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3

        381.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먼지응애류인 벼먼지응애(신칭, Steneotarsonemus spinki Smiely 1967)는 쌀생산국인 태국, 필리핀, 중국, 대만 등에서 쌀의 중요한 해충이다. S. spinki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환경조절온실에서 재배중인 쌀에서 발견되었다. 응애 피해를 입은 쌀은 이삭에서 기형을 나타내었으며 잎집내부 표면의 갈변증상, 쌀알의 표면 갈변증상 등을 나타내었다. S. spinki암컷의 체장은 263.0(246.5~12.2), 체폭은(79.5~7.6)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난형으로 중앙부위가 가장 폭이 넓었다. 채색은 연한 황색이었다. 다리는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암컷 제4각 끝은 채찍모양의 강모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먼지응애류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수컷 체장은 196.5(176.5~222.815.8), 체폭은 109.3 98.6~6.4)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길쭉하고 전동체부 중앙부가 가장 체폭이 넓었다. 내돌기 III은 내돌기 IV보다 전방으로 신장되어 있었다. 제4각퇴절은 커다란 안쪽귀가 발달되어 있었으며 안쪽 및 바깥쪽 강모는 같은 길이로 짧게 잘 발달되어 있었다. 부절 발톱은 강하고 복부쪽으로 굽어 있었다
        4,000원
        382.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 of the straight-line-shaped plan emerged in northeast region of China during the Qing dynasty. This raper is mainly based on the writings in Yeon-haeng-rok.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a lot of sunshine due to the cold climate in that region made the people select the plan that rooms to be added side by side. Second, it was not necessary to build the house with non-straight-line-shaped plan due to the reason that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is so vast and the size of the house lot was not limited. Third, the condition of family income somewhat affect the shape of plan to be straight-line-shaped, which is much economical to construct a house than other shape of plan. Fourth, the way of living of the people in that region during the Qing dynasty made the house plan straight-line-shaped which is convenient to sit either on the floor or on the chair within a room. Fifth, straight-line-shaped plan became an adequate means to represent the hierarchy of the use of inner space of a house and eventually became an architectural norm of this region.
        4,300원
        383.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가는목도랑반날개 족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3종의 [Falagria sulcata (Paykull), Myrmecopora (Lamproxenusa ) rufescens (Sharp), and Myrmecocephalus sapida (Sharp)]검색표와 표본사진을 작성하였다.
        3,000원
        384.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미기록종인 배나무를 가해하는 배잎녹응애(Phyllocoptes pyrivagrans Kadono, 1985)를 발견하였으므로 이에 기재 보고한다.
        3,000원
        385.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왕거미과(Araneidae) 꽃왕거미속의 1미기록종 Araniella yaginumai Tanikawa, 1995 꽃왕거미(신칭)을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에서 채집하였기에 이에 기재 발표한다.
        3,000원
        386.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have analyzed the sunspot and aurora data recorded in Go-Ryer-Sa. We have collected 35 records of sunspot observations for 46 days, and 232 records of auroral observations. To objectively estimate the periods of the solar activity appearing in these records a method of calculating the one-dimensional power spectrum from inhomogeneous data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unspot and auroral data. We hav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10.5 and 10 year periodicities in the distributions of sunspot and aurora records, respectively. These periods are consistent with the well-known solar activity cycle. There are indications of the long-term variations, but the period is not certain. We have also calculated the cross-correlations between the sunspot and auroral data. In particular, we have divided the aurora data into several subgroups to study their nature. We conclude that the historical records of strong auroral activity correspond to non-recurrent magnetic storms related to the sunspots. On the other hand, the records of weak auroral activity are thought to be related with the recurrent magnetic storms which occur frequently due to the coronal hole near the sunspot minimum.
        6,700원
        388.
        1998.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알락명나방족의 굵은수염알락명나방, Spatulipalpia albistrialis Hampson; 긴수염알락명나방, Sandrabatis crassiella Ragonot; 검은줄알락명나방, Ceroprepes nigrolineatella Shibuya; 점박이알락명나방, Myelois cribrella (HUbner); 흰줄무늬알락명나방, Assara terebrella (Zincken); 삼각무늬알락명나방, Assara funerella (Ragonot); 밝은세모알락명나방, Nyctegretis achtinella katastropella Roesler; 검은자주빛알락병나방, Pseudocadra cuprotaeniella (Christoph); 밤알락명나방 Euzophera batangensis Caradja 등 9종을 한국미기 록종으로 보고하며, 이들에 대한 성충, 생식기의 그림 및 기주식물의 기록을 정리하였다.
        5,100원
        389.
        199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F magnetron sputtering법으로 Cr을 하지층으로 하여 CoPrCr 자성층을 성막한 후 보호층으로 SiO2를 증착한 Cr/CoPtCr/SiO2 다층박막을 상온에서 제조하여 자기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Cr 하지층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보자력이 증가하다가 거의 일정한 값을 얻었으며 최대 보자력값은 860 Oe였다. 보자력의 증가원인은 자성상의 면내 배향화와 자성 결정립간의 자기적인 분리에 의한다고 생각된다. 시편을 각 온도별로 열처리 함으로써 보자력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550˚C에서 1시간 열처리한 박막의 보자력은 1650 Oe였다.
        4,000원
        390.
        199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cnusa속 (벌목:고치벌과:장승입고치벌아과)의 2종 Dacnusa(Aphanta) sasakawai Takada와 Dacnusa(Dacnusa) nipponica Takada를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전종은 Liriomyza broniae(Kaltenbach), 오이잎굴파리와 Chromatomyia horticole(Gourea), 완두굴파리에 기생했으며, 후종은 완두굴파리에 기생했다.
        4,000원
        391.
        1997.12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392.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ooden Stupa of Hwangnyongsa Temple, existed from Shilla to Koryo Dynasty, is recognized as a typical model of the Korean wooden stupa. The related records on this stupa are found in some historical documents including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三國史記』). This stud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se documents, attempts to discuss and analyse design and structural methods of the stupa, viz., i) the relationship with both Chinese and Japanese wooden stupa, ii) the height, iii) each floor's linking methods, iv) the 'Noban' (Basement of the upper part), v) structure of the 'Simju' (Central pillar) and vi) the stairs and the handrai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opefully used for the further researches as well as the restoration of this precious architectural asset.
        4,600원
        393.
        1997.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재주나방과를 정리한 결과 1신속 및 1신종(Lophontomira parki sp. nov.)을 기재하고 한반도 미기록종 3종(Harpyia tokui Sugi, Drymonia japonica Wileman, P. jesoensis Matsumura), 남한 미기록종 3종(Hemifentonia mandschurica Oberth., Dicranura ulmi tsvetaevi Schintlmeister et Sviridov, Nerice Leechi Staudinger)을 동정 하였으며, 이들을 포함한 재주나방과 주요 17종에 대한 분포와 분류학적 자료를 정리하였다. 또한 Dicranura tsvetaevi Schintlmeister et Sviridov의 생식기를 검경한 결과 이종을 D. ulmi Dennis. et Schiffermuller의 아종으로 처리하였다.
        4,600원
        394.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미기록종인 Praia ussuriensis가 경기도 수원, 강원도 오대산, 경상북도 소백산, 전라남도 노고단에서 채집 기록되어 보고한다.
        3,000원
        395.
        199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바구미과(Anthribidae)는 현재까지 15속 18종이 우리 나라에 기록되어 있다. 조사 결과 Enedreytes gotoi Shibata, Sympaector rugirostris (Sharp), Litocerus securus(Boheman)와 Rhaphitropis truncatoides Morimoto는 미기록종이다. 이로서 우리 나라의 소바구미과는 총 19속 22종이 된다.
        3,000원
        397.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 중부와 동부에서만 기록되어 있던 Sineugraphe stolidoprocta Boursin (중국쌍검은밤나방 신칭)이 우리나라에서 새로이 발견되었기에 보고한다. 이로서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Sineugaph2속 은 4종이 되며, 이들 4종의 생식기특징을 도해하고, 국내외 분포 및 형태적 특징을 논하였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