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

        41.
        2005.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주시자극에 대한 시각적 주의집중 정도와 운동시표의 발현 위치가 단순 및 선택반응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스포츠에서의 운동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시각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6명과 3명의 남성 피험자는 각각 3개의 단순반응 과제와 1개의 선택반응 과제에 참가하였고, 각 과제는 1블록 120시행의 합계 22블록으로 구성되었다. 각 피험자는 의자에 걸터앉아 눈이 컴퓨터 모니터에서 40cm 떨어진 위치에, 안면고정대를 이용하여 얼굴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했다. 그리고 나서, 피험자가 버튼을 누르면, 주시점의 위치에 5∼7개의 주시자극이 300ms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제시된다. 주시자극이 제시된 후, 제시된 주시자극의 중심으로부터 8방향 (시계의 12시 방향을 0°로 해, 시계회전 방향으로 45°, 90°, 135°, 180°, 225°, 270°, 315°) 의 주변거리 1°, 2°, 3°, 4°, 5°의 위치에 무작위로 운동 시표가 제시된다. 피험자는 주시자극을 지속적으로 주시하고 있다가, 시선의 중심 및 주변의 임의의 장소에서 나타나는 운동시표에 대해서, 가능한 한 빠르게 단순선택반응동작을 수행했다. 이 실험을 통해 얻어진 단순반응 시간에 대해서는 반복측정에 의한 3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선택반응 시간에 대해서는 반복측정에 의한 2원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움직임 대상에 대해 주의를 많이 기울이며 운동시표에 대한 예측이 어려운 학습자는, 움직임이 예측되는 대상의 바로 위 3° 지점에 시선을 두는 것이 반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며 시각적 주의의 수준을 낮게 유지 할 수 있는 학습자는, 움직임 대상의 바로 위 1∼2° 지점에 시선을 두는 것으로 반응시간의 단축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42.
        200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mor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Anoxic(anaerobic)-Oxic-Anoxic-Oxic (AO)2 sequencing batch biofilm reactors (SBBRs) at the low TOC concentration. The operating time in anoxic (anaerobic) time to oxic time was 1:1.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the effects of the aeration time distribution on the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removal. Three lab-scale reactors were fed with synthetic wastewater based on glucose as carbon source. During studies, the operation mode was fixed. The first aeration time to the second aeration time in SBBR-1 was 2:3, and those in SBBR-2 and SBBR-3 were 1:4 and 3:2, respectively. The organic removal efficiency didn't show large difference among three reactors of different aeration time distribution. However, from these study results, the optimum aeration time distribution in the first and the second aeration time for biological nutrient removal was shown as 3:2. The release of phosphorus was inhibited at the second non-aeration period because of the low TOC concentration and the nitrate produced by the nitrification at the first aeration period.
        44.
        200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prepare 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EPDM)/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NBR) blend which represents good environmental resistant properties including favorable oil and ozone resistance. With incorporation of EPDM, NBR and other ingredients, the rubber and chemical additives were mixed by mechanical method such as Banbury mixer and open 2-roll mill. Then rubber vulcanizates were manufactured by hot pr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il and ozone resistance of the test specimens were measured. The oil resistance and ozone resistance of EPDM and NBR, respectively, is remarkably improved by blending EPDM with NBR. The optimum results of oil and ozone resistant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at EPDM/NBR(=25/75 wt%) composition ratio.
        49.
        199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주요 생육기별 관수처리시간에 따른 생육양상과 감수요인을 구명하고자 콩의 생육기 V3(6월16일),V6(6월29일),R2(7월3일),R4(7월29일) 시기에 관수시간을 6.12.24시간씩 명명 유지하여 비가림하우수내에서 pot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는 무처리 대비 V3~cdotV6 생육기 관수처리에서 1일정도 지연되었다. 2. 성숙기는 무처리 대비 V6 시기 6~12시간 관수처리시 2~3일 조숙되었으나, V6 시기 24 시간과 R2~cdotR4 시기의 관수처리는 2~8일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3. V6와R2 시기의 24시간 관수처리는 생장점이 고사하였으며 경장과 주경절수는 관수처리 시기가 빠르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내수는 처리시기가 늦고 처리시간이 길수록 감소되는 경향으로 V6 시기 24시간과 R2 6~24시간 R4 시기 6시간 관수처리는 16~26%, R4 시기 12시간 관수처리는 40%, R4 시기 24시간 관수처리는 60%씩 명명 감소되었다. 5. 수량은 관수시기가 늦고 관수시간이 길수록 감수되는 경향으로 무처리 대비 V3 시기 전처리와 V6 시기 6.12시간 처리까지 유의차가 없었으나 V6 시기 24시간, R2 시기 6.12 시간 및 R2 시기 6시간 관수처리는 27~36%, R2 시기 24시간 관수처리는 43%, R4 시기 12시간 관수처리는 53%, R4 시기 24시간 관수처리는 66%씩 명명 감수되었다. 6. 콩 생육기별 관수피해 정도는 R4>R2>V6>V3 시기순으로 감수폭이 컸다.
        51.
        199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ccessful performance in sports depdepends on the ability of how quickly one reacts to the signal or environmental stimuli. From the viewpoint, reaction time(RT) and movement time(MT)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not only in applied study emphasizing performance, but experimental settings. Though there has been several instruments in measuring RT, most of them are not generally utilized due to the high expenses as digital timer and the limitation in collecting data. Furthermore, there has been questions about the accuracy in measurement, because many researchers measured RT and MT without testing the accuracy of a program. The Multi-Purpose Reaction Timer was developed to measure RT and MT and to handled the collected data efficiently in various experimental situations by using the computer above the level of 16 bit AT. The Multi-Purpose Reaction Timer is expected to increase the accuracy of measurement and to facilitate the experimental control by comparing the measured time with digital timer.
        52.
        199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sychological Refractory Period (PRP) is the delay in the response to the second of two closely spaced stimuli. This study was examined to find out the effects of inter-stimulus intervals and number of alternatives on PRP. Subjects were 5 femal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xperiment voluntarily. Experimental task was double-stimulus task which first task was button pressing and second task was target aiming. Results showed that inter-stimulus interval influences on PRP, and number of alternatives does influence on PRP.
        53.
        198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1980년도에 전남대학교 시험포장에서 수행된 것으로서, Metribuzin의 처리시기에 따른 품종반응차이를 알기 위하여 광교외의 5대두품종과 Pre-sowing 외에 4처리 시기를 공시하여 작물의 초기생육반응을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공시품종내에서는 약제에 대한 저항성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2. 품종차이보다는 약제처리시기에 따른 반응차이가 헌저하였으며, 대부분 대두품종의 저항성 크기는 E. Post-emg.< L.Post-emg ~ll re-sowing=Control의 순으로 컸다. 3. Metribuzin의 약해 Symptom은 주당엽수 < 초장 ~ll 주당분지수의 순으로 뚜렷한 감소를 보이는 특징이었다. 4. 우리나라 대두품종에 대한 Metribuzin의 사용은 Pre-sowing이나 Pre-emg.가 추천되며, 특히 Pre-sowing에 대한 토양혼화법 연구와 단제보다는 혼용처리의 이점을 찾을 필요가 있다
        54.
        198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대두 종자의 호흡율의 품종간 차 및 종자 부위별 (자엽, 배축, 배꼽) 차를 검토하고, 이러한 호흡율의 차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서 효율적인 고발아성 종자의 초기 선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저 수행되었다. 1. 1시간 침종후 대두 종자의 흡수율은 종자부입별 및 품종간 차를 인정할 수 있었으나, 종자부위와 품종간 상호작용은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므로 종자부위와 품종은 대두 종자의 호흡에 독립적으로 작용하였다. 2. 자엽의 호흡율은 다른 부위, 즉 배축이나 배꼽에 비해 크게 높았으며 그 평균값은 자엽이 35.7, 배축이 28.0, 그리고 배꼽이 23.9uhr1 seed1이었다. 그러므로 대두 종자의 저장기관이 전체적으로 호흡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품종 Bonus는 다른 품종들에 비해 낮은 호흡율을 보였다. 3. 전체 대두 종자의 호흡율에 있어서 침종시간 및 시간과 품종간의 상호작용은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나 품종간에는 유의적인 차가 없었다. 4시간 침종 동안에 급격한 호흡율의 증가를 보였으며, 평균 호흡율 4시간에 13.6, 8시간에서 16.3, 12시간에서 17.8, 16시간에서 23.2, 그리고 24시간에 25.3u hr1 seed1이었다. 4. 품종 Bonus에 있어서 종자 수분함량과 24시간 침종동안의 종자의 호흡률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이 인정되었으나, 다른 품종들에 있어서는 상관계수 유의성이 없었다. 이 결과는 품종 Bonus는 다른 품종에 비해 24시간 침종동안 호흡에 보다 많은 수분을 요구한다고 생각한다. 5. 종자무게와 호흡률 간의 상관계수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이 결과는 대두 종자의 호흡률은 종자의 무게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으로 사려된다. 또한 호흡율과 3일간의 초기 초장의 신장간에도 유의적인 상관이 없었다.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일반적으로 노출된 괴경은 동계 저온에 의한 것보다는 건조에 의한 사멸을 촉진하는 요인이 큰 것으로 보여 진다. 단백질함량은 대, 소맥 전품종에서 처리에 의하여 수량이 감소할수록 높아졌다. (11) 대, 소맥 각품종의 각형질에 미치는 RH-531처리의 영향은 처리농도보다 처리시기에 더욱 지배되는 것으로 인정되었다.A4의 분자 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LDH에 대한 피루브산의 저해 실험 결과 35.22-43.47% 의 활성이 남았고, Kmpyr은 0.080-0.098 mM이고 골격근과 눈조직의 Vmax은 153.85와 35.09 units였다. 또한 B4 동위효소가 열에 대해 가장 안정하였고 C4 는 A4 보다 안정하였으며, 최적 pH는 6.5로 나타났다. 본 실험 결과 풀망둑은 저 산소 환경조건에 적응되어져 조직들의 동위효소들이 A4 와 B4 동위효소 사이의 특성을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hes & features" (p <0.05) of VIP war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 general ward.tive to apply.아울러 고려(考慮)해야 한다. 이것은 고무기술자(技術者)가 당면(當面)해야할 과제(課題)에 속(屬)하며 바람직 한것은 본장(本章)의 내용(內容)이 여러 상황하(狀況下)에서 당면(當面)한 문제(問題)에 대(對)해 어떻게 대처(對處)해 야 할지를 모르는 여러 기술자(技術者)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얻어짐을 알았다. 여기서의 합성분말을 이용하여 실제 조명램프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