the body length was much longer (L=0.65-0.71 mm vs. L=0.39-0.50 mm) and body width was thinner (a=40-49.2 vs. a=22-28). In addition, Ditylenchus myceliophagus was record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us, both species were described in this paper.
        3,000원
        32.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family Ciidae is presen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Two unrecorded species, Octotemnus laminifrons (Motschulsky) and Octotemnus japonicus Miyatake are reported. Morphological photographs of adults, description, illustrations of diagnostic characteristics, and host fungi are provided.
        4,000원
        3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표고속(Lentinula )에 속한 종들의 배양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국내 미기록종인 L. aciculospora, L. boryana, L. raphanica 3균주와 대조군으로 국내 기록종인 L. edodes 1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인 L. edodes 균주는 ME1배지에서 91.8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4℃, 최적pH는 6으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Malt extract, 최적비타민은 Myo-inosiol로 나타났다. 첫 번째 국내 미기록종인L . aciculospora 균주는 PDA 배지에서 36.5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2℃, 최적pH는 6으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Malt extract, 최적비타민은 Myo-inosiol로 나타났다. 두 번째 L. boryana 균주는 MCM 배지에서 55.0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2℃, 최적pH는 7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Glucose와 Urea, 최적비타민은 Riboflabin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L. raphanica 균주는 ME1 배지에서 70.0 ㎜/7일로 최대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8℃, 최적pH는 5로 나타났고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Sucrose와 Potassium nitrate, 최적비타민은 Riboflabin으로 나타났다.
        4,000원
        35.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날개응애를 조사하던 중에 2 미기록속, Acrotocepheus 1965, Humerobates Sellnick, 1928과 2 미기록종, 산굼부리오징어응애(신칭) (A. gracilis Aoki, 1965), 콧등날개응애(신칭) (H. flechtmanni Perez-Inigo & Perez-Inigo Jr., 1993)을 발견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36.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농업기술원 약용작물 전시포에서 약용작물 기생선충을 조사하던 중 Helicotylenchus clarkei Sher, 1966와 Rotylenchus usitatus Van den Berg et Heyns, 1974 등 2종이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확인되어 보고한다. 이로서 국내에는 총 8종의 Helicotylenchus와 총 9종의 Rotylenchus가 기록외었으며 각 종에 대한 분류검색표를 첨부하였다.
        4,000원
        37.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나무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loosi)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전라남도 명암군과 제주도 남제주군의 차나무 뿌리와 주변 중에서 발견되었다. 차나무뿌리썩이선충의 두부주름은 2개이며 암컷의 길이는 433-646이고, a = 29.1-37.5, b = 5.1-6.4, c = 15.0-21.3, vulva (%) = 73.0-85.4였다. 수컷의 몸길이는 408-512 였으며 a = 36.1-40.0, b = 4.8-6.7, c = 17.0-19.0, spicule = 14.1-18.0였다. 구침의 길이는 11.6-18.0였으며, 측선의 갯수는 4개였다. 저정낭은 정자로 차 있으며, 모양은 둥근 고치모양 또는 직사각형 모양이다. 꼬리의 형태는 가늘고 끝이 둥글거나 뾰족하다.
        4,000원
        38.
        2001.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포충나방과(나비목)에 속하는 들명나방아과의 4종, Agrotera posticalis Wileman, Udea stigmatalis (Wileman), Diathraustodes amoenialis(Christoph), Pygospila tyres(Cramer)을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하며, 이중에서 Diathraustodes속과 Pygospila속은 우리나라에서 처음 기록한다. 이들의 분류학적 특징을 간략히 재기재하고, 채집된 성충 및 암.수 생식기를 도해하였다. 특히 Udea stigmatalis는 생식기의 특징을 최초로 기재하며 도해하였다.
        4,000원
        39.
        200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씨스트선충과의 한국 2 미기록속 및 종, Globodera hypolysi, Sarisodera hydrophila를 팔공산에서 채집하였다. 한국산 G. hypolysi는 원 기재와 비슷하나 유충의 구침 길이가 약간 짧고 (21-24 vs.24~25m), 씨스트 항문에서 탕까지 거리가 약간 짧았다 (23~54 vs.25~80m).한국산 S. hydrophila는 모든 측정치가 원 기재에 비하여 약간 짧았다, 암컷 체장(367.2~597.6m vs 359~ 688 mm), 구침장 (37~44m vs 38~46m), 수컷 체장 (662~1198m vs 579-1,405m), 구침장 (37~ 43.8m vs 38~46m). 제2령유충: 체장 (460~536m vs 466~558m), 구침장이 짧았다 (32~38m vs 39~43m).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