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55

        56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공기열원 히트펌프 온실에서 환기에 의해 배출되는 에너지 즉 잉여 태양에너지 및 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하여 축열량 및 이들 에너지를 이용한 온실의 난방효과를 실험적으로 검토하였다. 태양열 집열기의 경우, 실험기간동안 누계 수평면 일사량의 최대, 평균 및 최솟값은 각각 52.2, 22.9 및 3.2 MJ․m-2이었고, 총 일사량은 869.8 MJ․m-2 정도였다. 그리고 집열량의 최대, 평균 및 최솟값은 각각 38,118.2, 22,545.9 및 2,622.1 kcal 정도였고, 총 집열량은 856,742.6 kcal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잉여 태양에너지의 경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온실로부터 회수되는 열량은 다르지만, 온실로부터 회수된 총 잉여 태양에너지는 375,946.7 kcal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히트펌프의 경우, 설정온도를 고려하지 않고 축열된 총 축열량은 17,519,085.3 kcal이고, 이 때 소비된 소비전력량은 7,169.6 kWh정도이었고, 시스템의 성능계수는 2.84정도이었다. 그리고 온실로 공급된 난방에너지는 최저 외기온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기간동안 총 난방에너지는 9,554,541.9 kcal로서 시간당으로 환산하면 평균 6,653.1 kcal․h-1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제 히트펌프에 의해 축열된 량의 54.5%정도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난방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기간동안 태양열 집열기, 잉여 태양에너지 및 히트펌프에 의한 축열량을 난방에너지로 100.0% 이용할 경우, 탄소배출량은 각각 259.7, 116.9 및 5,403.5 kgCO2정도 절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4,500원
        56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uit peels are potential sources of proteases which can help to the proteins digestion and the encapsulation technique is widely used in food industry, which preserves active ingredients in food products by forming coating membrane.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addition of encapsulated fruit peels (kiwi, T1; pineapple, T2; pear, T3; fig, T4) on the quality stability of press ham was studie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1, 15 and 30 days). In the first experiment, the press ham was prepared with either encapsulated fruit peels or fruit peels powder (without encapsulation) and we observed that the press ham formulated with fruit peels powder showed a texture defect, but no change with encapsulated fruit peels probably due to the proteolytic activity of proteases were prevented by the encapsulation.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press ham were made with 0.1% encapsulated fruit peels or normal press ham (control) and stored at different days as mentioned above. Our results revealed that T2 showed the highest moisture content, while the control had the highest fat content. The press hams made with all types of encapsulated fruit peels had significantly higher hardness value than the control throughout the storage. Additionally, higher taste, texture and acceptability scores were found in the press ham with encapsulated fruit peels than those in the control. Overall, it i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encapsulated fruit peels into meat products may enhance the protein digestion and absorption during the digestive processes without the negative effect on texture and sensory traits.
        4,000원
        563.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Carnitine is an antioxidant for the transport of fatty acids in mitochondria and breakdown of lipids for metabolic energy. Some studies have suggested that carnitine improves sperm motility in mamm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carnitine on the characteristics in fresh semen of miniature pigs. The collected fresh semen was stored in modena B medium with L-carnitine (0, 1.0, 2.0, and 4.0 mg/ml) for 10 days at 18℃. The semen quality of viability, acrosome reaction and mitochondria integrity was analyzed on 0, 3, 7, and 10 day of semen storage. The percentages of live and dying sperm were not different among treatment group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L-carnitine during the storage period. In acrosome reaction analysis, when the sperm stored for 7 day, the percentages of live sperm with acrosome reaction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in 1 (9.0±0.9%), 2 (7.6±0.2%) or 4mg/ml (7.9±0.8%) L-carnitine-treated groups than the control group (0 mg/ml L-carnitine) (11.12±0.2%).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 in percentages of live sperm with acrosome reaction for 3 and 10 days of storage with each concentrations of L-carnitine. When sperm was stored for 3 and 10 days, the percentages of live sperm with mitochondria integr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2 mg/ml of L-carnitine-treated group than control group (p<0.05). In conclusion, the L-carnitine has a positive effect on acrosome reaction and mitochondria integrity in liquid state of fresh semen in miniature pigs.
        4,000원
        56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people seek a healthy, wealthy, and quality life more than before, interests in mineral water are picking up and the consumption continues to increase accordingly. In an experiment to examine changes in the water quality after mineral water on the market was kept indoor and outdoor for four weeks, there seemed to be no problem in external appearance. Water kept in an outdoor storage contained more odor-savor than water kept in an indoor storage. Odor was not detected in 90% of the sample, and savor not in 80% of it. As for the mechanism of odor-savor generation, the elution of chemical substances from a container may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general, odor and savor have turned out to be in close correlation to each other. The average number of bacteria in the sample mineral water was 200±10 CFU/mL, and such factors as area of storage and ozone post-treatment did not cause significant effects on the reproduction of common microbes. Hence, it is thought that strict regulations on a production process and reduction of the period of circulation will contribute to customers consumption rates.
        4,000원
        56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육성 벼 29품종의 저장기간과 발아온도에 따른 발아율와 발아속도 및 종자활력변화는 다음과 같았다. 1. 국내 육성 벼 29 품종의 발아율은 저장기간 5개월에서15개월까지 차이가 없거나 적었으며 저장기간 30개월에는 발아율이 저하되는 품종이 많아졌다. 2. 발아속도계수는 저장기간 5개월보다 10개월에 약간 증가하였다가 이후 30개월까지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3. 발아온도가 발아율에 미치는 영향은 저장 15개월까지는 처리온도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저장 30개월에는 저온(15oC)에서 크게 낮아졌다. 발아속도계수는 발아율과 달리 발아온도 간 차이가 뚜렷하여 15, 20, 25, 30oC에서 모두 일정한 정도의 차이를 두고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저장기간 30개월까지 발아율이 98%이상이며 발아속도가 높은 품종은 칠보, 일품, 다산2호, 하이아미, 추청, 일미, 새추청, 백진주이었다. 발아율이 89%이하이며 GCV가 0.25이하인 품종은 영안, 홍진주, 목양, 고아미4호, 고품, 큰눈이었다.
        4,000원
        56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역적 규모의 탄소 축적량 자료는 지역적 규모의 탄소순환 형태의 이해를 위한 필수적 요소이며 지구적 규모의 탄소순환 형태 변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본 연구는 국내 다양한 생태계 중 자연성이 높은 국립공원지역 산림 생태계의 탄소축적량을 산정하여 자연군락이 축적 가능한 탄소축적 잠재량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지인 계룡산 국립공원은 신갈나무류군락 1,743.5 ha (38.0%), 굴참나무류군락 1,174.0 ha (25.6%), 졸참나무류군락 971.90 ha (21.2%), 소나무류군락 695.19 ha (15.2%) 등의 순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 군락의 분포 중심으로 판단되는 지점에 정밀 조사구를 설치하여 biomass 탄소축적량 측정을 위해 매목조사를 실시하였고, 리터층 및 토양층의 탄소축적량은 조사구 내 소방형구(30cm×30cm)를 설치, 리터와 토양 (0~30 cm)을 채취하여 측정된 리터 건중량 및 토양 유기물함량을 기초로 단위 탄소값을 구한 후 해당 군락의 총 면적으로 환산하여 산정하였다. 임목 biomass 탄소축적량은 굴참나무군락이 130.1tCha-1, 소나무군락 111.1tCha-1, 신갈나무군락 76.2tCha-1, 졸참나무군락 39.0tCha-1 순으로 산정되었다. 리터층 탄소축적량은 소나무군락이 18.3tCha-1, 신갈나무군락 13.4tCha-1, 졸참나무군락 5.8tCha-1, 굴참나무군락 5.0tCha-1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탄소축적량은 신갈나무군락이 159.7tCha-1, 졸참나무군락 121.0tCha-1, 소나무군락 110.5tCha-1, 굴참나무군락 90.8tCha-1의 순으로 산정되었다. 생태계탄소축적량은 소나무군락이 239.9tCha-1, 신갈나무군락이 235.9tCha-1, 굴참나무군락은 226.0tCha-1, 졸참나무군락은 165.9tCha-1를 나타냈고 총 867.7tCha-1로 나타났다. 각 군락의 면적 별 탄소축적량은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신갈나무류군락에서 411,200tCha-1, 굴참나무군락에서 265,300tCha-1, 소나무군락에서 166,800tCha-1, 졸참나무군락에서 161,200tCha-1로 계룡산 국립공원에서 총 1,045,400tCha-1로 산정되었다. 계룡산 국립공원의 생태계탄소축적량을 조사한 결과, 탄소축적량은 분포하고 있는 식생군락에 따라 다른 값을 보였으며, 이는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라 식생의 분포 유형 및 종류가 변하게 되면, 생태계 탄소축적량도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한반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567.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신선한 암퇘지의 막창부위에 지방을 제거하고 파쇄기로 잘게 부수어 가열하지 않은 것과 100˚C의 autoclave에서 10분간 가열한 것에 분쇄한 생강을 1, 5 및 10%가 되게 첨가하여 polyethylene film으로 1차 포장한 후 알루미늄 호일로 2차 포장한 다음 5˚C에서 보관하면서 품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저장 중 pH는 첨가구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가열한 막창이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TBA가는 각각 0.1 mg/kg과 0.25 mg/kg으로 가열 막창이 생막창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두 처리구에서 모두 생강의 첨가가 TBA-value의 상승을 억제시켜 저장성을 연장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휘발성 염기질소의 함량은 생강의 첨가로 감소하였으며, 30~40 mg%의 초기부패 판정기준을 고려할 때 생막창은 5˚C에서 4일, 가열막창은 6일 이내에 소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VBN 함량을 기준으로 10% 생강의 첨가는 가열막창의 저장기간을 4일 가량 연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000원
        568.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의 저장성 증진을 위하여 30 ppm의 이산화염소수를 0~15분 동안 처리한 후 저장 기간에 따른 부패율, 이화학적 변화 및 기호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의 경우, 부패율은 저장 4일 이후부터는 부패된 복숭아를 보이기 시작하였으며, 저장 8일에는 31.25%의 부패율을 보였다. 그러나 이산화염소수 처리군은 4일차에는 부패된 것이 전혀 없었으며, 5분 처리군의 경우, 6일차에 6.25%의 부패율을 보였으며, 10분 및 15분 처리한 경우에는 8일 동안 저장하는 동안 부패한 것이 발견되지 않았다. 4일차에는 6시간 처리군만 12.5%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저장 6일차에는 열풍처리시간별로 각각 16.7, 25.0, 25.0%로 대조군과 비교할 때 모든 이산화염소수 처리군의 부패율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중량변화의 경우, 저장 8일 동안 대조군의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pH 변화에서는 이산화염소수 처리에 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저장기간 중 pH는 약간 증가하였다. 경도의 변화에서는 이산화염소수 처리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에서는 대조군보다 이산화염소수 처리군이 다소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의 변화에서는 대조군 및 이산화염소수 처리군 모두 처리 직후와 저장 중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맛, 향, 색 및 종합적 기호도의 변화에서는 이산화염소수 처리 직후에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저장 중 대조군의 기호도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대조군보다는 이산화염소수 처리군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69.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esulting sensory evaluation of semi-dried silver pomfret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HHP) processing and brining for 14 days at 4 and 10˚C to evaluate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HHP processing. HHP treatment and brining could cause compaction of fibers and the space between muscle. The G' values of all samples were higher than the G" values and the tan Δ values of the tissue ranged from 0.222 to 0.251 with no further changes observed during storage. HHP treatment and brining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color difference, and the HHP and brine-treated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s in terms of sensory evaluation. HHP treatment combined with brining coul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emi-dried products and their storage stability, and it is suggested from the results that they may have the potential to satisfy the requirements to produce commercially marketable food grade products.
        4,300원
        570.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urrently,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production factory of medicinal herbs (hGMP) is about 5~ 12℃. This temperature is possible to suppress pest but can not kill the pests. For this reason, we need to lower the temperature during lethal time because the pest has often occurred inside the packaging of medicinal herbs in the distribution process in summ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have investigated the lethal time of the storage insect(Tribolium castaneum Herbst) After we froze medicinal herbs(Cnidium officinale Makino and Angelica gigas N. ) at approx. –70℃ and –15℃ respectively. We then investigated the change of bioactive components and exterior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herb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hange of qua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lethal time of Tribolium castaneum Herbst is about 2 minutes if processed at approx. –70℃, while the other time is about 16 minutes at approx. –15℃. We investigated the change of quality after the treatment of the two medicinal herbs in the similar way but could not confirm the difference of color and brightness and the bioactive components on statistics. Through this research,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process of quick freezing for pest control can not affect the main quality of the medicinal herbs. Therefore this technology can be introduc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medicinal herbs through additional research.
        571.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divided the sample into four groups by temperature regimes and comparing the Lethal effect after exposure to high room temperatures for 50~58 days. After inoculating Cnidium officinale Makino with Tribolium castaneum Herbst, the storage insects of medicinal herbs, was 20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reating cut Cninium officinale Makino are listed below. Survival rate of group A by exposure of 5 times at 35~36.5℃ is less than 7.5%. Survival rate of group C by exposure of 5 times at 35.5~39.5℃ and group D by exposure of 23day at 37~44℃ is less than 2.5%. Especially in the case of group D, we found that complete eradication of the insect is difficult despite exposure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Also most of the grinded Cninium officinale Makino has the same patten but group B by relatively treated low temperature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tality. Insect mortality in cut Cninium officinale Makino by exposure at 35℃ and 39.5℃ is 7.5% and the insect mortality in grinded Cninium officinale Makino by exposure at 39. 5℃ is only 75%. The reason is estimated that heat conduction of grinded Cninium officinale Makino is slow and it was less shocked by heat because The final core temperature of medicinal herbs is relatively low about 0.5~2℃. This means that storage insect(Tribolium castaneum Herbst) can be suppressed at mid-high temperature if it is to be treated more than 50 days without problem of quality deterioration of medicinal herbs that can be caused by high temperature.
        572.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배추김치 제조 후 익힘 시간 및 김치 냉장고 저장 기간에 따른 김치의 위 암세포 증식 억제 효능 변화를 측정해 본 결과, 저장 30일 김치 시료 기준으로 익힘 과정을 거치지 않은 S0h 시료에 비하여 46시간의 익힘 과정을 거친 S46h 시료의 효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이어서 S47h, S48h 시료의 효능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S0h 경우는 상대적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 효능이 가장 약하였다. 이는 적정 발효에 따른 발효 대사산물, 그리고 유산균 속 및 종 변화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되며, 항암 효능 보유물질로 알려진 GABA의 농도와도 연관이 있을 수 있음을 제안해 주고 있다. 김치는 다양한 재료 유래의 기능성 물질, 대사산물 및 유산균을 보유하고 있는 발효식품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김치제조 후 최적의 숙성 시간과 저장 기간을 선택하면 항암 기능성이 증진된 김치를 섭취할 수 있는 것을 제안해 주고 있다.
        4,000원
        57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취나물의 보존과 유통 시에 미생물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hurdle technology를 이용한 데침, 위생처리제와 감압포장 처리에 따른 분석을 하였다. 데침 열처리 후 위생처리제로는 20% 에탄올과 10% NaCl에서 6일 후에 총 세균수가 2 log CFU/g으로 효과적으로 제어되었다. 데침 시의 물온도는 100℃ 온도가 균의 제어에 더 유리하였으며, 보관온도는 4℃ 온도가 균 증식을 적게 하였다. 2회 반복적인 데침과 NaCl 첨가 80℃ 데침 물온도의 처리에서도 현저한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데침 시에 접촉되었던 물이 없는 감압포장 상태에서의 데침도 10일간 2 log CFU/g 총세균수를 보여 주어 세균 억제에 효과적임을 알았다. 그리므로 80~100℃에서 10% NaCl 물로 2회 반복 데침이 취나물의 미생물적인 품질을 높여 주었고, 물 접촉이 없는 반복 데침도 취나물의 보관 유통에 도움이 됨을 알 수가 있었다.
        4,000원
        574.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변량통계기법은 수리지구화학 자료의 분석 및 해석에 많이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 대응분석과 주성분분석을 동시에 사용하여 인위적인 활동에 의한 지하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NETPATH 프로그램 속의 WATEQ4F를 이용하여 지하수 화학성분의 분화를 계산하고 이를 다변량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지구화학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연구지역은 한반도의 남동쪽에 위치한 울산의 LPG 저장시설이다. 본 연구지역에서는 다른 저장시설에서 관찰되는 초염기성의 조성을 가지는 지하수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인위적인 영향에 의한 높은 pH를 가지는 지하수로 인해 Al의 분화특징과 탄산염의 침전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에 지하수에 영향을 주는 두 인위적인 요소(세정작용와 시멘트영향)에 의해서 수리지구화학적인 특징과 상이 어떻게 변하는 가에 초점을 두었다. 이전 연구결과와 두 통계분석을 통해 제시된 결과를 비교하여 지구화학적인 정보를 이용한 주성분분석과 대응분석인 수리지구화학 연구에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300원
        57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방울토마토의 MA 저장시 저장기간 연장과 품질 유지를 위한 비천공 breathable 필름 종류를 구명하고자 진행되었다. 강원도에 위치한 플라스틱 하우스에서 수경재배한 토마토를 담적색기에 수확하여 5oC, 11oC, 그리고 24oC에서 산소투과도가 각기 다른 비천공 breathable 필름(10,000; 20,000; 40,000; 60,000; 80,000; 100,000 cc/m2.day.atm)과 천공필름으로 포장하여 저장하였다. 저장 중 생체중 감소율은 세가지 온도 모두에서 모든 비천공 breathable 필름처리구에서는 0.6%미만이었으나, 천공필름은 5oC는 2.93%, 11oC는 13.29%, 그리고 24oC에서는 27.24%에 달하였다. 포장내 이산화탄소와 산소 농도를 볼 때 5oC와 11oC에서 20,000 cc 필름, 24oC에서 40,000 cc 필름이 MA 조건에 근접한 수치를 보였다. 에틸렌 농도는 산소투과도가 가장 낮은 10,000 cc에서 모든 온도에서 가장 높았다. 저장 중 외관상 품질과 최종일에 측정한 경도와 당도는 5oC와 11oC의 20,000 cc 필름, 24oC의 40,000 cc 필름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산도와 비타민 C 함량은 필름처리에 대한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았을 때, MA 저장시 포장내 대기조성과 저장 종료일의 과실 품질 등을 비교한 결과 방울토마토는 5oC와 11oC에서 20,000 cc 필름, 24oC에서는 40,000 cc 필름이 적합하였다.
        4,000원
        57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리적 기능성을 함유하는 두부를 제조하기 위하여 홍삼추출물을 첨가하여 압착 성형 공정 없는 연두부의 형태로 제조하였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 연두부의 저장기간에 따른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홍삼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은 605.25 μg/mL이었으며, 홍삼 추출물을 첨가군의 함량은 598.51~681.65 μg/mL이었으며, 홍삼 추출물 함량에 비례하였다. 대조군의 ascorbic acid의 함량은 6.42 mg%이었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군은 5.74~7.67 mg%로 대조군보다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polyphenol 화합물 및 ascorbic acid의 변화를 보면 저장기간 내내 대체적으로 대조군보다는 홍삼 추출물 첨가군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환원력의 경우, 대조군은 O.D.값이 0.2781로 나타났으며, 홍삼 추출물 첨가군은 O.D.값이 각각 0.3260~0.3477로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어 홍삼 첨가가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장기간 내내 높은 항산화 활성을 유지하였다.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은 대조군은 20.54 AEAC이었으나, 홍삼추출물 첨가군은 20.63~20.86 AEAC로 홍삼 추출물의 첨가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577.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 of Taraxacumofficinale on the qualitycharacteristics of Yugwa during storag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r than tota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tive index of Taraxacum officinale ethanol extracts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compared with those of Vit.C, whereas they were similar with those of BHA. The L, a, and b levels of Yugwa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 of Taraxacum officinale powder; 6% Taraxacum officinale powder showed the lowest L and b levels. Hardness was unaffected by Taraxacum officinale content during the storage period. Brittleness of Yugwa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in control, 1.5%, and 6% Taraxacum officinale powder, whereas 3% Taraxacum officinale powd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storage. Peroxide 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in 3% and 6% Taraxacum officinale powder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and 1.5% Taraxacum officinale powder after 4 weeks of storage. Taste, flavor, and crispness showed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according to Taraxacum officinale concentration. In conclusion, addition of 3~6% Taraxacum officinale powder provides beneficial effects in terms of storage life of Yugwa without any detrimental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4,000원
        578.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omobile manufacture is a typical integrated assembly production that the numerous parts are committed sequentially to the assembly line. In this type of automobile manufacture, WBS (white body storage) and PBS (paint body storage) are operated to adjust the production sequence and to buffer. Starvation (impossibility of production owing to the insufficient supply) or blocking (impossibility of production owing to the over capacity) could occur in some chance, hence, both storages (WBS, PBS) are integrated as a prevention. This system is called integrated storage.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simulation model of ‘WBS-PBS integrated storage’ and methodology of operation considering both ‘Color grouping’ and ‘Option leveling.’
        4,000원
        580.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hort-grain rice cultivar Choochung with a rough rice moisture content of 21% was air-dried to equilibrate themoisture content to 15, 16, and 17%. After dehulling, brown rice was packaged for storage in laminated paper orLDPE/OPP plastic-film bags (10-kg size). After storage of the packaged rice kernels in plastic and paper bags at10, 15, and 20oC,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were evaluated weekly for 16 weeks. Serious losses in theinternal moisture content of the kernels were observed during storage in paper bags, regardless of the moisture con-tent of the kernels or the storage temperature. The plastic-film packaging was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weightof the kernels for all treatments, but severe fat oxidation problems were encountered, especially when the initialmoisture content of the kernel was 17% and/or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kernels was 20oC. Before two weeks,the fat acidity value of the kernels reached 20mL KOH/100g, a marginal limit for an acceptable taste of cookedrice. Based on this study, the recommended environment for the storage of brown rice for efficient economic storageof the kernels is an initial kernel moisture content of 16%, laminated plastic-film packaging, and a sub-refrigerationtemperature of 15oC.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