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63

        421.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토양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인자로는 강우, 기온, 바람, 습도 및 태양열 복사 등이 있다. 이들 인자 중 강우는 토양침식에 직접적인 영항을 미친다. 강우의 운동에너지는 토립자의 이탈을 유발하며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흐름은 이탈 토립자를 연행시킨다. 토양침식을 예측하는데 있어 이러한 강우의 영향을 나타내는 지표의 설정은 중요한다. 본 연구에서는 범용토양유실공식(USLE)과 개정공식(RUSLE)의 강우침식도 R의 추정을 위해 1973년부터 1996년 까
        422.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구온난화와 같은 기후변화로 인해 최근에 한반도에서 급증하고 있는 집중호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12개 우량관측소 지점의 연 최대 강우량 계열에 대한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확률강우량의 시간적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료기간을 30년으로 한 후 1년씩 이동하면서 l00년 빈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고, 80% 이상의 지점에서 최근의 집중호우가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료기간을 1년씩 누가하면서 100년 일최대 확률강우
        423.
        200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강유역의 면적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데 있어서 자료기간이 충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지속기간별 연최대치 강우자료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현재 이를 만족하는 강우자료는 9개 기상청 자료이며, 면적 강우량을 산정하기에는 그 분포가 너무 적은게 사실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교통부와 수자원공사 산하 강우관측소 자료 (59개소)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기상청 강우관측소의 관측소밀도를 보정하였으며,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소유역별 면적 확률강우량을
        424.
        200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관측된 단일 강우-유출사상으로부터 최적화 모형과 추계학적 기법을 결합하여 침투율 공식의 최적매개변수와 단위도를 결정하였다. 수문계측유역에서의 최적 단위도와 침투율을 결정하기 위하여 관측 유출수문곡선과 계산치의 절대오차누계를 최소화하는 모형과 절대최대오차를 최소화하는 선형계획모형을 정립하였다. 손실율의 매개변수를 섭동하기 위하여 추계학적 최적화방법 중의 하나인 Multistart 알고리즘을 채택하였다. Multistart는 분석가능영역을 효과적
        425.
        200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인천지방에서의 확률강우량과 확률강우강도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인천기상대에서 관측된 자료로부터 강우 지속기간 10분 ~ 6시간까지의 연최대강우량을 선정하였다. 12개 강우지속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11개 확률분포형을 적용하였으며 Chi-square 검정방법, Kolmogorov-Smirnov 검정방법, Cramer Von Mises 검정방법으로 적합도 검정과 함께 도시적 해석법으로 가정 적합한 분포형을 결정하였다. 확률강우도식은 최소
        427.
        200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마코프 연쇄에 근거하여 지점간 공간상관을 적절히 고려할 수 있는 일강우의 다지점 모의 발생 방법을 제안하였다. 유역 내 여러 지점 대표지점을 선정하여 강우의 발생의 간단한 1차 마코프 연쇄에 의해 모의되도록 하였고 강우강도는 과거자료에서 무작위하게 추출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지점간 공간상관은 모든 지점에 대해 강우강도가 대표지점과 같은 시점의 것이 일관되게 선택되도록 함으로서 그대로 유지시킬수 있었다. 모의된 일강우자료는 평균, 분산이나
        428.
        200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계열모형과 시차분포모형을 결합한 동적모형을 이용하여 강우량과 지하수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시차에 따른 현재 및 과거 강우량과 과거 지하수위를 독립변수로 하여 동적모형을 구성하였다. 지하수위에 미치는 시차에 다른 강우량의 영향을 Almon 다항식으로 분포시켜 시차분포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IHP 대표유역의 방림과 탄부의 지하수위관측소에서 적용된 동적모형은 강우량에 따른 지하수위를 매우 잘 재현해 주고 있으며, 지하 수위의 예측에도 이용할 수 있
        429.
        200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朝鮮哲宗高宗朝以後 嶺南江右學風大振 老德宿儒濟濟相望 三嘉之朴晩醒許后山 丹城之金端磎郭 宇金勿川 咸安之超一山 宜寧之安守坡 金海之盧大訥小訥兄第 密陽之安時軒李省軒許錦洲 淸道之朴進溪 尤其傑特者也. 朝鮮末葉江右學者中 殆半是性齊許傳門徒. 當其朝鮮王朝之末運 而江右學者之如此太盛者 究其所以然 則此地本多鄭寒岡及許眉 之師友淵源世家 而許性齊學統삭流承接其餘派故也. 所以性齊門徒諸賢 旣合力刊行師門各種著述 而合心刊出其淵源師承之未刊著術 例如眉 之經體類纂 寒岡之?集 星湖之文集及全集下노之文集等 湖澣巨秩 鳩財精刊 誠力所及 靡遺如餘, 此等儒林巨役 盖前古未嘗有聞者也. 本稿之作 盖爲槪述朝鮮王朝末葉江右許性齎門徒學問傾向 以爲同學供覽之地也. 性齊門徒之學問淵源 本於退溪南冥兩先生 而退南二翁之學 傳及寒岡鄭逑 寒岡之學傳之於其門生眉 許穆 眉 之學 廣播於近畿南人諸家 而得星湖茶山而大成矣. 近畿之學多急於實用救時之策 而許性齎師受於黃下노 下노聞道於安順庵 順庵直接於李星湖 則性齎之學之淵源 的有其所自來矣 退溪寒岡之學 播在於嶺南者 敦本務實 而其學多致力於修身明德之本者也. 性齋門徒聞見承接柳定齎之嶺南學 兼修性齎之近畿學. 故其學博而約 體用具備矣. 性齋門徒大率標榜明體適用之學 而博通萬事萬物之理 而約之以日用社中之禮 其所謂博文約禮 此之謂也. 日用動作云爲之間 必求合當處 其所謂下學上達 此之謂也. 其所著述編刊者 要在於實用 故多用簡約節要之法 其記事 實 要在於周密詳盡 故日記日錄之類甚富. 以此可以槪見其博文約禮下學上達之模楷矣. 此外 性齋門徒 祖述眉 以下諸賢所及文化正統論 上自檀箕下及羅麗 認爲朝鮮舊來文化嫡統 而因其統而尊崇之. 究其根底 可見綿綿不絶的民族自主文化傳統觀矣. 性齋門徒 實際上 參與當代政權者 無幾人 而其政見見於上疏雜著等文者 以民爲天 以保民爲爲政第一義 是亦出於三百年失權之餘者 而實不離於先儒所論孔孟三代之治也. 江右性齋門徒之學 雖盛於鮮末畿嶺會通之際 而其學終歸於寒岡淵源舊脈而當王朝末運 極緊有力於結束儒林 以推動儒林國權恢復運動之一端佐 不矣. 此等諸條 實可謂善繼近畿實學與嶺南儒學之舊來眞詮者也 而其細目 則今不暇詳論矣.
        431.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해안의 3개 실험유역을 선정, 강우-유출 현상 중 홍수수문곡선을 모의하기 위하여 선형저수지 모형을 적용하고 모형의 매개변수를 유역특성과 상관시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총 8개 모형이 이용되었으며 3개 유역, 5개 수위관측지점에서 시험·적용하였다. 선정된 모형의 매개변수 최적화는 선형계획기법의 일종인 Rosenbrock방법을 이용하였고 유도된 모형의 매개변수는 또 다른 강우-유출 사상에 모의하여 검정하였다. 그리고 검정된 모형 중 Nas
        432.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LRCS 모형을 낙동강 수계 송리원 수위표 지점의 18개 호우사상에 대하여 보정 및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의 국내 하천에 적용성을 확인하였고, 모형의 적합성 분석 결과 LAD 추정자가 LS와 WLS에 비하여 좋지 못한 결과를 얻었다. "hot" 행렬의 대각 요소(hi)와 영향성 척도(Di)를 매개변수 추정치를 분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매개변수 IL이 모형 출력에 가장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매개변수의 오차에 따른 오차 전파의 정도는
        433.
        199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이상호와 이길성(1995)에 의해서 제안된 LRCS(Linear Reservoir and Channel System) 강우-유출 모형의 기본 이론을 소개하였고, 모형의 민감도 분석 및 보정과정에서 나타나는 목적함수에 따른 모형 출력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정시 매개변수 영향성 분석을 위한 "hat" 행렬과 영향성 척도의 사용을 제안하였고, 매개변수 추정시 오차 전파에 따른 모형 출력의 변화 정도 및 모형 예측치 분산과 매개변수 변화에
        434.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역의 토양유실량을 정확하게 추정하는 방법은 아직 없으며 현재로서 가장 바람직한 유사한 지역의 토양유실량 실측자료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측자료가 없는 경우에는 범용토양유실공식(USL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과 같이 경험적으로 토양유실량을 추정하는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범용토양유실공식의 인자 중 지역의 수문 특성에 지배되는 되는 것으로 강우침식도(rainfall erosivity) {{{{{ R}_{}}}}}
        435.
        199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강우에 대한 대표 확률분포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 확률분포형에 의거하여 확률강우강도식을 유도한다. 빈도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11개 분포형에 대하여 모멘트법과 최우추정법 및 확률가중모멘트법으로 모수를 추정하고, 적정성이 있는 모수를 대상으로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여 지속기간별로 각 지점의 적정분포형을 구한다. 전 지역의 강우 동질성을 검정하는 방법으로 비모수적 검정방법인 Mann-Whitney 검정과 Kruskal-Walls 검정을
        436.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cidity in the precipitation and weather patterns that were influenced it at Kimhae area from March, 1992 to June, 1994. The range of pH value in the precipitation at Kimhae is 3.45 to 6.80 and the average is pH 4.62, and the major anion components associated with acidity in the precipitation are Cl-, SO42- , NO3-. These distributions are to be expected the influence of industrialization such as, urbanization and construction of industrial complex at Kimhae area and the long range transporting of air pollutants from China. The weather patterns governing the acid rain at Kimhae were classified broadly into four types(Cyclone(type I-a, type I-b), Migratory Anticyclone(type Ⅱ), Tropical Cyclone(type Ⅲ), Siberia High(type Ⅳ)) and weather pattern which had the most occurrence frequency of acid rain was type I-a and the average pH value of precipitation in this pattern was 4.45, and we are found that the source area of air mass which was accompanied with high acidic precipitation in Kimhae was the central China include with Peking through the analysis of surface weather maps, 850 hPa wind fields, and the streamline analyses.
        437.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Markov 연쇄 모형에 의해 산정된 모의 일 강우량을 일 유출모형인 Tand 모형에 입력시켜 모의 일유출량을 산정함으로써 저수유량계열을 확장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모의된 일 유량계열로부터 지속기간별 연 최저치 계열을 작성하였으며, 지속기간별 연 최저치계열에 대한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분포형은 Lognormal-2, Lognormal-3, Gamma-2, Gamma-3, LogGamma-3, Gumbel-2, W
        438.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 나라 주요 우량관측소 22개 지점의 매년 최대치 강우자료에 대하여 빈도해석을 실시하였다. 매개변수 추정방법은 모멘트법, 확률가중 모멘트법, 최우도법 등이며, 매개변수 적합성, 도시적 해석, 분리효과, 적합도 검정결과 GEV 분포가 우리 나라 강우자료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확률분포형으로 나타났다. 선정된 GEV 분포형을 모집단의 확률분포형으로 가정하여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므로써 지역적 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정확도 있는 선형화 기법을 통해 회
        439.
        199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공간 분포의 해석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Thiessen 또는 Kriging 법들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인 SANN(Spatial-Analysis Neural-Network)을 소개한다. 이 모델은 신경망 기법을 이용한 비매개 변수법의 일종으로 미측정 기점의 평균값 뿐만 아니라 분산, 왜도 등의 고차 통계치를 제공하여 준다. 또한 어떤 기점에서의 공간변수의 값이 그 심각도에 따른 미리 지정된 여러 분류들 중 각각의 분류에
        440.
        199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centrations and wet deposition flux into the sea of heavy metals of precipitation in Pusan area were measured and estimated. The samples were collected by polyethylene bottle(30ℓ) from January to November in 1996, and heavy metals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meter. The concentration order of heavy metals was Al >Fe >Zn >Pb >Mn >Cu >Ni >Cd >Co, and they were high at inland sites and low at coastal sites. The enrichment factors for some metals(Zn, Cu, Pb, Cd), based on crustal Al,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unity, and the order was Cd > Pb > Zn > Cu. This evidence suggests Cd and Pb are derived predominantly from non-crustal sources. Al, Fe and Mn contents showed good correlation with each other. Therefore this enrichment factor indicates similar geochemical behavior of these elements. The annual wet depositional flux(㎎/㎡/yr) from P1 site was as follows: Al (121.1), Fe,(177.2), Zn(12.9), Mn(6.19), Pb(14.4), Cu(0.64), Ni(1.03), Cd(1.02) and Co(1.01).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