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is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Saebada in order to analyse the mesh selectivity for trawl cod-end, in the Southern Kore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hrough August, 1992. The trawl cod-end used in this experiment has the trouser type of cod-end with cover net. and the mesh selectivity was examined for the five kinds of the opening of mesh in its cod-end part. A total of 163 hauls, of which having mesh size 51.2mm ; A 89, 70.2mm ; B 54, 77.6mm ; C 55, 88.0mm ; D 52 and 111.3mm ; E 20 were used respectively. Selection curves and selection parameters were calculated by using a logistic function, S=1/(1+exp super(-(aL+b)) ). The mesh election master curves were estimated by S=1/(1+exp super(-[a(L/M)+β]) ). and the optimum mesh size were calculated with (L/M) sub(50) of master curve. In these cases 'a' and 'α' are slope, 'b' and 'β' are intercept. 'L' is body length of the target species of fishes, 'M' is the mesh size, and 'S' denotes mesh selectivity. In this report, the four species of compressed form fishes were taken analized according to fish shape, and 'S' denotes mesh selectivity. In this report, the four species of compressed form fishes were taken analized according to fish shape,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d seabream Pagrus major(Temminct et Schlegel) and yellow porgy Dentex tumifrons(Temminct et Schlegel) ; Selection rate in each mesh size of A, B, C, D and E were 99.7%, 97.5%, 91.4%, 76.7% and 57.8%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of mesh sizes C, D and E were 2.65 and -28.62, 4.40 and -77.73, 2.31 and -46.99, and their selection factors were 1.39, 2.10, 1.83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α' and 'β' were 3.05 and -5.65 respectively, and (L/M) sub(50) was 1.85. The optimum mesh size of Red seabream was 141mm. 2. Filefish Thamnaconus modestus (Gunther) ; Selection rate in each mesh size of A, B, C, D and E were 99.6%, 98.3%, 91.2%, 80.0% and 48.6%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of mesh sizes C, D and E were 5.82 and -55.10, 2.92 and -36.90, 3.91 and -63.09, and their selection factors were 1.35, 1.44, 1.45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α' and 'β' were 3.02 and -4.32 respectively, and (L/M) sub(50) was 1.43. The optimum mesh size was 129mm. 3. Target dory Zeus faber Valenciennes ; Selection rate in each mesh size of A, B, C, D and E were 99.7%, 100%, 83.2%, 91.6% and 65.0%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of mesh sizes C, D and E were 3.85 and -32.46, 4.19 and -57.38, 2.45 and -40.03, and their selection factors were 1.09, 1.56, 1.47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α' and 'β' were 2.64 and -3.53 respectively, and (L/M) sub(50) was 1.34. The optimum mesh size was 127mm. 4. Butterfish Psenopsis anomala (Temminct et Schlegel) ; Selection rate in each mesh size of A, B, C, D and E were 99.2%, 34.1%, 46.5%, 14.3% and 2.4%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of mesh sizes B, C and D were 5.35 and -71.70, 5.07 and -69.25, 3.31 and -62.06 and their selection factors were 1.91, 1.75, 2.13 respectively. Selection parameters of master curve 'α' and 'β' were 3.16 and -6.24 respectively, and (L/M) sub(50) was 1.98. The optimum mesh size was 71mm.
감응물질로 제4급 암모늄염을 사용하여 PVC를 지지체로 과염소산이온의 농도 10-6M까지 측정가능한 이온 선택성 전극을 제작하였다. 감응물질의 화학적 구조와 함량, 가소제의 종류 및 막 두께에 따른 선형응답 범위와 Nernst의 기울기 등 전극특성을 검토하여, 최적 막조건을 구한 다음 측정가능 pH범위와 여러 방해이온에 대한 선택계수를 비교 검토하였다. 과염소산 이온선택성 전극에서 감응물질의 화학적 구조 즉, 알킬기의 탄소고리수가 증가할수록 선형응답 범위 등 전극 특성은 Aliquat 336P, TOAP, TDAP 및 TDDAP의 순서로 좋아졌다. 가소제는 DBP가 가장 좋았고, 감응물질의 양은 최적 함량 이상에서 적을수록 좋았다. 최적 막 조성은 TDDAP 9.09, PVC 30.3 및 DBP 60.61wt%이었고, 막두께 0.45mm이었다. 이 조건에서 선형응답 범위 10-1~1.2 × 10-6M, 검출한계 5.1×10-7M 및 Nernst기울기 57mV/pClO4이었다. 막전위는 pH 4~11 범위에서 pH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선택계수 서열은 다음과 같았다. SCN->I->NO3->Br->ClO3->F->Cl->SO42-
In order to estimate the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s and the optimum mesh size, experiments were made by the cover net method with the cod-ends of the five different the opening mesh sizes(51.2mm, 70.2mm, 77.6mm, 88.0mm and 111.3mm). After that 163 hauling were performed and there by investigated, on the training vessel Saebada in the Southern Korean Sea and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o August 1992. In this report, the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s were fitted by using logistic function(S=1/(1+exp super(-(aR+b))), R=(L-L sub(0))/(M-M sub(0)) and the optimum mesh sizes were estimated from each master curve. In this case, a and b are the selection parameters, M is the mesh size of each experimental cod-end. L is body length, L sub(0) and M sub(0) is the distance from the coordinate origine to intersection of linear regression between 25% and 50% selection length.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rachurus japonicus: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 parameters: a and b were 2. 25, -4.73 respectively and optimum mesh size was estimated to be 79.3mm. 2. Trichiurus lepturus: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 parameters: a and b were 0.81, -3.17 respectively and optimum mesh size was estimated to be 64.5mm. 3. Photololigo edulis: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 parameters: a and b were 1.30m, -4.10 respectively and optimum mesh size was estimated to be 89.9mm. 4. Todarodes pacificus: Mesh selectivity master curve parameters: a and b were 1. 35, -3.45 respectively and optimum mesh size was estimated to be 89.4mm.
1, 2-Isopropylidene glycerol produced by ketalyzation of glycerol with aceton was esterified with long chain fatty acids in the presence of a Mucor miehei lipase to obtain 1, 2-isopropylidene 3-long chain acyl glycerol. To determine optimal conditions for the esterification reaction, esterification was proceeded as a reversible second-order reaction in various parameters that are enzyme<SUB>strate ratio 0.096g</SUB>g at reaction temperatures ranged from 25℃ to 70℃. The order of reaction rate of fatty acids were lauric acid, myristic acid, oleic acid, and stearic acid. The range of their activation energies were from 7.8 to 11.4 (kcal/mol) and that of entropies of activation which have negative values were from 42.8 to 52.5(e.u.).
Anionic polyolic surfactants, alpha-sulfo fatty acids that straight long chain alkyl group has from 12 to 18 hydrocarbon numbers, was synthesized with sulfur trioxide-dioxane complex to good yields. New sodium alpha-sulfo long chain fatty acid monoglyceride were obtained by reaction that the ketalificaticn and esterification of glycerol, acetone and alpha-sulfo long chain fatty acid and hydrolysis respectively. These reaction products separ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and their Rf values(Rf×100) were 19, 21, 24 and 26 respectively.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infrared spectroscopy and 1H NMR spectroscopy.
본 연구는 한국기업의 海外企業引受에 관한 탐험적 연구로서 어떠한 특성을 가진 기업일수록 國際合倂ㆍ引受戰略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지를 logit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기업들의 事後滿足度를 종속변수로 하고 기업 및 환경적 특성변수를 독립변수로 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어떠한 특성을 지닌 한국인수기업이 해외인수기업에 대하여 만족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영업상태가 양호한 企業을 인수하는 것이 引受後滿足度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기술취득 목적으로 인수에 나선 한국기업들이 당초의 기대와는 달리 만족할만한 成果를 얻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취득을 목적으로 海外企業을 인수한 한국기업들이 별로 만족하지 못하는 점에서 앞으로 국내기업들이 해외기업을 인수하고자 할 때 인수대상기업의 技術力ㆍ기술수준 등 經營力에 대한 세밀한 평가와 분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비교적 成長이 빠른 한국기업일수록 海外企業引受에 대하여 만족하지 않는다는 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즉, 成長速度가 빠른 기업이 國際化擴大를 위해 해외진출을 고려할 경우 해외기업인수가 최선의 海外市場進入 방법이 아닐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90년대 산업의 질적 고도화와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科學技術의 중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政府出捐 硏究機關들이 외국으로부터 산업기술 및 공공기술에 필요한 기술도입계약과 함께 정부 특정연구과제로서 國際共同硏究와 아울러 國際技術協力 등을 중심으로 한 公共技術協力을 추진하고 있다. 민간제조기업의 기술도입경로가 海外直, 合作投資 및 技術導入契約 등인 데 비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기술도입경로는 기술도입계약외에 公共技術協力 (이는 국제공동연구, 국제기술협력 등으로 대별됨)이라는 상이한 경로를 밟고 있다. 그러나 국제간 기술이전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이 민간제조기업에 의해 수행되는 현상을 연구해온 데 대해 본 연구에서는 이미 중요한 기술도입주체로 부각되어 향후 우리나라를 기술대국으로서의 기반을 짊어져야 하는 주체로서의 정부출연연구기관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기술도입경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규명해 보자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기관이 갖는 特有性(uniqueness)을 smoothe시키고 普遍性(universality)을 전제로 하기 위해 새로이 구성하였다. 한편 기술도입경로도 민간기업과는 달리 기술도입계약, 공공기술협력(국제공동연구, 국제기술협력)등으로 재편하였다. 보다 보편적인 決定要因을 추출하기 위해 독립변수군을 기술특성군, 기술제공특성군, 기술도입자특성군, 정부특성군 등으로 4대분류하여, 기술도입경로선택의 결정요인을 檢證하였다. 결론적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外國技術導入經路의 選澤 및 說明變數로는 다수 (예: 기술수명 주기상의 위치, 기술연령, 기술도입담당부서, 국제협정지원 등) 가 선정될 수 있으나 그 중에서 技術의 垂直的 位階分類가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밝혔다. 즉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개별성 및 특유성에 관계없이 도입기술이 기술위계상 基礎基盤技術일 경우에는 國際共同硏究, 應用技術일 경우에는 國際技術協力, 常用化技術일 경우에는 技術導入契約이라는 經路를 선택하는 성향을 검증했다는 점이다. 이 연구결과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경우 기술위계상 특성에 따라 외국으로부터 기술도입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In order to analyse the mesh selectivity for the trawl net, the fis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Saebada in the southern Kore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o August 1992. The trawl net used in experiment has the trouser type of cod-end with cover net, and the mesh selectivity was examined for the five kinds of the opening mesh size in its cod-end part. The selection curves and the selection parameters were calculated by using a logistic function, S=1/(1+exp super(-(aL+b))), and in this case, a and b are the selection parameters and L is the body length of the target species of fishes. In this report, the four species of aquatic animals were analysed because the catch data were enough to calculate normally the selection curves and the selection parameters, an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rachurus japonicus;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in each cases of the opening mesh size of 51.2mm, 70.2mm, 77.6mm, 88.0mm and 111.3mm were respectively 0.5050 and -5.4283, 0.3018 and -4.9590, 0.3816 and -7.3659, 0.2695 and -5.7958, 0.2170 and -5.1226. 2. Photololigo edulis ; Selection Parameters a and b in each cases of the former mesh sizes were respectively 0.7394 and -6.1433, 0.3389 and -4.2366, 0.3286 and -5.1002, 0.2543 and -5.0049, 0.1795 and -4.8040. 3. Trichirus lepturus; Selection curves in the opening mesh size of 111.3mm was calculated unnormally. The selection parameters in the other opening mesh sizes were respectively 0.3790 and -5.2891, 0.2071 and -4.9164, 0.1292 and -3.1733, 0.1153 and -3.8497 in the order of former mesh sizes except 111.3mm. 4. Todarodes pacificus ; Selection curve in case of the opening mesh sizes, 70.2mm and 111.3mm were calculated unnormally. In the order cases of the opening mesh sizes, the selection parameters were respectively were 0.5766 and -6.0169, 0.3735 and -5.4633, 0.2771 and -5.7718 in the order of former mesh sizes except 70.2mm and 111.3mm.
In order to analyse the mesh selectivity for the trawl net, the fishing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the training ship Saebada belonging to the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in the Southern Korea Sea and the East China Sea from June 1991 to August 1992. The trawl net used in the experiment has the trouser type of cod-end with cover net and the mesh selectivity in the cod-end part. In this report, the species of fishes caught and the catch rate for them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mesh size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145 species of aquatic animals were caught in totally 138 times of trawl operations. 2) The number of species mostly not to escape are 28, 22, 19, 16 and 11 respectively, in each opening mesh size, 51.2mm, 70.2mm, 77.6mm, 88.0mm and 111.3mm of cod-end. 3) In view that the use of the opening mesh size above 54mm in cod-end of trawl ne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device a counterplan against the overfishing, for the 22 species of aquatic animals mostly not to escape in the cod-end of the large mesh sizes more than 70.2mm.
화학증착법을 사용하여 다공성 Vycor 유리에 선택적 수소 투과성 실리카 막을 제조하였다. 화학증착에는 SiCl4의 가수분해 반응이 이용되었으며, 반응물인 SiCl4와 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주입하여 막을 제조하는 opposing-reactants film deposition방법과, 반응물을 다공성 유리관의 한쪽으로만 공급하는 one-sided film deposition 방법을 모두 사용하였다. 제조된 실리카 막을 통한 수소의 투과도는 600℃ 이상의 온도에서 0.01-0.25cm3cm2-min-atm의 범위에 있었으며, 수소의 질소에 대한 투과도 비는 1000정도였고, 온도의 증가에 따라 실리카 막을 통한 수소 및 질소의 투과도는 증가하였다. Opposing reactants film deposition 방법으로 제조된 실리카 막은 비교적 안정성은 높으나 수소의 투과도가 낮은 반면, one-sided film deposition 방법을 사용하면 수소의 투과도는 높으나 안정성이 낮은 막이 얻어졌다. 이러한 실리카 막은 고온에서의 기체분리 및 분리막 반응기에 응용하기 위하여는 높은 선택적투과성 및 안정성이 요구되며 막 제조 조건 및 방법이 최적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本 硏究에서는 韓國企業에 의한 國際技術移轉 經路의 選擇問題를 다루어 봄으로써 그동안 소홀히 취급되었던 開途國 기업에 의한 國際技術移轉의 특징을 부분적으로나마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國際技術移轉 經路를 라이센싱과 單獨投資의 두가지로 구분하고 두가지 經路를 선택함에 있어서 한국 기업들은 어떤 要因을 고려하여 意思決定을 내리고 있으며, 그러한 요인들의 특성에 따라 技術移轉 經路의 선택을 어떻게 달리 하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 韓國企業의 國際技術移轉 經路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는 요인 및 관련변수에 대한 硏究模型 및 硏究假說을 설정하고 설문조사의 결과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假說을 檢證하였다. 經路 選擇要因의 추출을 위해서는 判別分析(Discriminant Analysis)을 이용하였으며, 추출된 요인이 技術移轉 經路의 선택과 어떤 방향으로 관련되어 있는가에 대한 가설검증을 위해서는 로지트 모델(Logit Model)에 의한 離散變數 回歸分析(Discrete Regression)을 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韓國企業들은 國際技術移轉 經路의 선택에 있어서 충분한 事前情報의 수집을 하지 않고 일상적으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판단 기준에 의해서 원시적인 방법으로 意思決定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동안 값비싼 댓가를 지불하고 도입한 기술을 改良하고 適合化 시켜 오는 과정에서 어렵게 축적한 여러가지 경험과 노우-하우를 지나치게 과소평가하고 너무나 쉽게 海外로 移轉시켜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시행착오를 시정하고 우리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技術에 대한 충분한 댓가를 확보하기 위한 適切한 方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멸구류의 난기생봉인 Anagrus incarnatus Haliday의 기주탐색, 고매행동, 산란습성 그리고 생색형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난괴가 있는 엽초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188.5초였고 기주에 도달후 안테나의 drumming시간은 17.5초, tapping 72.4초, 삽입하여 산란하는데 206.7초 걸렸으며 교미 시간은 16~21초 정도였다. 본 종은 양성생식과 단위생식을 겸하며 교미시의 암수 비율은 약 3:1이었고 자성단위 생식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