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41.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9년 개소한 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는 국내 최대 규모의 진동대 연구장비 보유기관으로 지진방재분야의 다양한 실험연구, 내진기술과 제품에 대한 공인시험 및 검증평가를 지원하고 있으며, 내진시험 방법의 표준화 연구 등 국가연구개발 과제의 수행, 민간기업 연구개발 지원과 컨설팅, 교육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국내 내진연구 분야 기관 및 전문가그룹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일본의 E-Defense(NIED), 대만의 NCREE, 유럽의 JRC, 미국의 EERC 등 국외 연구기관과도 국제공동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42.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contact displacement sensors that are currently becoming popular in the shaking table tests are limited depending on their use environments; thus, the reality is that each equipment appears impractical considering its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o verify an algorithm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responses of a structure using the line detection in the shaking table test, the test was conducted on a reinforced concrete frame.
        43.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advanced lumped-mass stick (LMS) model is developed to improve the dynamic response accuracy of the conventional LMS model. In order to display the performance of the advanced LMS model, a four-story frame structure is prepared and performed a shaking table test using several earthquake ground motions. The frame structure consists of stainless steel and mass plates. The horizontal natural frequencies of first to fourth mode are 1.86Hz to 48.83Hz. In this paper, the seismic responses resulted from the advanced LMS model of the structure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shaking table test.
        44.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for the electrical cabinets is conducted by the shaking table test or numerical analysis. When performing the seismic evaluation by the numerical analysis, it usually assumes that the electrical cabinets are rigidly anchored to the floor. This assumption may not be valid depending on how the cabinets are anchored. In particular, if a cabinet is anchored with bolts, a local plastic deformation of the base plate of the cabinet may cause ro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haking table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ocking effect of the electrical cabinet in an experimental method.
        4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iloti structure is a building designed to open the ground floor as a basic principle of modern architecture. However, it is considered urgent to prepare seismic retrofit plans for the irregular torsion problem of the Piloti building through the recent Pohang earthquak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selection of the Piloti building seismic retrofitting method by compar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each method through the small shaking table experiment using the seismic retrofitting method of the pilotty building.
        46.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advanced lumped-mass stick (LMS) model introduced in this paper is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lumped mass stick model, such as frequency error and low accuracy of dynamic responses. In order to show the performance of the advanced lumped-mass stick model, the experimental test using shaking table is conducted, considering a scaled four-story frame structure. The material of the frame model is stainless and the total mass of the model is about 39kg. The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responses resulted from the advanced LMS model are compared with those of experimental results, including the response results of the conventional LMS model of the frame model.
        47.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e shaking table test, contact displacement sensors are widely being applied to a structure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responses, but difficulties may arise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structure. Moreover, the test uneconomically needs temporary facilities for installing sensors and supplementary equipment for saving the displacement responses of a structure. The contact displacement sensors that are currently becoming popular in the shaking table tests are limited depending on their use environments; thus, the reality is that each equipment appears impractical considering its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o verify an algorithm for measuring the displacement responses of a structure using the vision-based system in the shaking table test, the various tests were conducted.
        48.
        2017.09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shake table tests were performed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fire protection riser pipes. The specimen was subjected to a tri-axial time history shake table test with acceleration levels corresponding to the 0.5g and 0.7g ZPA design level.
        49.
        2017.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he shake table test of the damaged reinforced concrete frame was carried out and the damage and dynamic respons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he static lateral-cyclic test for the specimen was followed by the dynamic test. As a result of the shake table test, damage was concentrated on existing cracks and the maximum inter-story drift ratio was calculated as 1.94% at the final excitation step.
        50.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terest in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is increased due to various earthquake in the world. Many studies about fragility analysis of structure are performing which is based on probability analysis of failure for infrastructures maintenance. In this study, probability of failure for a numerical model of prototype square-shape reinforced concrete column was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amplitude of seismic ground motion. The numerical model was updated based on results from shake table tests. The probability of failure will be used for comparing with that for scaled models. The difference of fragilities from prototype and scaled model can be confirmed by the comparing in a further study.
        51.
        2015.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duce the damage of critical frame structures such as hospitals and schools during and after an earthquake. this study develop the infill panel to allow smaller shear deformation with sliding of the specific element in the panel. As a result, the side sway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tructure with infill panel, in comparison to the steel frame structure without infill panel during the experimental test
        52.
        2014.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진 피해 상황을 살펴보면 중소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구조물의 붕괴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가 아닌 화재와 같이 소화 설비, 전력설비, 통신설비 등 주요 기간설비의 기능상실로 인한 피해가 많이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은 2차 피해를 줄이기 위해 소화설비의 내진설계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계소화설비의 내진성능 평가를 위하여 골조 구조물에 옥내소화전설비(배관, 펌프, 수조, 소화전)를 설치하여 진동대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일반시설물과 내진시설물의 거동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설비는 기존 건축물에 시공되어 온 일반형 시설물과 내진형 시설물을 동시에 시공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설물의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설별 변위응답, 가속도 응답, 가속도 응답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시설물에 대한 내진성능을 평가하였다.
        53.
        2011.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하역사의 대부분은 지진에 대비한 내진설계가 거의 수행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일정규모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경우 대규모 인명 및 재산피해가 우려된다. 지중구조물인 지하역사의 신뢰도 높은 내진성능 평가를 위하여 지진하중 재하 시 지반과 구조물의 상호작용이 고려된 거동의 고찰과 검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소재의 실제 지하역사에 대하여, 상사비 1/60 스케일의 축소모형 지하역사 구조물 시험체에 장주기인 Kobe지진파와 단주기인 Northridge지진파를 적용한 원심모형 진동대 시험을 수행하였다, 원심모형시험결과와 응답변위법, 동일단면에 대해 SHAKE91에 의한 지반 및 구조물의 상대변위, 구조물의 모멘트에 대하여 비교․분석함으로써 지하역사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54.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전 세계적으로 지진의 발생 횟수가 증가하고 그 규모도 대형화 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대형지진발생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 저층 구조물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은 노후화되었고 내진설계가 적용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구조형식 자체가 중력저항형식으로 지진하중에 매우 취약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지진이 발생할 경우, 조적조 건축물의 붕괴로 인하여 막대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물크기의 2층 조적조 건물을 대상으로 선행연구1)에서 제안된 내진보강공법의 적용유무에 따른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여 비보강 및 내진보강 조적조 건물의 거동 및 파괴형상과 제안된 내진보강방법의 내진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본 연구의 주된 목적으로 한다. 실험체는 실대형 조적조 건물을 진동대의 크기 및 용량을 고려하여 2층으로 계획하였고, 4면의 벽체에 대하여 벽체의 크기, 개구부의 유무, 개구부의 크기 및 위치를 변수로 하여 제작하였다. 내진보강 실험체는 선행연구1)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지진 취약부 및 면외방향으로 메탈라스 및 강판 띠를 설치하여 내진보강 하여 제작하였다. 지진파는 El-Centro NS파(1940년, PGA=350gal)로 최대가속도를 기준으로 실험체의 파괴모드를 고려하여 스케일을 증가시키면서 가진하였다. 비내진보강 실험체는 개구부 전단균열, 바닥슬래브-벽체 접합부파괴가 주된 파괴형태로 나타났으며, 가진스케일 증가에 따라 균열이 확장되며 최종파괴에 이르렀다. 내진보강 실험체는 지진취약부 집중보강으로 인해 개구부 전단균열은 미미하였고, 가진스케일의 증가에 따라 실험체 전체의 강체거동에 의해 바닥슬래브-벽체의 파괴에 의해 실험이 종료되었다. 내진보강 실험체는 비내진 실험체에 비해서 변위응답이 2배이상 증가하여 연성능력이 향상되었고, 가속도 응답도 약 20%이상의 응답 저감효과를 보였다. 입력에너지 또한 비보강 실험체에 비해 4배 이상의 에너지 흡수능력을 보여 우수한 내진보강효과가 발휘된 것으로 나타났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