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4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cithoceridae의 1 신종, Torodora pseudogalera sp. Nov.을 대만으로부터 발견, 성충 및 암수생식기의 도해와 함께 기재 발표한다.
        3,000원
        45.
        200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48.
        2000.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만산 뿔나방과의 재정리를 통해 10 미기록종 및 1신종이 발견되어 이를 보고하며, 1신종, Faristenia obliqua Park, sp. nov.를 생식기 도해와 함께 기재, 발표한다.
        4,300원
        49.
        1996.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만산 과실파리과의 신종, Cornutrypeta taiwanensis를 그림과 함께 기재한다. 이 종은 대만에서 최초로 기록되는 Cornutrypeta 속이며, 노랑접시트랩을 사용하여 동일 지역에서 채집한 각각 2개체씩의 수컷과 암컷들을 모식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이 종의 계통학적 유연관계는 분지학적인 방법론을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4,000원
        50.
        199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51.
        198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200원
        54.
        2021.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에서는 대만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운율단위에서의 음운 현상의 발음교육을 논의하였다. 단어 경계를 넘어서 하나의 운율단위 를 형성할 때 나타나는 경음화, 비음화, 격음화, 유음화에 대한 실현율 과 오류 형태를 분석하고 이를 표준중국어를 사용하는 학습자와 대조 하였다. 경음화의 실현율이 높은 반면에 비음화와 격음화는 낮고 유 음화는 매우 낮았다. 대만인 학습자는 운율단위를 이루지 못하고 단 어대로 발음하는 오류가 높았고 음절의 종성 자음을 발음하려는 경향 이 강했다. 이는 종성에 장애음이 있는 학습자의 모어의 영향인 것으 로 보인다.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대만인 학습자의 운율단위의 음운 현상과 관련해서, 운율단위의 음운현상에 대한 발음교육, 학습자 모어 를 고려한 발음교육, 운율단위를 구성하는 언어 자료를 고려한 발음 교육 등을 제안하였다.
        55.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how Voice Thread can influence EFL learner writing by providing collaborative activities through which learners actively participated in a feedback exchange. The activity described in this paper is creating two audio books on Voice Thread during the semester. Seventy Korean and Taiwan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activity. During the activity, the students collaborated in constructing and negotiating meaning. The results show that any types of feedback (teachers vs peers; forms vs contents) have an effect on Korean and Taiwan college students' writing revisions. Analysis of a posttest questionnaire also reveals that students were generally motivated throughout the task, using a relatively new technology, Voice Thread, and a well-designed online collaborative task can facilitate interaction in the target language.
        5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세계적으로 다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근 대만은 국제화와 다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 지역으로 매우 적합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만 다문화 교육을 이해하기 위하여 심도 있게 분석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다문화 관련 문헌 및 정책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만은 다양한 민족 구성과 정치사회적 배경으로 다문화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으며, 대륙배우자 및 동남아 배우자의 정착 및 교육에 있어 시민 주도하에 국가정책이 형성되었다. 또한 이들을 ‘신주민’으로 지칭하고, 2007년 중앙 정부에 ‘이민서’ 라는 전담 기관이 설립되어 있으며, 지방정부 차원에서 2008년 타이페이현에 ‘신주민교육지원과’가 개설되어 신주민의 정착과 교육에 대한 정책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 결과, 대만의 다문화 교육정책은 우리 다문화 교육의 발전 방향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