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점필재 김종직은 조선초기 사림의 종사이다. 그가 조선조 도학의 선구자로 일컬어지는 것은 그 자신이 문학과 학문에 있어서 탁월한 성취를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지방 행정을 통하여 인륜 도덕을 숭상하는 사회 기풍을 일으키는 모범적인 사례를 보여주었고, 그 문하에 도학의 이념을 실천하는데 앞장선 훌륭한 후학들을 양성해내었기 때문이다. 점필재의 도학 이념에 입각한 정치 교화와 교육의 실천 모범은 그가 지방관으로 근무하였던 10년 동안에 가장 잘 나타난다. 이런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점필재가 함양군수로 봉직하였던 5년 동안의 시문 가운데 정사를 임하는 태도와, 풍교의 대책과 강학 및 유상의 정서를 추적하여, 점필재의 평소 학문 사상과 정치 교육의 성과가 조선전기 도학의 선구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점필재는 함양군수로 부임하면서부터 수시로 관내를 순시하면서 지역의 역사와 물산, 홍수의 재해, 조세와 부역 등, 民生에 대한 깊은 관심과 애정을 보여주었고, 함양읍성 나각을 보수하고 다원을 경영하는 등 조선초기 지방관원으로서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 만큼 고을 주민의 편익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하여 시행하였다. 그는 또한 향교를 보수하고 향교를 중심으로 향음 향사 양로의 의식을 거행하여 인륜 도덕으로 풍속을 순화한다는 風敎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한편으로 많은 문생들을 받아들이고, 그 문생들과 고을 주변의 산천을 다니면서 수시로 학문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도학과 심학의 단서를 열어주었다. 점필재는 함양군에서 시행한 시정과 풍교 강학의 규범은 이 시대 학자들에게 도학 정치 실현의 한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인재들은 조정의 관료나 재야의 문인 학자로서 그의 모범과 신념을 널리 확산함으로써 한 시대의 새로운 조류를 형성하였다. 그런 점에서 함양은 점필재 김종직의 학문 사상과 경륜이 구체적인 모습으로 드러나 조선조 도학의 본류를 형성하는 전환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조선중기의 임진왜란 초기에 경상우도의 의병 봉기에 크게 기여하고, 정유재란을 당하여 고립된 황석산성에서 전직 군수로서의 직분을 지켜 순절하였던 대소헌 조종도가 한국의 인물사 내지 문화사에 있어서 가지는 의의를 점검하고, 역사 문화 인물로서 대소헌 조종도의 위상을 역대 문헌에 수록된 그 인물 형상의 특징을 통하여 개괄하고자 집필되었다. 본론에서는 먼저 대소헌과 관련된 문헌을 사망 직후의 애도를 표한 輓章과 祭文, 친지나 가문 기록으로서의 碑誌와 傳狀, 국가나 사림의 공식 추모 문자로서의 褒贈 追崇의 문자 등 세 층위로 나누어, 해당 인물에 대한 사적 애도와 공적 추모의 전개 양상을 점검하고, 다음으로 이들 문헌에 빈번하게 나타내는 인물 형상의 특징적인 징표를 大笑子와 烈丈夫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요약하고, 그 인물 형상의 성립 정착 과정을 추적하는 한편, 이 두가지 징표가 가지는 인물사적 문화사적 의의를 간략하게 추론하였다. 결론에서는 대소헌 조종도가 남명 조식의 문도로서 학문을 성취하여 통달한 식견과 활달한 처신 및 왜란 도중 의병을 일으켜 국난에 헌신하고 황석산성에서 대의를 지켜 죽음을 감수한 행적으로 인하여, 그와 교유한 당대의 지인들은 물론 후대 사대부 지식인으로부터 대대로 추숭되고, 조정과 사림으로부터 누차 포증을 받아, 조선왕조의 역사에 있어서 유가 의리와 신념에 충실하여 죽음을 사양치 않은 인물 전형의 하나로 각인되었다고 논평하였다.
        3.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慶尙右道에서 활발한 敎學 활동을 벌였던 晩醒 朴致馥은 定齋 柳致明과 性齋 許傳의 학문을 계승하여 理學과 禮學에 조예가 깊었다. 이 논문에서는 만성의 문집에 수록된 그의 禮說을 禮本質論, 經禮 해석 관점, 變禮 조처의 경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는 각종 變禮를 논함에 있어서 대체로 󰡔家禮󰡕에서 수립 된 典範을 준수하여 원칙에 입각한 조처를 강구하였다. 그는 예의 본질이 忠信 質素에 있다고 하여 소박한 인정의 진실성을 중시하였으며, 人情의 편안함을 전제로 하여 廬墓의 관습과 묘소가 없는 선조의 壇享과 影幀을 모시는 生辰祭 를 긍정하는 논리를 세웠다. 經禮의 해석에 있어서 桑主와 栗主의 차이를 喪과 慄의 의미로 해석한 것이나, 春秋左傳과 周禮에 근거하여 爲人後者에 대한 새 로운 해석을 제안한 것, 影幀과 神主의 의미를 生事와 死事의 도리로 구분한 것 등은 모두 그의 독특한 創見이다.
        4.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물천 김진호는 19세기 말 영남 강우지역에 활동하였던 저명한 학자로서, 그 의 학문은 성재 허전의 예학과 한주 이진상의 이학을 계승한 것으로 알려져 있 다. 본고에서는 예학의 관점에서 그의 예설을 개괄하고, 그가 제안한 독특한 예 설의 내용과 그 성격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다면 김진호는 허성재 예설 의 충실한 계승자로서 그의 예설은 대부분 허성재가 편찬한 󰡔사의󰡕에 근거를 두면서 성재의 예설을 옹호 계승하는데 할애되었다. 이런 점은 그가 사의의 교 정과 중간을 주도하였다는 사실과, 또 그가 독특하게 제안한 「正服不變說」에도 잘 나타난다. 따라서 물천은 허성재의 예학을 충실하게 계승 전파하는데 기여 한 예학자라 할 수 있다.
        5.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e-gye(西溪) Pak Tae-Moo(朴泰茂) was one of the famours scholars who lived in the right side of Kyungsang province in the 18th century. After the restoration in 1623 the scoholastic trend in this area was desprited with party strifes. He declined all of the successful career, and concentrated his mind on expounding his scolarship based on the Newcofucianism. He devoted himself to studying and practicing sacred books to cultivate his mind. His scholarship intended to keep his principles to establish firm faith for the spritual culture. His principles for the spritual culture could be summrized as the diagram and inscription of Jagyungbyung[自警屛]. The diagram and inscription of Jagyungbyung could be seen as the most representative summary of his scholarship, which he focused in two fundamental concepts Sung[誠] and Kyung[敬]. Soe-gye's interest in endeavoring at self-cultivation was succeeded to the scholarstic mentle originated in Namymung[南冥] and his forefather Pak-Min(朴敏) who was one of the followers of Nammyung and one of the friends of Misu[眉叟]. In partcular he attached much importance to Simhakdo[心學圖]. In this point Soe-gye's scholarship for the spritual culture shows a marked trend toward practical ethics[心學] originated in Namymung school. His discussion for self-cultivation in the rouhly based on the dilat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typical articals of Sungrijulyo[性理節要], but by the way he successfuly explained the purpose and the prescription for self-cultivation.
        6.
        200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朝鮮哲宗高宗朝以後 嶺南江右學風大振 老德宿儒濟濟相望 三嘉之朴晩醒許后山 丹城之金端磎郭 宇金勿川 咸安之超一山 宜寧之安守坡 金海之盧大訥小訥兄第 密陽之安時軒李省軒許錦洲 淸道之朴進溪 尤其傑特者也. 朝鮮末葉江右學者中 殆半是性齊許傳門徒. 當其朝鮮王朝之末運 而江右學者之如此太盛者 究其所以然 則此地本多鄭寒岡及許眉 之師友淵源世家 而許性齊學統삭流承接其餘派故也. 所以性齊門徒諸賢 旣合力刊行師門各種著述 而合心刊出其淵源師承之未刊著術 例如眉 之經體類纂 寒岡之?集 星湖之文集及全集下노之文集等 湖澣巨秩 鳩財精刊 誠力所及 靡遺如餘, 此等儒林巨役 盖前古未嘗有聞者也. 本稿之作 盖爲槪述朝鮮王朝末葉江右許性齎門徒學問傾向 以爲同學供覽之地也. 性齊門徒之學問淵源 本於退溪南冥兩先生 而退南二翁之學 傳及寒岡鄭逑 寒岡之學傳之於其門生眉 許穆 眉 之學 廣播於近畿南人諸家 而得星湖茶山而大成矣. 近畿之學多急於實用救時之策 而許性齎師受於黃下노 下노聞道於安順庵 順庵直接於李星湖 則性齎之學之淵源 的有其所自來矣 退溪寒岡之學 播在於嶺南者 敦本務實 而其學多致力於修身明德之本者也. 性齋門徒聞見承接柳定齎之嶺南學 兼修性齎之近畿學. 故其學博而約 體用具備矣. 性齋門徒大率標榜明體適用之學 而博通萬事萬物之理 而約之以日用社中之禮 其所謂博文約禮 此之謂也. 日用動作云爲之間 必求合當處 其所謂下學上達 此之謂也. 其所著述編刊者 要在於實用 故多用簡約節要之法 其記事 實 要在於周密詳盡 故日記日錄之類甚富. 以此可以槪見其博文約禮下學上達之模楷矣. 此外 性齋門徒 祖述眉 以下諸賢所及文化正統論 上自檀箕下及羅麗 認爲朝鮮舊來文化嫡統 而因其統而尊崇之. 究其根底 可見綿綿不絶的民族自主文化傳統觀矣. 性齋門徒 實際上 參與當代政權者 無幾人 而其政見見於上疏雜著等文者 以民爲天 以保民爲爲政第一義 是亦出於三百年失權之餘者 而實不離於先儒所論孔孟三代之治也. 江右性齋門徒之學 雖盛於鮮末畿嶺會通之際 而其學終歸於寒岡淵源舊脈而當王朝末運 極緊有力於結束儒林 以推動儒林國權恢復運動之一端佐 不矣. 此等諸條 實可謂善繼近畿實學與嶺南儒學之舊來眞詮者也 而其細目 則今不暇詳論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