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41.
        2011.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표면 세척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자의 미생물과 잔류농약 제거 효과를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로 오징어 먹물을 제거 효과를 보기 위해 스프레이 회전 속도 0.11, 0.42, 0.73 m/s, 수압 0.6, 0.9, 1.2 MPa과 컨베이어 속도 0.046, 0.092, 0.138 m/s 으로 세척 조건을 달리하였다. 오징어 먹물 제거 실험 결과 먹물 제거 효율은 컨베이어 속도와 분사 노즐 회전수와는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수압의 조건
        42.
        2010.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대부분의 수삼은 흙이 묻은 상태로 유통되고 있는데 소비자의 편이성을 고려하여 수삼을 세척한 후 포장한 상태로 유통시키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삼의 세척처리 방법에 따른 표면세척효과 및 미생물 감균 효과를 조사하였다. 수확 직후 수삼의 부위별 생균수는 5.85~6.63 log CFU/ea범위로 뇌두 부위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지근과 주근 순이었다. 부위별 곰팡이 수는 3.67~5.12 log CFU/ea범위로 뇌두 부위가 많았으며 주근과
        43.
        200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elumbo nucifera (lotus) is known to be a useful medicinal plant and leaf extract contains several flavonoids and alkaloids. To analyze the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extract (NNL) on the HBsAg production, we treated NNL on HepG2.2.15 cells which contain the hepatitis B viral genome and secrete surface antigen into media. NNL suppressed the production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as a dose-dependent manner. To analyze the effect of NNL on HBV DNA replication, PCR analysis was performed. NNL was not affected the HBV DNA replication and HBsAg mRNA expression. To understand the effect of NNL on the production of HBsAg, we carried out the analysis of lipid-metabolizing gene expression using one-step RT-PCR. NNL reduced the gene expression of FASN and SREBP2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LDLR. Triglyceride content of HepG2.2.15 cells was not decreased by treatment of NNL. This result suggests a possibility that NNL may have an effect for the inhibition of hepatitis B surface antigen by modulation of lipid and cholesterol metabolism.
        44.
        200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 0.1% ] chitosan 용액에 1시간동안 침지시킨 두부를 에서 저장하면서 두부의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의 경우 chitosan 처리구에서 저장 2일째까지 약 1 log cycle정도의 성장이 억제되었으나 3일 이후부터는 대조구와 chitosan 처리구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의 경우 chitosan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저장 전 기간동안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10^7\;CFU/mL에 도달하는 시점이 대조구에 비해 chitosan 처리구가
        45.
        200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ecause of the toxicity of hexavelant chromium ion, treatments of metallic surface with chromate compounds to retard corrosion are undesirable for safety control in industrial uses and protection of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everal compounds such as inorganic, organic, and polymer materials in order to substitute the chromate conversion treatment on steel sheet. The corrosion property was investigated in a salt spray tester with 3.5 wt.% NaCl at 35℃. The results showed that the zirconium/silane/polymer triple coatings on the galvanized steel exhibited a significant retardation of corrosion. Although the multicoating system needs a complexed processing, we can confirm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a chromate-free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for galvanized steel sheet.
        46.
        2003.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체표면에서 분리한 E. coli O157;H7 CDF1, A. sobria CDF3, S. aureus CDF2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E. coli O157:H7 CDF1와 A. sobria CDF3는 NaCl 4% 이상 농도에서 성장이 억제된 반면 lactic acid 0.1%는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 aureus CDF2은 NaCl 농도 4%에 의해 성장이 뚜렷하게 억제되지 않았으나 lactic acid 0
        47.
        200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포장김치의 표면처리가 김치의 pH, 산도, 총균수, 젖산균수, 표면갈변도 및 이미, 이취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표면처리는 포장김치표면에 70% 에탄올을 1회 분무한것과 김치표면에 PE-film(두께 0.04mm)을 부착한 것으로 나누어 행하였으며, 1에서 저장하였다. 무처리와 에탄올을 분무한 경우는 저장 15째에 pH가 4.0수준에 도달하였으나 PE-film을 처리한 경우는 21일째까지도 pH가 4.0 이상을 유지하였다. 산도의 경우도
        48.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벼의 유효생육기간이 짧은 남부 산간고냉지에서 직파재배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경남 함양(해발 430m)에서 조생종인 금오벼를 공시하여 1994년 4월 25일부터 5월 15일까지 담수표면 직파 시기를 달리하여 생육특성과 수량반응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직파시기가 빠를수록 벼의 초기생육은 더디었으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초장이 크고, 최고분얼수가 많았다. 2. 파종후 30일간의 적산온도는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졌고, 파종에서 최고분얼기까지 의적산온도는 1,010~l,052℃ , 출수기까지는 1,785~l,846℃ 로 파종시기간에 비슷하였으며 ,출수 소요일수는 파종기가 늦으질수록 짧았다. 3. 파종시기에 따른 간장 및 단위면적당 수수는 4월 25일부터 5월 5일까지 직파는 이앙재배와 비슷하였으며, 등숙율은 이앙재배의 86.8%보다 직파재배구에서 낮았는데, 그 중에서 5월 1일 파종구가 76.3%로 가장 높았다. 4. 파종후 30일간 적산온도와 수수, 이삭수, 수량간에는 부의 상관이 이루어졌다. 5. 파종기(X)와 쌀수량(Y)간에는 ~hatY(MT/ha)=3.80990+0.06207X-0.00174 X2 (R2 =0.704) 의 관계가 성립하였는데, 적정 파종기는 4월 25일부터 5월 1일까지로 추정되었다.
        1 2 3