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55

        42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건축물의 보수보강 및 리모델링 시 구조부재를 부착하거나 고정하는 데 있어서 시공의 유연성 및 용이성으로 후설치 확장앵커의 사용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비교적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후설치 확장앵커를 대상으로 비균열 무근콘크리트에 매입한 확장앵커의 연단거리 및 앵커간격를 변수로 한 전단실험을 통하여 확장앵 커의 전단내력과 하중-변위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연단거리 및 앵커간격에 비례하여 일정비율로 전단내력이 상승하였으며, 파괴모드는 강재앵커 파괴 및 콘크리트 파괴로 각각 나타났다. 그리고 실험결과를 ACI318-19 및 CCD설계기준과 비교분석 하였으며, 향후 보다 합리적인 후설치 확장앵커의 최적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4,600원
        423.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e exposed aggregate number (EAN) and mean texture depth (MTD) of exposed aggregate concrete pavement (EACP) influence the functional performance of EACP in terms of pavement noise and skid resistance. The selection of the exposure time of EACP is important because the designed EAN and MTD of EACP can be achieved when the exposure process is performed at an appropriate time. On the one hand, too early exposure may cause protrusions and unwanted removal of aggregates and mortar. On the other hand, late exposure may cause difficulty in exposure of the mortar. In this study, a method to determine the optimum exposure time for EACP is suggested using a non-destructive method. METHODS : A set of laboratory test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in EAN and MTD of EACP according to the elastic modulus obtained by non-destructive equipment. From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the optimum exposure time using the non-destructive method and the exposure time window (ETW) method was suggested. In addition, the usefulness of ETW suggested by laboratory tests was verified from a field application. RESULTS : From the laboratory tests, it was found that the targets of the surface condition of EACP (EAN: 59 per 25 cm2, MTD: 1.39 mm) can be achieved when the concrete elastic modulus is higher than 20GPa. The proposed guideline using the non-destructive method was applied for the field construction of EACP and achieved similar results. CONCLUSIONS : It was found that the proposed guideline for determining the exposure time window based on non-destructive testing is useful.
        4,000원
        425.
        2021.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hake table test is conducted for the three-story reinforced concrete building structure using 0.28 g, 0.5 g, 0.75 g, and 1.0 g of seismic input motions based on the Gyeongju earthquake. Computational efforts are made in parallel to explore the mechanical details in the structure. For engineering practice, the elastic modulus of concrete and rebar in the dynamic analysis is reduced to 38% and 50%, respectively, to calibrate the structure's natural frequencies. The engineering approach to the reduced modulus of elasticity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inability to specify the flexibility of the actual boundary conditions. This aspect may lead to disadvantages of nonlinear dynamic analysis that can distort local stress and strain relationships. The initial elastic modulus can be applied directly without the so-called engineering adjustment with infinite element models with spring and spring-dashpot boundary conditions. This has the advantage of imposing the system flexibility of the structure on the sub-boundary conditions of springs and damping devices to control its sensitivity in a serial arrangement. This can reflect the flexibility of realistic boundary conditions and the effects of system damping (such as the gap between a concrete footing and shake table, loosening of steel anchors, etc.) in scalar quantities. However, these spring and dashpot coefficients can only be coordinated based on experimental results, making it challenging to select the coefficients in-prior to perform an experimental test.
        4,000원
        427.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섬유보강콘크리트(SFRC) 구조물의 수치해석을 위한 K&C모델의 보정기법을 소개하였다. SFRC 1축 및 3축 압축강도 실험결과를 기반으로 보정을 수행하였으며, 단일요소 해석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보정 기법의 검증을 수행하였다. 또 한, 변형률 속도의 영향을 반형하기 위해 동적증가계수(DIF)를 고려하여 SFRC 구조물의 발사체 관통해석을 수행함으로써 보정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428.
        202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내진설계규정이 정립되기 전에 시공된 콘크리트 교각의 경우 횡철근을 겹침이음하거나 최소한의 배근으로 최적화를 유도하였다. 따라서 지진하중 발생 시 지진에너지를 소산할 수 있는 에너지 감쇠의 효과가 기존 교각들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반복하중을 받는 원형콘크리트 교각 외부에 강판, GFRP, CFRP 보강을 적용한 경우, 교각의 지진대응 성능 향상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범용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인 ABAQUS의 다양한 3차원 요소를 적용하여 교각 구조물을 모델링하였으며,하중은 교각 상부에 횡방향 동적하중과 교각 전체 자중이 고려되었다. 하중-변위 곡선, 응력-변형률 곡선, 연성도, 에너지 흡수 능력(연성도), 손상도를 고려하여 보강에 따른 교각의 내진성능 향상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비보강 콘크리트 교각의 경우 연성도는 78%로 취성파괴 구조물이었으나, 강판보강의 경우 91.0%, GFRP보강의 경우 91.9%, CFRP보강의 경우 92.0%이다. 세 가지 보강의 종류를 비교한 결과 강도, 연성도, 손상도 모두에 있어서 CFRP보강의 경우가 가장 큰 증진 효과를 보이고 있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