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8

        407.
        2000.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Gelechiinae아과의 3종, Angustialata gemmellaformis Omelko(가는날개뿔나방), Chorivalva grandialata Omelko(얼룩무늬뿔나방), 그리고 Eulamprotes wikella(Linnaeus)(별꽃뿔나방)을 미기록종으로 보고하며, 이들에 대한 간략한 재기재를 포함하여 성충과 암수 생식기를 도해하였다.
        4,000원
        408.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야외관찰과 사육실험을 통하여 과거에 한국에서 Hydropsyche KUe로 알려져 온 동양줄날도래의 미성숙단계와 성충의 관계를 밝혔다. 각 영의 유충, 유충은신처, 번데기, 번데기집, 수컷과 암컷성충을 기재하였으며, 간략한 생태에 대하여 기록하였다.
        4,000원
        409.
        200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 기록된 기상자료를 가지고 조선 시대의 기후를 분석하고, 서울의 과거 기후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기상요소(강수, 우박, 서리, 안개 등)수를 비교하면 조선 시대에 기록된 자료는 최근 자료의 5.4%로 빈약하여 조선왕조실록만을 가지고 조선 시대의 기후를 복원한다는 것은 어렵다. 기우제(祈雨祭)와 기청제(祈請祭) 일수는 강수 일수와는 상관관계가 없다. 강수와 우박 일수는 자료가 부족하긴하나 월별 현황은 최근의 경향과 비슷하다. 서리와 안개의 일수 현황은 과거 10년 동안의 현황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것은 피해없이 내린 경우에는 기록되지 않았고 많은 재산과 인명의 피해를 준 것은 기록되었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4,000원
        410.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네모집날도래과의 Goerodes sinuatus (Martynov)와 바수염날도래과의 Psilotreta falcula Botosaneanu와 P. locumtenens Botosaneanu를 남한에서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사육에 의하여 Goerodes elongatus (Martynov)는 유충단계를 처음으로 밝혔고, 그간 혼동되었던 Psilotreta kisoensis Iwata 와 P. locumtenens Botosaneanu의 유충과 성충관계를 밝혔다.
        4,000원
        411.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비날도래과의 7종을 다음과 같이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Mystacide azurea(Linnaeus)를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기록하였고, Ceraclea armata Kumanski, C. lobulata (Martynov), C. morsei Kumanski, C. sibirica(Ulmer), Mystacides dentata Martynov 및 Triaenodes unanimis McLachlan을 남한에서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각종의 성충에 대한 진단문을 검색형질의 삽화와 함께 수록하였다. 또한 분류학적 소견, 이명 및 국명을 제시하였다.
        4,000원
        412.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관총채벌레아과의 6종< Dexiothrips madrasensis (Ananthakrishnan) 두색관총채벌레, Holothrips yuasai(Kurosawa) 유아사관총채벌레, Hoplothrips fungosus Moulton 애 버섯 관총채 벌레 , Hoplothrips japonicus (Karny) 버섯관총채벌레, Psalidothrips simplus Haga 민무늬관총채벌레, Sophiothrips nigrus Ananthakrishnan 주름관총채벌레>을 한국 미기록종으로 보고하고, 2종<Bamboosiella longiosanum sp. novo 긴업관총채벌레, Mystrothrips reteanum sp. nov. 그물무늬관총채벌레>을 신종으로 기재하였다. 또한 이들 종의 형태적 특징을 기술하고 서식처 및 분포지를 정리하였다.
        4,900원
        413.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최근 중국에서 신종기재된 Neoscona속(거미목: 왕거미과)의 2종 Neoscona minoriscylla(아기지이어리왕거미)와 Neoscona pseudonautica(어리집왕거미)를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로써 한국산 Neoscona속은 기지종 8종과 함께 10종이 된다.
        3,000원
        414.
        199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창선충목의 미기록 7조: Dorylaimus helveticus, Opisthodorylaimus cavalcantii, Thonus circulifer, Paralongidorus strelitziae, Oxydirus oxycephaloides, Dorylaimoides(D.) leptus, D.(D.)micoletzki을 재기재 하였으며, 한국에서 지금까지 발표 된 종을 계통적으로 분류하였다.
        6,000원
        415.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반날개속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4종이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p. aeneipennis Boheman, P. daimio Sharp, P. nakanei Sawada, and P. numata Dvo k). 미기록종에 대한 종 기재와 수컷 생식기 구조를 도식하였다. 한국산 반날개속은 총 26종이 된다.
        3,000원
        416.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먼지응애류인 벼먼지응애(신칭, Steneotarsonemus spinki Smiely 1967)는 쌀생산국인 태국, 필리핀, 중국, 대만 등에서 쌀의 중요한 해충이다. S. spinki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환경조절온실에서 재배중인 쌀에서 발견되었다. 응애 피해를 입은 쌀은 이삭에서 기형을 나타내었으며 잎집내부 표면의 갈변증상, 쌀알의 표면 갈변증상 등을 나타내었다. S. spinki암컷의 체장은 263.0(246.5~12.2), 체폭은(79.5~7.6)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난형으로 중앙부위가 가장 폭이 넓었다. 채색은 연한 황색이었다. 다리는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암컷 제4각 끝은 채찍모양의 강모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먼지응애류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수컷 체장은 196.5(176.5~222.815.8), 체폭은 109.3 98.6~6.4)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길쭉하고 전동체부 중앙부가 가장 체폭이 넓었다. 내돌기 III은 내돌기 IV보다 전방으로 신장되어 있었다. 제4각퇴절은 커다란 안쪽귀가 발달되어 있었으며 안쪽 및 바깥쪽 강모는 같은 길이로 짧게 잘 발달되어 있었다. 부절 발톱은 강하고 복부쪽으로 굽어 있었다
        4,000원
        417.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background of the straight-line-shaped plan emerged in northeast region of China during the Qing dynasty. This raper is mainly based on the writings in Yeon-haeng-rok.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a lot of sunshine due to the cold climate in that region made the people select the plan that rooms to be added side by side. Second, it was not necessary to build the house with non-straight-line-shaped plan due to the reason that the northeast region of China is so vast and the size of the house lot was not limited. Third, the condition of family income somewhat affect the shape of plan to be straight-line-shaped, which is much economical to construct a house than other shape of plan. Fourth, the way of living of the people in that region during the Qing dynasty made the house plan straight-line-shaped which is convenient to sit either on the floor or on the chair within a room. Fifth, straight-line-shaped plan became an adequate means to represent the hierarchy of the use of inner space of a house and eventually became an architectural norm of this region.
        4,300원
        418.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가는목도랑반날개 족의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3종의 [Falagria sulcata (Paykull), Myrmecopora (Lamproxenusa ) rufescens (Sharp), and Myrmecocephalus sapida (Sharp)]검색표와 표본사진을 작성하였다.
        3,000원
        419.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미기록종인 배나무를 가해하는 배잎녹응애(Phyllocoptes pyrivagrans Kadono, 1985)를 발견하였으므로 이에 기재 보고한다.
        3,000원
        420.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산 왕거미과(Araneidae) 꽃왕거미속의 1미기록종 Araniella yaginumai Tanikawa, 1995 꽃왕거미(신칭)을 강원도 철원군 비무장지대에서 채집하였기에 이에 기재 발표한다.
        3,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