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0

        42.
        2002.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으로 인한 습관성 유산과 기형아의 출산을 예방하기 위해 착상전 배아에서 할구를 분석하여 정상적인 핵형을 가진 배아만을 이식하는 착상전 유전자 진단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PGD)의 성공적인 임상 적용이 보고되고 있으며,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간기의 핵상을 이용한 PGD에서는 형광직접보합법 probe의 제약으로 보인자와 정상적인 핵형을 구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PGD를 위해 생쥐 배아를 이용하여 분리한 할구에서 중기 염색체상을 획득하기 위해 미세소관 (microtubule) 형성 저해제를 처리하였으며, 이를 통해 확립된 방법을 인간의 PGD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과배란이 유도된 ICR 생쥐에서 4- 또는 8-세포기 배아를 수획하여 colcemid, nocodazole, vinblastine을 각각 0.1, 0.5, 1.0, 5.0M을 처리하고, hoechst 33342로 염색하여 핵상을 관찰하여 최적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또한 각 미세소관 형성 저해제를 혼합 처리하여 가장 높은 중기 염색체상을 획득할 수 있는 혼합 처리를 결정하였다. 이렇게 결정된 혼합 처리 방법을 인간의 체외 수정 및 배아 이식술에서 획득된 3PN 배아에 처리하여 중기 염색체를 획득하였다. Colcemid, nocodazole, vinblastine 모두 1 M이 최적 농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 96.3%, 92.0%, 98,4%). 미세소관 형성저해제를 혼합 처리하였을 경우 nocodazole과 vinblastine (각각 1M)을 혼합 처리했을 때 중기 염색체 획득률(97.3%)이 가장 높았다. 인간의 3PN 배아에 1M의 nocodazole과 vinblastine을 혼합 처리한 후, 113개의 할구를 분석하여 44개(38.9%)의 할구에서 중기 염색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중기 염색체를 획득하기 위하여 미세소관 형성 저해제를 처리하는 방법은 생쥐의 배아에서는 효과적이지만, 인간의 배아에서는 그 효율이 다소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을 개선하여 인간의 할구에서 중기 염색체의 획득률을 높이고, 이를 염색체의 구조적 이상에 대한 착상전 유전자 진단에 적용한다면, 보인자와 정상의 핵상을 구분하여 정상의 핵상만을 갖는 배아의 이식을 통하여 더욱 정확한 착상전 유전자 진단을 시행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43.
        199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Percoll,Swim-up 그리고 Glass-wool 여과법의 세가지 정자분리 방법에 대한 정자 회수율, 생존율과 첨체반응율, 그리고 체외수정 후 배양시간에 따른 전핵형성율,수정란의 발달율과 세포할구수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도축된 암소로 부터 채취한 난자를 22시간 체외배양 후 성숙된 난자를 체회수정시켰다. 수정 후 배양시간에 따라 존핵율을 조사하였으며 48시간에 분할율,192시간에 배반포기 발달율 및 세포할구수를 각각 비교
        4,000원
        44.
        199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수로 부터 우라늄 분리를 위한 아미드옥심형 섬유복합재료 흡착제를 제조하였고, IR, 팽윤도 실험, CHN 원소분석, SEM 및 흡착능 실험을 통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AN-TEGMA 및 AN-TEGMA-DVB 공중합체의 팽윤율과 수율은 가교제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으며, 수율은 AN-TEGMA 공중합체의 경우 85-92%였고 AN-TEGMA-DVB 공중합체는 82-88%였다. 다공도도가교체의 함량이 증가할 수록 감소하였으며 AN-TEGMA-DVB 공중합체가 AN-TEGMA 공중합체보다 작았다. 또한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제조한 섬유 복합재료 흡착제의 표면에 흡착제가 고루 분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흡착제의 최적 첨가량은 40wt%이었다. 섬유복합재료 흡착제의 우라늄 흡착량은 pH 8 부근에서 최대 였으며, 해수의 pH가 8.3임을 감안할 때 해수 우라늄 분리에 적합한 소재 임을 알 수 있었다.
        4,500원
        48.
        199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ggregation rate of isolated mouse 2-, 4- and 8-cell stage blastomeres in phytohemagglutinin(PHA) solution. The morphologically normal embryos were collected from the oviduct of superovulated female mouse by flushing with M2 and the zona pellucida of embryos were removed with 0.5% pronase. The blastomeres were isolated by pipetting after plunging into Ca++-Mg++free PBS for 20 min. The result showed that aggregation rate in 0.5% (84.9~93.1%) was higher than that in 1.0% PHA(76.0~82.1%). Optimal aggregation time was 60min (83.9~100.0%) when compared with 30min (78.8~87.5%). Developmental to blastocyst in recombinated blastomeres was higher under conditions of 0.5% PHA solution and 60-min aggregation than that under other conditions.
        4,000원
        49.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e isolation is the alternative tool to protect structures against the earthquake. Basic ideas are the flexibflity to reduce the response of the structure, energy dissipation to reduce the excessive deflection by flexibility, and the rigidity under the service load. Base isolation is specially good for bridges because it can be installed easily and be used for both new construction and rehabilit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basic ideas of base isolation, various base isolation devices and design guidelines by AASHTO. It also introduces the applications in United States and New Zealand.
        4,000원
        51.
        2020.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culturable bacterial abundance in various crops. Total culturable aerobic bacteria in tomato plants were enumerated on NA and it showed that the amounts of viable bacterial cells were changed amo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lants (roots, stems, and fruits), ranging between log 1 and 4 per g sample. To investigate the bacterial abundance dynamics in different crops, culturable aerobic bacterial cell numbers were enumerated on NA and compared between the samples (tomato fruit, sesame leaf, and green onion) harvested freshly from one field trial (Yangsan, Korea). In this trial, the number of total culturable aerobic bacteria of the samples were 8 times higher in sesame leaves and green onions compared to the tomato fruits in the field. Interestingly, culturable aerobic bacteria on MRS were only found in sesame leaves, whereas lactic acid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tomato fruit and green onion samples in this field. We also found that the field location (Yangsan, Gangneung, or Busan) influenced the number of culturable aerobic bacteria on the surface of the crops. Tomato samples freshly harvested from the different field locations were tested and showed that the amounts of culturable aerobic bacteria on NA and MRS aga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the field locations of the samples. Finally,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all the tomato and sesame leaf samples used in this study, showing 20 and 28 morphological diversity. With these isolates, we will be able to conduct further biological and functional investigation to develop a new probiotic strain originated from the crops in Korea.
        52.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다량의 페놀류 2차 대사산물과 다당류가 포함된 녹두 종자의 RNA를 Tris-buffer와 guanidium thiocyanate 용액을 이용하여 손쉽고 간편하게 고순도의 RNA를 분리하는 방법을 확립하였으며, 우리의 분리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RNA를 사용하여 RT-PCR과 유전자 클로닝 등의 분석시험에 이용할 수 있었다.
        53.
        200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roundwater recharge from precipitation is affected by the infiltration from ground surface and the movement of soil water. Groundwater recharge is directly related to the groundwater amount and flow in aquifers, and baseflow to rivers. Determining groundwater recharge rate for a given watershed is a prerequisite to estimate sustainable groundwater resources. The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rate were carried out for three subwatersheds in the Wicheon watershed and two subwatersheds in the Pyungchang River basin and for the period 1990-2000, using the NRCS-CN method and the baseflow separation method. The recharge rate estimate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The result of estimation by the NRCS-CN method shows the average annual recharge rate 15.4-17.0% in the Wicheon watershed and 26.4- 26.8% in the Pyungchang River basin. The average annual recharge rates calculated by the baseflow separation method ranged 15.1-21.1% in the Wicheon watershed, and 25.2-33.4% in the Pyungchang River basin. The average annual recharge rates calculated by the NRCS-CN method is less variable than the baseflow separation method. However, the average annual recharge rates obtained from the two methods are not very different, except NO. 6 subwatershed in Pyungchang River basin.
        59.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 결과 2000년 지역적으로 재배적 환경이 다른 수원, 안동, 영주의 백출 재배 포장에서 발생한 이병주들과 토양 시료로부터 SS-배지와 Jee-배지를 이용하여 분리된 균들은 백출 역병의 원인균인 P. drechsleri로 확인되었다. 이들 분리균 들은 격막이 없는 다량의 팽윤균사를 형성하며, 10% V8A 배지에 배양한 경우 PDA배지에 배양한 경우보다 빠른 균생장 속도를 보이며 5℃이하와 40℃이상에서는 전혀 균 생장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10% V8A 배지에서 균을 배양한 후 멸균수와 함께 균질화한 균사-유주자 현탁액을 접종원으로 하여 다량의 유묘에 접종한 결과 5.0%~26.4%와 23.5%~72.2%로 다양한 병반율과 이병주율이 확인되어 효과적인 병원성 검정이 이루어 졌다. 안동지역의 토양시료로부터 분리된 P-A200073 균주와 수원지역의 이병주 뿌리로부터 분리된 P-9755가 병원성이 높아 각각 26.4%~63.2%와 25.1%~72.2%의 병반율과 이병주율을 보였으나 무처리구의 경우 이병주가 발생하지 않았다. 접종 이병주의 조직으로부터 균 재 분리를 시도한 결과 대부분의 뿌리와 땅 가줄기에서 P. drechsleri가 분리되었으나 병반을 보이는 상위 줄기와 엽 조직으로부터는 균이 분리되지 않았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