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5

        441.
        200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노지에 있는 교잡종 블랙베리의 근맹아를 채취하여 1.2% sodium hypochlorite 용액에 침지하여 표면 살균한 후 BA를 첨가한 변형된 × 1, × 1/2 MS 고체배지에서 다경유도를 시도하였다. 4주간 배양하였을 때 BA 1mg·L-1가 첨가된 기본 MS배지에서 고빈도(83.3%)의 다경유도가 이루어 졌으며, 절편체당 신초수는 0.5mg·L-1 BA를 첨가한 MS 기본배지에서 3.7개로 가장 높게 형성되었다. 또한 12주간 배양하였을 때 4주간 한 경우에 비하여 신초형성율이 4.1배 많은 15.4개가 형성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형성된 신초로부터 뿌리발생은 식물생장조절물질이 첨가되지 않은 MS배지를 1/1, 1/2, 1/4배로 희석하여 신초를 배양하였을 때 특히 1/2 MS 배지에서 95%로 가장 양호하였다. 재생된 식물체는 모래 : 원예용상토 : 버미큘라이트(1:1:1, vol.)혼합토양에서 순화하였을 경우 95%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442.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YB transcription factor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regulation of many secondary metabolites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We evaluated the possible roles of the Arabidopsis R2R3-MYB transcription factor genes in flavonoid biosynthesis as they are induced by UV-B irradiation but are largely unexplored in terms of their associated phenotypes. We found that one member of this gene family, AtMYB60, inhibits anthocyanin biosynthesis in the lettuce plant. Wild type lettuce normally accumulates anthocyanin, predominantly cyanidin and traces of delphinidin, and develops a red pigmentation. However, the accumulation of anthocyanin pigments in AtMYB60 overexpressing lettuce was inhibited. We further found a complete absence of DFR transcripts in AtMYB60 overexpressing lettuce, whereas other biosynthetic genes in the anthocyanin metabolism pathway were expressed. To provide genetic tools the regulation of seed color of rapeseed which has been target for fuel, AtMYB was overexpressed in rapeseed. Transgenic plants showed lighter seed color and improved tolerance to abiotic stress than the wild type plants. The elucidation of the roles of the AtMYB60 transcription factor will facilitate further studies and provide genetic tools to better understand the regulation in plants of the genes controlled by the MYB-type transcription factors.
        448.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배암차즈기 메탄을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해서 항산화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배암차즈기 메탄을 추출물의 전자공여능(RC50)은 51.10 μg/ml로 나타났고 SOD 유사활성은 추출물(0.92mg/ml)을 첨가하였을때 62.11%로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며,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력은 추출물 (0.2mg/ml)을 첨가하여 지질과산화물을 측정한 결과 배양시간 1, 2, 4일 경과후 각각 72.86%, 77.18%, 78.32% 감소율을 보임으로써 효과적인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은 gallic acid equivalents (GAE)로 측정되었고, 202.35± 1.26 GAE μ extract으로 조사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복합 생약추출물(0.2mg/ml)을 첨가하였을 때 pH 1.2조건에서 44.2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배암차즈기 메탄을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와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냄으로써 기능성 식품 소재 및 식품 첨가물로써 사용가능 하리라 사료된다.
        450.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volatile organic compound(VOC) has been noted as a main cause of air pollution. VOC, with its toxic and offensive odor, is hazardous to health. Furthermore indoor, underground and high-rise buildings are preferable living spaces. People spend more than 80% of the day indoor, so indoor air pollution is a matter of importance. In Korea, from 2004, 10 types of indoor pollutants in public facilities have been identified.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for individual VOC, so the regulation has not yet effectively been carried out. In this study, we have studied on the diffusion of Benzene in a room using a numerical analysis for various air-controlled conditions consisted of door, window and ventilation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s spatial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time-history of room-averaged benzene concentration for several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hen the room is ventilated by a small fan only for 30 minute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benzene is decreased a very little, thus the impact to human body would be serious compared to the case of natural ventilation by window and door. In the case of natural ventilation by window and door, if the wind speed is higher than 0.5m/s, it takes small than 4 minutes for benzene to spread to the target concentration of 1.2mg/㎥.
        455.
        200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수의 국내 재래종 중에서 선발 육성된 ‘동장군’의 주요 특성은 잎이 가늘고 길며, 부추 고유의 향기가 강하고 부추잎의 vitamin C 함량이 높은 품종이었다. 개체당 분얼력이 왕성하고, 예취후 잎의 재생기간이 빠르다. 개화기는 7월 18일로 ‘그린벨트’에 비해 10일 정도 빠르고 개화기간은 다소 짧은 편이다. 화경당 꽃수나 종자수는 대비품종에 비해 적은 편이었다. 잿빛 곰팡이병에 대한 저항성은 약한 편이며 저온에 대한 내성은 비교적 강하다. 3년간 생체수량을 검토한 결과 ‘그린벨트’에 비해 3회 예취 평균수량이 6% 증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